||<-3> {{{#ffffff {{{+2 '''득량역'''}}}}}} || ||<|2> [[부전역(동해선)|{{{#!html
부전 방면}}}]][[예당역|예 당]][br]← 4.3 ㎞ ||<|2> [[무궁화호|{{{#!html
경전선
무궁화호
}}}]] || [[목포역|{{{#!html목포 방면}}}]] || ||<|2> [[보성역|보 성]][br]9.1 ㎞ → || ||<|2> [[부산역|{{{#!html
부산 방면}}}]][[벌교역|벌 교]][br]← 20.3 ㎞ ||<|2> [[남도해양관광열차|{{{#!html
S-train}}}]] ||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 || ||<-3> [include(틀:지도, 장소=득량역, 너비=100%, 높이=225px)] || ||<-3> '''{{{#ffffff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eungnyang || || [[한자]] ||<-2><|2> 得粮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得粮, ruby=トゥンニャン)] || ||<-3> '''{{{#ffffff 주소}}}''' || ||<-3>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역전길 28[br](舊 오봉리 909-1) || ||<-3> '''{{{#ffffff 관리역 등급}}}''' || ||<-3> [[배치간이역]][br]([[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 ||<-3> '''{{{#ffffff 운영 기관}}}''' || || [[경전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ffffff 개업일}}}''' || || [[경전선]] ||<-2> 1930년 12월 25일 || || [[무궁화호|{{{#ffffff 무궁화호}}}]] ||<-2> 1984년 1월 1일 || || [[남도해양관광열차|{{{#ffffff S-train}}}]] ||<-2> 2013년 9월 27일 || ||<-3> '''{{{#ffffff 철도거리표}}}''' || || [[삼랑진역|{{{#!html
삼랑진 방면}}}]][[예당역|예 당]][br]← 4.3 ㎞ || '''[[경전선]]'''[br]득 량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보성역|보 성]][br]9.1 ㎞ → || {{{+1 得粮驛 / Deungnyang Station }}} [목차] || [[파일:attachment/deungnyang.jpg|width=100%]] || || 역전 시계탑, 현재 철거되었다. || || [[파일:득량역.png|width=100%]] || || 구 역사 || == 개요 == || [[파일:득량역 스탬프.jpg|width=150]] || || 득량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거북바위를 형상화했으며, 현재 보성역에 비치중이다. ||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추억거리와 문화역''' >득량역은 1930년 경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한 보통역으로, 전남 보성군 득량면, 마을주민이 약 260명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시골 마을의 역사이다. 지역주민의 감소로 점차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역이 폐쇄될 위기를 겪었지만, 2011년 문화관광체육관광부가 주관한 문화디자인 프로젝트에 최종 선정되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역은 옛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의 중심이다. 추억거리와 함께 역사가 문화역으로 꾸며지면서, 2015년 역 광장이 롤러스케이트장으로 변신했을 뿐만 아니라 코스프레 축제의 무대가 되었다. 옛 득량초등학교와 문방구, 다방과 사진관, 이발관이 조성된 추억거리 사이로 목조 슬레이트 단층역사로 전형적인 시골 역사였던 옛 득량역의 모습을 추억할 수 있는 공간도 생겨나게 되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전선]]의 [[철도역]].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역전길 28 (舊 오봉리 909-1번지)에 위치해 있다. == 역 정보 == 이 동네의 지명은 [[임진왜란]] 당시 비봉리 선소 알섬(지금의 득량도[* 참고로 득량도는 [[고흥군]] 도양읍 소속이다.])에서 [[이순신]]장군이 일본군과 대치하던 중 아군의 식량이 떨어져 비봉리 선소에서 식량을 조달하여 일본군을 격퇴했다는 것에서 이에 '얻을 득'과 '곡식 량' 자를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 정확히는 앞 바다인 득량만과 득량만의 섬인 득량도의 어원이다. 득량면은 득량만의 이름을 따서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 때에 붙은 명칭이고, 득량역 또한 동네 지명을 따라간 것.]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털렸다는 역사적인 지명인데 일제강점기에 이 역을 만들면서 득량이라는 이름을 쓰게 했다는 게 조금은 의아하다. 사실 서부경전선 구간은 [[조선총독부]]가 직접 건설한 구간이 아닌 '남조선철도'라는 [[철도 회사]]가 건설한 [[사철(철도)|사철]] 구간이니 상관없을지도 모른다. 얼마 안 가 총독부가 인수하여 국철로 바뀌긴 했지만.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정차하며 [[1996년]] [[9월 1일]]부로 소화물 취급을 중단했다.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보성역]]에서 3교대로 직원이 돌아가며 파견된다. [[대한민국]]에서 [[콩드립|두번째]]로 남쪽에 있는 역이기도 하다. 위도상 [[여수엑스포역]]에서 살짝 북쪽에 있다. 경전선에서는 최남단. [[파일:20220703_154656.jpg]] '문화역 득량'이라는 프로젝트 하에 역 내부가 새단장을 했으며, 옛날의 역 모습을 재현한 공간도 있다. 1987년도 시간표라면서 붙여놓은 게 정작 내용은 2000년 이후의 현재 운행 시간표이다 (...). 역 앞에는 마을 사람들이 힘을 합쳐 만든 추억의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새마을 운동 즈음의 시대를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규모는 작지만 갖출 것은 많이 갖추고 있다. 이 추억의 거리는 초기 구간은 인위적이지 않은게 보기가 좋다. [[http://g-rapid.kr/220311255060|참고]] [[남도해양관광열차]] 정차역에도 선정되었다. ~~시골역 답지 않게 의외로 2층짜리 '''돌'''[[커튼 월|궁전]]이다.~~ 여담으로 이 역과 소재지 득량면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粮이라는 글자가 쓰인 예이다. 현지에서는 본자인 糧과 속자인 粮을 혼용해서 쓰기도 하는데, 코레일에서는 粮 표기를 쓰고 있다. 작은 역이지만 그래도 광려선 개통 당시부터 쭉 유지되었던 역인지라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있다. 도안은 오봉산 거북바위. 실제로 역에서 매우 잘 보인다. 이 역에서 보성역까지 25퍼밀 상구배가 있다. 보성과 득량 사이에 기러기재(그럭재, 안치재)라는 고개가 있어서 그렇다. 역 앞 [[http://postfiles14.naver.net/20150325_45/overroad89_1427294478387vsmx1_JPEG/IMG_2616.jpg?type=w1|슈퍼 간판]]이 인상적이다. 보성군내 다른 역에 비하면 버스교통은 은근 불편하다. 나름 잘 다니는 [[금호고속]], [[광우고속]]의 [[2번 국도]] 직행은 [[보성역|보성]], [[예당역|예당]], [[조성역|조성]], [[벌교역|벌교]]만 서고, 직행버스 정도로 잘 다니는 보성~벌교 간 농어촌버스도 그 경로로 지나가므로 득량역은 버스가 농어촌버스밖에 없고 운행횟수가 많지도 않다. 그래도 농어촌버스 1일 3회 운행이 전부인 [[명봉역]]보단 낫다. 2021년 1월 1일부터 평일 9시에서 18시까지만 직원이 근무하고 18시에서 다음날 9시, 토.일.공휴일에는 직원이 근무하지 않으므로 평일 18시~9시, 주말.공휴일에 이 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경우 코레일톡으로 표를 구입하거나 여객전무에게 구입해야 한다. 2022년 2월 1일 부터 득량역은 직원이 근무하지 않기 때문에 기차를 타려면 차내에서 예매를 해야한다. 다만, 차내에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여 발권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2025년]] 말 [[경전선]]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 승강장 == ||<-3> [[보성역|보성]] || || ↑ || || ↓ || ||<-3> [[예당역|예당]] || || || [[경전선]]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ffffff '''S-train'''}}}}}}]] ||[[부전역|부전]]·[[광주송정역|광주송정]]·[[목포역|목포]] 방면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74286; font-size: .9em" {{{#ffffff '''S−train'''}}}}}}]] || [[무궁화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55839; font-size: .9em" {{{#ffffff '''무궁화호'''}}}}}}]] || {{{#ffffff '''총합'''}}} || {{{#ffffff '''비고'''}}} || || 2004년 ||<|10> || 55명 ||<|10> || || || 2005년 || 58명 || || || 2006년 || 57명 || || || 2007년 || 62명 || || || 2008년 || 65명 || || || 2009년 || {{{#f55839 70명}}} || || || 2010년 || 65명 || || || 2011년 || 62명 || || || 2012년 || 61명 || || || 2013년 || 56명 || || || 2014년 || 9명 || 61명 || 70명 || || || 2015년 || {{{#074286 17명}}} || 53명 || 70명 || || || 2016년 || 3명 || 49명 || 52명 || || || 2017년 || 4명 || 44명 || 48명 || || || 2018년 || 2명 || 34명 || 36명 || || || 2019년 || 3명 || 33명 || 36명 || || || 2020년 || 0명 || 22명 || 22명 || || || 2021년 || 0명 || 19명 || 19명 || || ||<-5> {{{#ffffff '''출처'''}}} || ||<-5>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202&key=1421|철도통계연보]] || }}} == 시간표 == ||<-18> {{{#ffffff 무궁화호 부전, 순천 -> 광주, 송정, 목포 운행시간표[br]2021년 8월 1일 기준 / 출처 미상}}} || || 횟수 || 열차번호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 || 1 || 1971 || 06:52 || 07:02 || 07:13 || 07:28 || 07:41 || 07:51 || 08:08 || 08:14 || 08:24 ||<-7> 광주송정 종착 || || 2 || 1951 || 10:28 || 10:38 || 10:48 || 11:03 || 11:15 || 11:25 || 11:43 || 11:49 || 11:59 || 12:11 || 12:18 || 12:27 || 12:34 || 12:39 || 12:47 || 12:59 || || 3 || 1973 || 14:57 || 15:07 || 15:18 || 15:32 || 15:45 || 15:55 || 16:12 || 16:18 || 16:28 ||<-7> 광주송정 종착 || || 4 || 1975 || 19:57 || 20:07 || 20:18 || 20:34 || 20:46 || 20:56 || 21:14 || 21:20 || 21:29 ||<-7> 광주송정 종착 || ||<-30> {{{#ffffff 무궁화호 목포, 광주송정 -> 순천, 부전 운행시간표[br]2021년 8월 1일 기준 / 출처 미상}}} || || 횟수 || 열차번호 || 득량 || 예당 || 조성 || 벌교 || 순천 || 광양 || 진상 || 하동 || 횡천 || 북천 || 완사 || 진주 || 반성 || 군북 || 함안 || 중리 || 마산 || 창원 || 창원중앙 || 진영 || 한림정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전 || || 1 || 1972 || 07:36 || 07:42 || 07:48 || 07:59 || 08:23 ||<-23> 순천 종착 || || 2 || 1954 || 12:02 || 12:08 || 12:14 || 12:25 || 12:49 || 12:58 || 13:09 || 13:16 || 13:23 || 13:31 || 13:39 || 13:50 || 14:01 || 14:11 || 14:18 || 14:26 || 14:33 || 14:40 || 14:49 || 15:00 || 15:05 || 15:15 || 15:25 || 15:33 || 15:41 || 15:46 || 15:53 || 16:04 || || 3 || 1974 || 17:13 || 17:19 || 17:25 || 17:36 || 18:01 ||<-23> 순천 종착 || || 4 || 1976 || 20:41 || 20:46 || 20:52 || 21:03 || 21:26 ||<-23> 순천 종착 ||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전선의 역 목록)] [[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25년 폐지 예정인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경전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보성군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