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드워프 포트리스]][[분류:게임 내 정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드워프 포트리스/자원 및 재료)] [include(틀:드워프 포트리스)] [목차] == 개요 == 드워프 포트리스에서 '''석재'''(Stone)는 지상의 바위나 절벽 등으로 노출된 암석층을 제외하고서는 땅 속 토양층 밑에서 땅파기 작업(Dig)을 통해 석출되는 자원을 말한다. 내부 데이터에서는 '''바위'''(Boulder)로 정의되어 있다. * '''광물'''(Ore): 녹여서 금속으로 쓸 수 있는 자원. * '''보석 원석'''(Rough gems): 가공하여 장신구 등에 쓸 수 있는 자원. * '''경제적 석재'''(Economic stone): 가공하여 여러 산업에 유용한 재료로 쓰일 수 있는 자원. * '''비경제적 석재'''(Non-economic stone): 용도가 특별히 없는 석재로, 건축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석재가 다 불에 타지 않는 것은 아니고, 마그마에 녹지 않는 것도 아니다. 불에 붙지 않는(Fire-safe) 석재와 마그마에 녹지 않는(Magma-safe) 석재가 따로 분류되어 있다. 이 중 마그마에 녹지 않는 석재는 {{{#f22 '''≈'''}}} 표시를 붙이기로 한다. 드워프 포트리스에서 석재의 생성 알고리즘은 지층을 크게 4가지 성격으로 나누어 분류한 다음 그 안에서 생성한다. * '''[[퇴적암]]'''대(Sedimentary) * '''섭입[[화성암]]'''대(Igneous intrusive) * '''분출화성암'''대(Igneous extrusive) * '''[[변성암]]'''대(Metamorphic) 지층의 성격이 결정되면, 그에 해당하는 주 암석을 선택하여 층을 생성한다. 그 다음, 지층의 성격에 맞는 부 암석들을 선택하여 다음 기준에 맞게 생성한다: * '''대규모'''(Large cluster) - 48x48 간격으로 타일을 둔 다음, 타일 안에서 대략 20x40 크기의 타원형 광석군을 만든다. 덩어리당 약 750칸에 걸쳐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광맥'''(Vein) - 특기 사항이 없을 때의 기본값. 줄기의 형태(1~4칸 정도의 폭)로 생성된다. 길이는 대략 50칸 내외로 약 광맥당 100~200칸의 광석이 생기도록 길게 생성된다. * '''소규모'''(Small cluster) - 랜덤한 칸에 1~9칸 내외로 생성된다. * '''단일 보석'''(Single Gem) - 희귀한 보석의 생성 기준. == 광물 == 용광로 등을 통해 금속으로 가공할 수 있는 자원들로, 무기 등 장비와 함정 등 방어시설에 사용되는 주요 자원이다. || '''기호''' ||<-2> '''이름''' || '''발견되는 곳''' || '''생산물''' || || {{{#2ff £}}} || 아다만타인 원석 || Raw adamantine || 지하 깊은 곳 (마그마 인근) || 아다만타인 || || {{{#fff ^}}} || [[알루미늄]] 원석 || Native Aluminum || 분출화성암대(소규모) || 알루미늄 || || {{{#fff %}}} || 휘창연석 || Bismuthinite || [[화강암]]층(소규모) || [[비스무트]] || || {{{#a80 £}}} || [[주석(원소)|주석]]석{{{#f22 '''≈'''}}} || Cassiterite || [[충적토]]층(소규모), 화강암층 || 주석 || || {{{#a80 £}}} || [[구리]] 원석 || Native copper || 분출화성암대, [[사암]]층 || 구리 || || {{{#fff £}}} || 방연석{{{#f22 '''≈'''}}} || Galena || 분출화성암대, 변성암대, 화강암층, [[석회암]]층 || [[납]], [[은]](50%) || || {{{#2f2 £}}} || [[니켈]]광 || Garnierite || [[반려암]]층 || 니켈 || || {{{#ff2 £}}} || [[금]] 원석 || Native gold || 화성암대, 충적토층(소규모) || 금 || || {{{#a00 £}}} || [[적철석]]{{{#f22 '''≈'''}}} || Hematite || [[퇴적암]]대, 분출화성암층 || [[철]] || || {{{#fff £}}} || 각은광 || Horn silver || 은 원석 인근(소규모) || 은 || || {{{#ff2 £}}} || [[갈철석]] || Limonite || 퇴적암대 || 철 || || {{{#aaa ~}}} || [[자철석]]{{{#f22 '''≈'''}}} || Magnetite || 퇴적암대(대규모) || 철 || || {{{#0a0 £}}} || [[공작석]] || Malachite || 석회암층, [[대리석]]층 || 구리 || || {{{#fff £}}} || [[백금]] 원석{{{#f22 '''≈'''}}} || Native platinum || 자철석 인근, [[감람석]]층(소규모[* 공식 버그]), 충적토층(소규모), 크롬철광(소규모) || 백금 || || {{{#fff £}}} || 은 원석 || Native silver || 화강암층, [[편마암]]층 || 은 || || {{{#aaa £}}} || 섬아연석{{{#f22 '''≈'''}}} || Sphalerite || 변성암대 || [[아연]] || || {{{#aaa £}}} || 사면동광 || Tetrahedrite || 모든 암석층대 || 구리, 은(20%) || == 보석 == 보석은 원석으로부터 유래되는 127가지 보석과 합성보석으로써 원석으로 취급되는 유리 3가지를 합쳐 총 130가지가 있다. 유리를 제외한 127가지 보석은 크게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 '''장식용 광물'''(Ornamental, 57가지): 일반 석재의 2~10배 가치를 갖는 보석들. * '''준보석'''(Semi-precious, 58가지): 일반 석재의 15~30배 가치를 갖는 보석들. * '''보석'''(Precious, 4가지): [[에메랄드]], [[루비]], [[사파이어]], 페인트옐로우[* Faint yellow. 불규칙한 질소 불순물로 생성되는 가장 흔한 다이아몬드. 흔히 합성다이아몬드가 노란색이라고 하는 것은 페인트옐로우를 뜻하며, 따라서 드워프 포트리스에서도 희귀한 보석이 아닌 그냥 일반 보석으로 분류하여 클러스터 단위로 생성되도록 하고 있다.] [[다이아몬드]]의 4가지 뿐이다. 일반 석재 대비 40배의 가치. * '''희귀한 보석'''(Rare, 8가지): 페인트옐로우를 제외한 6가지 다이아몬드와 스타 루비, 스타 사파이어. 상기 보석들이 1개 이상의 덩어리로 생성되는 것과 달리, 희귀한 보석은 한 번에 한 칸씩만 생성된다. 보석은 채굴 할 때 세공(cut)을 한 다음 장신구, 공예품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경제적 석재 == 경제적 석재에는 5종류가 있다. * '''플럭스'''(Flux): 선철 및 강철 제련에 사용되는 칼슘계 석재들. 실세계에서는 슬래그[* 제련물의 불순물과 융합한 찌꺼기]를 형성할 목적으로 투입된다. * [[석회석]](Limestone): 퇴적암대 전층 * 백운석(Dolomite){{{#f22 '''≈'''}}}: 퇴적암대 전층 * [[백악]](Chalk): 퇴적암대 전층 * [[대리석]](Marble): 변성암대 전층 * [[방해석]](Calcite){{{#f22 '''≈'''}}}: 석회석 인근(소규모), 대리석 인근(소규모) * '''연료'''(Fuel): [[석탄]]. * [[역청탄]](Bituminous coal): 퇴적암대(대규모) * [[갈탄]](Lignite): 퇴적암대(대규모) * '''소석고'''(Plaster): 병원에서 부상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 [[석고]](Gypsum): 퇴적암대(대규모) * 설화석고(Alabaster): 석고 인근(소규모) * 투명석고(Selenite): 석고 인근(소규모) * 섬유석고(Satinspar): 석고 인근(소규모) * '''[[도자기]]'''(Porcelain) * [[고령석]](Kaolinite){{{#f22 '''≈'''}}}: 퇴적암대(대규모) * '''무기 날붙이'''(Sharp blades) * [[흑요석]](Obsidian){{{#f22 '''≈'''}}}: 분출화성암대 전층 == 비경제적 석재 == 일반적인 건축 자재로밖에 쓸 수 없는 석재들이다. 무게가 무겁고, 건축 한 칸에 석재 한 개를 써야하므로 그냥 쓰는 것보다는 [[드워프 포트리스/작업소|석공 작업소]]에서 블럭(벽돌)으로 가공하는게 좋다. 블럭으로 가공하면 석재 한 개에 블럭 4개가 생산되고, 훨씬 가볍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 ||<-2> '''이름''' || '''발견층''' || || 명반석{{{#f22 '''≈'''}}} || Alunite || 분출화성암대(대규모), 고령석 인근(대규모) || || 경석고{{{#f22 '''≈'''}}} || Gypsum || 석고 인근(소규모), 설화/투명/섬유석고 인근(개별 타일) || || 철반석{{{#f22 '''≈'''}}} || Bauxite || 퇴적암층(대규모) || || 붕사 || Borax || 석고 인근(소규모), 암염 인근(대규모) || || 황 || Brimstone || 분출화성암대(소규모), 석고 인근(소규모) || || 크로뮴철광{{{#f22 '''≈'''}}} || Chromite || 감람석 인근(광맥) || || 주사 || Cinnabar || 분출화성암대(광맥), 셰일/규암 인근(광맥) || || 휘코발트석 || Cobaltite || 전화성암대 및 변성암대(광맥) || || 빙정석 || Cryolite || 화강암 인근(소규모) || || 흑연 || Graphite || 편마암/규암/대리석/편암 인근(소규모) || || 각섬석 || Hornblende || 전화성암대 및 변성암대(광맥) || || 티타늄철석{{{#f22 '''≈'''}}} || Ilmenite || 반려암 인근(소규모) || || 흑옥 || Jet || 퇴적암대(대규모) || || 킴벌라이트 || Kimberlite || 편마암 인근(광맥) || || 백철석 || Marcasite || 고령석 인근(소규모) || || 운모{{{#f22 '''≈'''}}} || Mica || 변성암대(대규모), 화강암 인근(대규모) || || 미사장석 || Microcline || 모든 암석층대(소규모) || || 감람석{{{#f22 '''≈'''}}} || Olivine || 편암 인근(대규모) || || 웅황 || Orpiment || 분출화성암대(소규모) || || 정장석{{{#f22 '''≈'''}}} || Orthoclase || 섭입화성암대(대규모), 변성암대(대규모) || || 페리클레이스{{{#f22 '''≈'''}}} || Periclase || 대리석 인근(소규모) || || 규화목{{{#f22 '''≈'''}}} || Petrified wood || 퇴적암대(소규모) || || 섬우라늄석{{{#f22 '''≈'''}}} || Pitchblende || 화강암 인근(소규모) || || 푸딩스톤 || Puddingstone || 역암 인근(대규모) || || 연망간석 || Pyrolusite || 전화성암대(소규모) || || 계관석 || Realgar || 분출화성암대(소규모) || || 금홍석{{{#f22 '''≈'''}}} || Rutile || 변성암대(소규모), 화강암 인근(소규모) || || 초석 || Saltpeter || 퇴적암대(소규모) || || 사문석 || Serpentine || 감람석 인근(소규모) || || 휘안석 || Stibnite || 분출화성암대(소규모) || || 칼륨암염 || Sylvite || 암염 인근(대규모) || || 활석{{{#f22 '''≈'''}}} || Talc || 백운암 인근(대규모) || == 기타 == 석재를 파낸다고 해서 반드시 1:1로 바위가 생성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석재는 25%의 고정확률[* 오래 전 버전에서는 스킬의 영향을 받았던 적이 있다.]이며, 일부 희귀 보석 등에 대해서만 100%의 확률이 적용된다. 바위를 블럭으로 가공하면 1:4의 교환비가 나오므로, 실질적으로는 석재 한 칸당 해당하는 석재 ''블록'' 한 칸을 얻을 수 있는 셈. 석재를 파내고 난 공간의 바닥은 파낸 돌과 다를 수 있다. 이는 바닥은 원래 층을 구성하는 주 암석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가령, 퇴적암대에서 생긴 백악층에서 중간에 생성된 부 암석 역청탄 광맥을 파내면, 남은 바닥은 백악 동굴바닥(Chalk cavern floor)으로 뜨게 된다. 석재를 파낸 뒤 남은 부분은 거칠게 파낸(Rough-hewn)이라는 이름이 붙어 벽으로 기능한다. 이 때, 연마하기(Smooth stone)을 통해 벽을 갈아주면 부드러운 벽이 되며, 미관이 상승하기에 무드 관리를 위해 이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