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KBO 리그]] == 1999, 2000년 시즌 양대리그 운영당시 매직리그와 더불어 존재하던 리그. * 1999년: 두산, 현대, 롯데, 해태 * 2000년: 두산, 현대, 삼성, 해태 로 배정되었으며, 2001년 단일 리그 회귀 후 사라졌다. == 스타크래프트 == 정식 명칭은 KeSPA 드림리그이며, [[한국e스포츠협회]]에서 주관하는 [[스타크래프트]] 종목에서 정식으로 게임단에 입단한 프로게이머들 중 프로리그, 개인리그 출전이 정말 어려운 선수들에게 열린 [[e스포츠]] 버전 [[2군]] 리그. 경기 장소는 [[용산 e-Sports 스타디움]] 보조경기장이었다. 2006 시즌에 협회 주관이 아닌 게임단 사이에서 3번 열린 구단평가전이 원조이며[* 이 당시에는 [[온게임넷]]과 [[MBC GAME]]에서 중계를 했으며, 경기장도 [[메가 스튜디오]]와 [[히어로 센터|세중게임월드 혹은 히어로 센터]]였다. 당시 온게임넷에서 사용한 이름은 다름아닌 온게임넷 배틀로얄. MBC GAME은 구단평가전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걸 바탕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2007년 후기리그]] 시즌부터 2군 평가전이라는 이름을 달고 협회 주관 대회로 용산 보조경기장에서 시작되었다. 과거 구단평가전과는 달리 전 경기가 비방송 경기였다는 것이 차이점. 이 시즌을 시작으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09-10 시즌]]부터는 2군 평가전에서 드림리그라는 명칭으로 바꿨고, 2군이 따로 운영되지 않던 [[공군 ACE]]만 출전하지 않았다.[* 10-11 시즌에는 구단 재정 이슈에 시달리던 [[위메이드 폭스]]가 팀 사정으로 인하여 불참했다.] 경기 방식은 1:1이며, 초기에는 [[에이스 결정전]] 없이 5판 3선승제로 운영하다가, 이후에는 [[위너스 리그]] 방식 혼합으로 9전 5선승제로 운영했다. 또한 [[프로게이머]]만 참가할 수 있는 프로리그와는 달리 준프로게이머나 아마추어도 참가가 가능했다. 이전까지 별개로 존재하던 준프로 선발전과 준프로 드래프트 평가전을 묶어서 공식적인 리그로 진행하면서 [[루키리그]](아마추어&준프로) -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래프트]](준프로) - 드림리그(2군)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1군)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선수 양성 체계를 구성했다는 의의가 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10-11 시즌]] 후 팀들이 하나둘씩 해체되고 스타크래프트 게이머 수가 급감하면서 소리소문없이 폐지되었다. 이 당시 활약으로 유명해진 선수로는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2007년 첫 2군 평가전에서 다승왕을 기록했다.], [[김대엽]][* 다승 순위에서 특출나진 않았지만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팀 동료]] [[이영호]]마저도 속수무책이었던 [[배틀로얄(스타크래프트)|희대의 저그맵]]에서 2번이나 이긴 토스 게이머라 이슈가 된 적이 있다.], [[최호선]],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장윤철]],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등이 있다. [[분류:스타크래프트/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