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낙인 스토리 관련 카드군)] ||<:><-6> '''{{{#!html드래그마}}}'''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래그마 인카운터.png|width=100%]][br] ,,[[드래그마#드래그마 인카운터|{{{#B7BBC6 드래그마 인카운터}}}]],,}}}|| || '''한국어판 명칭''' ||<-5> '''드래그마''' || || '''일어판 명칭''' ||<-5> '''ドラグマ''' || || '''영어판 명칭''' ||<-5> '''Dogmatika''' || ||<-2> '''속성''' ||<-2> '''종족''' ||<-2> '''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2> [[마법사족(유희왕)|마법사족]] ||<-2> 효과[br]'''[[의식 소환|의식]]''' || [목차] [clearfix] == 개요 == > 닫힌 대지를 떠도는 [[알버스의 낙윤|소년]]과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소녀]]의 이야기—。 > 閉ざされた大地を渡り歩く少年と少女の物語—。 >- 드래그마 소개 문구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415291237054230532?s=20|#]]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첫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탄알로 쓰거나,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하면 알아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소환 이외의 방법으로 쓰는 컨셉의 안티 엑스트라 카드군이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아카보시 오자]]가 [[유사 쇼마]]와의 듀얼 중 [[소환수(유희왕)|소환수]]와 함께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한다. == 설정 == ||드래그마 성문 [[666]]항 1. 광휘(光輝)[* --누가 코나미의 중세 귀족 아니랄까봐-- 고귀와 독음이 같다. 한마디로 말장난.]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성스러운 가르침을 반대해선 아니된다. 2.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성스러운 존명을 입에 대서는 아니된다. 3.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성스러운 존안을 봐서는 아니된다. 4.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성스러운 옥체를 건드려서는 아니된다. 5.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자비를 거부해서는 아니된다. 6.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의 어전 앞을 지나가서는 아니된다. 7. 광휘(光輝)한 신의 대리자 막시무스에게 칼끝을 내밀면 아니된다. 66. 죄 많은 사교도에게 자비를 베풀어서는 아니된다. 67. 죄 많은 사교도들을 두려워해서는 아니된다. 68. 죄 많은 사교도들의 부탁을 들어줘서는 아니된다. 666. 복음의 날이 다가왔을 때, 그대들의 [[낙인(유희왕)|낙인(烙印)]]이 [[데스피아|빛나며]], [[알버스의 낙윤|서자(落とし仔)]]인 그 몸은 하늘로 돌아가, 또다시 신의 아이가 될지니.|| 카드군 이름인 드래그마는 용을 뜻하는 '드래곤(Dragon)'과 교리를 뜻하는 '도그마(Dogma)'를 섞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제외한 드래그마 자체에는 용의 요소가 없고, 드래그마가 변이한 데스피아가 연극에 관한 요소가 있는 것을 보면 데스피아의 작명과 비슷하게 극을 의미하는 '드라마(Drama)'와 '도그마(Dogma)'를 섞은 것일 수도 있다.] 일러스트에서 카드군 전용 마크가 드러난 걸 보아 낙인이나 성인의 몸에 나타난 흔적을 뜻하는 '스티그마(Stigma)' 또한 모티브로 추측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교도(教導)'라 쓰고 '드래그마(ドラグマ)'라 읽으나, '드래그마'가 따로 쓰여 있는 교도추기 테트라드래그마와 교도국가 드래그마는 그대로 교도라고 읽는다. 에클레시아가 이탈한 이후 나온 카드들은 똑같이 드래그마로 읽지만 교도가 아니라 '흉도(凶導)'로 쓴다. 함정 카드들은 그냥 드래그마라고 쓴다. 이 세계에서는 이공간과의 연결 통로인 보라색 마름모 형태의 홀이 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홀은 대지와 사람들을 빨아들이는 재앙을 불러들이는가 하면, 한 번도 본 적 없는 병기나 유물, 강력한 힘을 지닌 결정 등을 뱉어내기도 했다. 그 땅에 사는 자들은 한정된 자원을 두고 다투거나 약탈해 가다가 어느덧 종을 구분으로 생물들이 단결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국가, 단체 등으로 발전해 가며 군웅할거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렇게 해서 세워진 드래그마는 심연이란 대륙의 극북에 존재하는 대국으로, 교회가 국가 운영의 중심이며, 막시무스 드래그마가 최고 책임자로 군림하고 있다.[* 중세 유럽의 암흑기가 모티브인 듯. 성문 666항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빼도 박도 못하는 악의 [[독재자|독재 국가]]다.] 국민들에게 하사된 성흔은 숙주들에게 특별한 힘을 주며, 사람들은 기적이라고 칭했다. 그중에서도 특별히 강력한 기적의 힘을 발휘한 이들은 동명의 종교의 신도로 구성된 교도군에 들어가 신도의 증표 성흔을 통해 기적을 행해 성흔을 지니지 않은 수인, 요정 등의 이교도[* 말이 이교도지, 그냥 성흔이 없는, 즉 드래그마에 소속되지 않은 자들은 죄다 이교도, 사이비로 간주하고 싸잡아서 족치는 ~~[[탈레반]]식~~ 논리이다.]들을 섬멸한다. [[트라이브리게이드]]는 그들과 대립하는 주적이다. 그리고 이 보라색 홀을 통해 '''[[알버스의 낙윤]]'''이 넘어오는 것으로 스토리의 시작을 알린다. 낙윤은 플루르드리스에게 격퇴당하나, 에클레시아는 기억을 잃고 무력화된 낙윤의 편을 들고, 드래그마는 그 즉시 그녀를 파면하고 공격해 온다. 드래그마와 전투 중이던 트라이브리게이드는 에클레시아의 편을 들고, 낙윤과 에클레시아는 트라이브리게이드의 영역까지 도주한다. 트라이브리게이드는 에클레시아를 스프리건즈가 있는 대사해로 피신시키고, 드래그마는 낙윤과 에클레시아를 잡기 위해 추적해 온다.[* 드래그마 일러스트에서는 천저의 사도(낙윤이 홀로 넘어옴) -> 드래그마 퍼니시먼트(낙윤이 플루르드리스에게 격퇴당함) -> 드래그마 인카운터(격퇴당해 인간이 된 낙윤이 에클레시아와 만남) -> 드래그마티즘(낙윤의 동료가 된 에클레시아가 파문당함) -> 드래그마 제네시스(에클레시아와 낙윤의 도주 후 새 성녀가 임명됨), 드래그마타(하늘에 열린 홀과 플루르드리스의 장비를 이용해 알버스 나이트를 만듬)가 된다.] 이후의 테오, 아딘, 플루르드리스는 에클레시아가 파문된 것에 반발하다가 드래그마를 탈퇴하여 상검으로 이적했고, 수장인 막시무스는 성혼(낙인)이 있는 드래그마의 백성들 전원을 [[데스피아]]로 변이시켜 본격적으로 침략을 개시하게 되어 집단으로써는 붕괴되었다. 에클레시아 파문 후 새롭게 세례를 받은 성녀인 알버스 세인트 또한 데스피아와 함께 활동을 한다. 이후 스토리는 [[팬텀 레이지]]에서 발매된 [[트라이브리게이드]]를 거쳐 [[브레이징 보텍스]]에서 발매된 [[스프리건즈]],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서 발매된 [[낙인(유희왕)|낙인]], [[던 오브 마제스티]]에서 발매된 [[데스피아(유희왕)|데스피아]], [[버스트 오브 데스티니]]에서 발매된 [[상검]]과 [[히스이(유희왕)|히스이]], [[디멘션 포스]]에서 발매된 [[세리온즈]],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발매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발매된 [[비스테드]]로 이어진다. 최종적으로는 [[진염룡 알비온]]의 [[낙인(유희왕)#빛나는 왕의 낙인|빛나는 왕의 낙인]]에 의해 데스피아화했던 드래그마의 백성들이 원래 모습을 되찾았고, 트라이브리게이드의 생존자들과 힘을 합쳐 전후 복구를 시도한다. 하지만, '''교도국가 드래그마의 멸망이 새로운 전란의 시작이 된다'''는 복선이 있다. == 성능 == 엑스트라 덱을 쓰는 덱들을 카운터하는 컨셉. 다만 [[제왕(유희왕)|진제왕영역]]이나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등을 채용하던 이전의 엑스트라 덱 메타 비트와 달리, 드래그마는 일부 카드의 디메리트를 빼면 자신도 엑스트라 덱을 적극적으로 쓰는 구성을 취한다. 상황에 따라 범용 몬스터를 소환할 뿐만 아니라, 드래그마 카드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 카드를 덤핑해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하는 효과를 쓰는 식으로 쓰인다. 공개 당시엔 저평가됐지만 연구가 지속돼 강력한 카드군임이 밝혀졌으며, 발매 직후 [[섀도르]]와 [[소환수(유희왕)|소환수]]를 투입한 드래그마 섀도르 소환수, 일명 '드섀솬' 덱이 공인 대회에서 우승했다. 단 이때는 섀도르 융합 몬스터와 [[섀도르크]]만 투입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상술한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로 섀도르크의 융합 소재를 마련하는 것. 빌드에 따라 상대 턴에 [[엘섀도르 네피림]]을 소환해 효과로 견제하기 위해 [[섀도르 드래곤]]이나 넬섀도르 에리얼을 일부 투입하는 형태도 있었다. 이후에도 강력한 모습을 보이면서 티어권에 진입했다.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메르카바|소환수 메르카바]]로 퍼미션을 걸고, [[엘섀도르 미도라시]]로 상대의 특수 소환을 봉인하고, 막시무스 드래그마로 [[구신 누토스]]를 덤핑하여 필드를 파괴, 그리고 [[드래그마의 기사 플루르드리스|플루르드리스]]를 퍼미션 요원 겸 어태커로 사용한다. 티어권에서 대활약하자 저격용 레시피가 등장했는데,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엑스트라 덱 덤핑 효과가 상대도 덤핑해 주는 효과임을 이용해, 엑스트라 덱 공간이 남는 덱에서 [[구신 누토스]], [[PSY프레임로드 Ω]], [[사이버 드래곤 노바]]+[[소환수(유희왕)|소환수 메르카바]]를 집어넣어 카운터하거나, 묘지의 카드 효과 발동을 막는 [[소울 드레인]]을 채용하는 등 대처법이 없던 초창기보다 고전하기 시작했다. 바로 다음 팩에서 등장한 [[트라이브리게이드]]는 링크 몬스터들에게도 묘지로 보내지면 발동하는 효과가 있어 대놓고 안티 드래그마 컨셉. 그래도 본질적으로 강한 덱이라 계속 입상했다. 공개 이후 강력한 성능을 과시하며 순수는 물론, 여기저기 용병으로 뛸 정도로 지나친 범용성을 보여서 2020년 10월에 천저의 사도가 준제한 카드가 됐다. [[얼터가이스트]]의 키 카드지만 서치는 안 되는 퍼스널 스푸핑과 비슷한데, 대부분은 천저의 사도도 사도지만 에클레시아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드라고 생각하기에 물제재란 평이 많다. 겸사겸사 본격적인 제거기는 파괴뿐이라 효과 무효는 쉽게 가능해도 직접적인 제어는 어려웠던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패에서 [[무한포영]]이나 PSY프레임기어 감마 외엔 대처가 어려운 [[SNo.0 호프 제알]]도 금지돼 드래그마는 천저 준제 외엔 별 타격 없이 순탄하게 지나갔다. 다만 [[무덤의 지명자]]도 준제한 카드가 돼 드래그마 대처용 [[사이버 드래곤 노바]], [[구신 누토스]], [[PSY프레임로드 Ω]]를 채용하는 덱을 대처하기 좀 어려워졌다. 2020년 11월부터는 다른 덱이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를 받으면서 안정성이 높아졌는데, 드래그마는 쓰기 힘든 카드인 데다 견제용 엑트 카드 투입이 여전하기에 셰어가 줄었다. 2020년 12월에 발표된 금제에서 [[천저의 사도]]가 제한되자 덱 파워가 많이 줄어들었다. 이후 의식 소환 기믹을 추가했지만, 반향은 적었다. 2023년 7월에 천저의 사도가 무제한으로 석방된 이후로는, 천저 제재 이전에 정립된 소환수 드래그마가 다시 쓰이고 있다. 여기에 [[디아벨스타]]가 추가됨으로써 [[죄보]] 기믹까지 추가한 덱이 입상하는 중. === 장점 === * '''유연한 덱 구성''' 드래그마 덱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카드인 에클레시아, 플루르드리스, 천저의 사도, 퍼니시먼트를 제외하고는 어떻게 덱을 구성하던지 매우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보통은 순수 드래그마를 쓰기보다는 보통 다른 테마랑 섞여서 쓰이는 경우가 매우 많다. 대표적으로 소환수나 섀도르, 아예 이 둘과 섞인 소환수 섀도르 드래그마라는 혼합 덱도 꽤 존재한다. 엑스트라 덱 구성 역시 제법 여유로운 편인데, 회신룡 배스터드 2~3장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전부 같이 섞어 쓰는 테마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로 가득 채우면 되기 때문.[* 다만 보통 같이 섞어 쓰게 되는 소환수나 섀도르나 이 둘 다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를 쓰기가 좀 힘들다. 아예 못 쓰는 수준은 아니지만....] * '''강력한 서포트 능력''' 위의 장점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인데, 드래그마 덱의 중심을 이루는 키 카드들이 다른 덱에 들어가도 상성이 굉장히 잘 맞는다는 건데, 일단 내 필드건 상대 필드건 엑스트라 몬스터가 있기만 하다면야 전개가 우수수 진행되는 데다가, 그런 카드들이 드래그마 자체의 영향이 아닌, 엑스트라 덱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 때문에,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높은 덱과의 궁합이 최상급에 달한다. * '''낮은 엑스트라 덱 의존도'''(순수축,령사축) 순수 드래그마나 령사 축 같은 테마에서 사용시 두드러지는 점인데, 엑스트라덱을 허구한날 털어대는 크샤트리라 같은 적들에게서 엑스트라 덱 저격을 크게 당하지 않는다. 또한 자신의 엑스트라 덱을 갈아서 역으로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견제하고, 그 과정에서 구신 누토스 등을 이용해서 추가견제까지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이 장점은 엑트를 잘 써먹지를 않는 순수축이나 령사축 한정이고, 소환수 축이나 데스피아 등의 엑트 의존도가 높은 용병이 있을 때는 도리어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하단에 서술한다. * '''무지막지한 엑스트라 덱 덤핑 능력'''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마르게 하는데는 이만한 테마도 드물다. 특히 이 능력은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가 높은 대부분의 테마에게 해당하는 능력인데, 기본적으로 막시무스로 2장, 알버조아로 최대 7장까지 상대 엑스트라 덱을 갈아버릴 수 있다. 이중에서 상대 전개 완성 결과물이라던가, 전개 과정의 몬스터가 필연적으로 갈려나가므로 이후 상대는 전개 자체에 막대한 지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남은 몬스터들로 어떻게 전개를 해놓아도 공수 4천의 엑스트라 몬스터 한정 절대 내성을 가진 알버 조아를 뚫기는 상당히 어렵다. 물론 이런 엑스트라 덤핑 능력은 자신에게는 오로지 이득으로 돌릴 수 있는데, 자신은 그냥 알버스의 낙윤 융합 몬스터들을 떨궈주면 엔드페이즈에 서치나 특수소환까지 연계할 수 있어 어드밴티지로 적용된다. 다만 상대가 엑스트라 덱을 안 쓰면 이야기가 확 달라지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단에 서술. === 단점 === * '''에클레시아에 대한 매우 높은 의존도''' 에클레시아의 드래그마 카드 서치의 중요도가 매우 높은데, 에클레시아가 패에 없다면 덱 자체의 파워가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서치하는 방법이야 회신룡 배스터드를 묻어서 엔드 페이즈에 서치하거나, [[천저의 사도]]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나마 23년 7월에 천저의 사도가 무제한이 돼서 상황이 많이 나아지기는 했다. * '''의외로 높은 엑스트라 덱 의존도'''(혼합형) 에클레시아에 대한 의존도만 높다면 차라리 다행인데,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도 그 못지 않게 높다. 사실 순수 드래그마 덱 자체로만 놓고 본다면 엑스트라 덱의 의존도가 높다고 말할 수는 없는데,[* 회신룡 배스터드 3장과, 묘지로 보내지면 파괴를 진행하는 구신 누토스 정도만 투입하면 나머지는 대충 채워도 된다.] 순수 드래그마의 파워가 그렇게 센 편은 아닌지라 보통은 소환수나 섀도르 등이랑 같이 쓴다는 걸 생각하면 같이 조합되는 테마들의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대부분 높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그 덕분에 남들은 매우 쓰기좋은 졸부와 겸허의 항아리를 쓸 상황이 쉽게 나오지는 않는다는 것. * '''상대의 엑스트라 덱 활용도에 따른 극단적인 상성표''' 드래그마의 힘의 원천은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와장창 갈아버려서 전개 결과물 자체를 약화시켜놓는 것이 주력이다. 문제는 상대가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아닌 메인 몬스터로 승부를 본다면 대부분의 드래그마의 효과가 도리어 상대를 도와주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나온다. 상대가 엑트를 안쓴다면 엑트를 아예 비워놓는 제왕이나 진룡 정도가 아니고서야 결국 상대는 엑트에 [[구신 누토스]]같은 견제 카드를 넣는 경우가 매우매우 많기 때문에 자신의 전개를 위해 막시무스나 알버 조아의 등으로 엑트 덤핑을 하는데 상대의 덤핑되는 누토스 등으로 인해 오히려 내 빌드가 '''0턴에 빌드 붕괴'''[* 구신 누토스의 파괴, 가루라(마스터듀얼)로 아드 창출, 트러블 써니, 윈드페가수스 탄창 충전, 메레올로직의 무효화 등. 상대 엑덱 털이가 오히려 상대를 도와주는 상황이 된다.]되는 나는 눈물 없이는 못보는 장면도 많이 연출된다. 그렇다고 덤핑을 안하게 되면 빌드 자체가 약하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덤핑할 수 밖에 없다. 덤으로 알버 조아의 내성은 메인몹 상대로는 그저 공수가 많이 높은 하찮은 바닐라에 불과하기에 별 도움도 못되는 것은 덤. 그나마 오프에서야 사이드에 낙인이나 소환수 카드를 채용해서 운영을 변환하는 변칙 운영이라도 있지, 사이드가 없는 마스터 듀얼에서는 그냥 억까 수준으로 패배하는 수 밖에 없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닫혀버린 땅에 사는 자'에서 [[트라이브리게이드]], [[스프리건즈]]와 함께 등장한다. [[드래그마의 기사 플루르드리스]]와 [[드래그마의 알버 조아]]에 전용 소환 연출 Live2D가 적용되어 있다. 동양에서는 [[천저의 사도]] 제한으로 인한 패말림 때문에 60장-섀도르-소환수 덱에 고점을 높이는 용도가 아닐 경우 웬만하면 투입하지 않는다.[* [[천저의 사도]]가 준제한일 때는 초동용 카드로서 마구 사용했지만, 제한이 되어 쓰기 애매하다. 그다지 필요없는 파츠인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드래그마의 기사 플루르드리스]]가 패에 잡히는 리스크 대비 리턴이 너무 좋지 못하기 때문. 준제한일 때는 누구나 넣고 다녔지만 제한이 되자 채용률이 엄청나게 감소한 [[PSY프레임기어|PSY프레임기어 감마]]를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TCG는 [[천저의 사도]]가 준제한인 상황이고 얼마 전까지는 무제한이었던 만큼 연구가 활발했던 관계로, 해당 환경에서 듀얼했던 서양권은 과거 2020년 1~3분기쯤에 OCG에서 유행하던 형태인 드래그마-섀도르-소환수 덱 형태로도 자주 굴린다. [[https://www.masterduelmeta.com/tier-list/deck-types/Invoked%20Dogmatika%20Shaddoll|#]] [[https://www.masterduelmeta.com/tier-list/deck-types/Invoked%20Dogmatika|#]] [[https://www.masterduelmeta.com/top-decks|#]] 셰어 수만 놓고 보자면 [[팬텀 나이츠]], [[LL]] [[트라이브리게이드]] 이상인 상태. 기존 플레이에 고점을 높이기 위해 네메시스 코리도,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초뇌룡-썬더 드래곤|초뇌룡-썬더 드래곤]] 파츠를 집어넣어 선턴에 상대의 서치와 특소를 봉인하는 무시무시한 덱도 있는가 하면, 패말림 완화와 운영 플레이 강화를 위해 [[섀도르]] 파츠의 비중을 높이고 [[초융합]]을 투입한 덱도 있다. 패가 잘 잡히면 선공에 2퍼미션 + [[엘섀도르 미도라시]] 빌드를 갖추는 게 플레이의 기본으로 상당히 강력한 필드를 구축하며 '''니비루를 절대 안 맞지만'''[* 메르카바가 4소환만에 등장하므로 상대 니비루는 패에서 썩을 수밖에 없다.], 패 말림이 꽤 심하며 패가 말리면 고점이 상당히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로는 초창기엔 덱 스페이스가 널널하면서 초동이 상대적으로 약한 [[충혹마]]가 채용하기도 했다.[[https://www.masterduelmeta.com/tier-list/deck-types/Traptrix%20Dogmatika|#]] 2023년 8월 시점에선 거의 쓰이지 않지만, 특유의 후공 돌파력과 타점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크샤트리라]] 다음으로 엔진으로 고려되고 있다. 오프처럼 천저의 사도가 무제한으로 석방되면서, 엑덱 의존도가 적은 덱에서 드래그마를 용병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4 === || '''{{{#FFEDB9 메인 덱의 하급 "드래그마" 몬스터의 공통 효과}}}''' || || {{{#ffffff 효과 몬스터}}} ||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 (각 몬스터마다 고유 효과)|| ||<-3> '''{{{#FFEDB9 메인 덱의 "드래그마" 몬스터 효과 비교}}}''' || ||
{{{#ffffff 카드명}}} || {{{#ffffff 능력치}}} || {{{#ffffff ⓑ의 효과}}} || ||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 1500/1500 ||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이외의 "드래그마"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 '''드래그마의 철퇴 테오''' || 1800/1500 ||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600 올리고,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600 내린다. || || '''드래그마의 천계 아딘''' || 1000/1800 ||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마의 천계 아딘" 이외의 "드래그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 [[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마의 성녀 에클레시아)] ==== 드래그마의 철퇴 테오 ==== [[파일:教導の鉄槌テオ.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마의 철퇴 테오, 일어판명칭=教導(ドラグマ)鉄槌(てっつい)テオ, 영어판명칭=Dogmatika Theo\, the Iron Punch, 속성=빛,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15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③: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600 올리고\,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600 내린다., )] 고유 효과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공격력을 600 내리고 자신의 공격력을 600 올리는 기동 효과. 에클레시아의 효과로 가져왔다는 가정하에 플루르드리스의 하위 호환이 되는데, 이 카드는 오로지 자신 턴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할 수도 없고 기본 타점도 낮다. 게다가 다른 자신의 드래그마 몬스터의 타점을 내리면 내렸지 올려주지도 못하고 기껏 올린 공격력도 턴 종료 시에는 원래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드래그마에서 채용될 일은 전혀 없다. 그나마 차별할 수 있는 것은 패에 이 카드만 달랑 잡혔을 때 플루르드리스와는 다르게 일단 사용은 할 수 있다는 것 정도. 이름의 유래는 그리스어로 '신의 선물'을 뜻하는 테오도로스. 설정상 플루르드리스가 이끄는 근접 전투 부대에 속해있으며 강력한 힘을 지닌 성구로 사교도들과 싸운다. 에클레시아가 파문당한 직후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결정에 반발해 플루르드리스, 아딘과 함께 드래그마 교단에서 탈퇴한다. 탈퇴하는 과정에서 중상을 입은 플루르드리스를 데리고 떠돌다 [[상검]]의 도움을 받고 [[헌원의 상검사|새로운 힘을 얻었다.]] 이후 스프리건즈의 본진을 찾아내 에클레시아의 행방을 알아내고 플루르드리스가 [[패사대공 골곤다]]를 즉사시키고 낙인룡 알비온의 폭주를 막는 것을 보조해 준다. 요안의 상검사 설정화에서는 세 멤버들 중 짐꾼 역할을 맡고 있다. 플루르드리스는 과거의 자기 상관 내지 동료고, 아딘은 체력이 저질이니 짐꾼 역할을 할 사람이 테오밖에 없긴 하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0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0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0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드래그마의 천계 아딘 ==== [[파일:教導の天啓アディ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마의 천계 아딘, 일어판명칭=教導(ドラグマ)天啓(てんけい)アディン, 영어판명칭=Dogmatika Adin\, the Enlightened,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8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③: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마의 천계 아딘" 이외의 "드래그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 고유 효과는 전투 / 효과로 파괴되면 덱에서 자신과 테트라드래그마 이외의 드래그마를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교도추기와 의식 드래그마 몬스터를 제외한 어떤 드래그마든 리크루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파괴되어야 햐기 때문에 쓰기 까다롭다. 심지어 제한적인 '''전투 파괴 내성'''을 갖고 있어 더욱 사용이 어려운 편이다. 그래도 상대에 의한 파괴 이외에도 발동하기 때문에 [[격류장]] 등과 활용하면 나쁘지 않은 편이고, 일단 효과를 사용하면 에클레시아와 연계해 순식간에 어드를 벌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구약[[성경]] [[에즈라]]와 [[느헤미야]]에 나오는 인명 아딘으로 추정된다. 설정상 기적의 힘으로 동료들을 지원하는 지원 부대에 속해있다. 에클레시아가 파문당한 직후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결정에 반발해 플루르드리스, 테오와 함께 드래그마 교단에서 탈퇴한다. 탈퇴하는 과정에서 중상을 입은 플루르드리스를 데리고 떠돌다 [[상검]]의 도움을 받고 [[헌원의 상검사|새로운 힘을 얻었다.]] 이후 스프리건즈의 본진을 찾아내 에클레시아의 행방을 알아내고 플루르드리스가 [[패사대공 골곤다]]를 즉사시키고 낙인룡 알비온의 폭주를 막는 것을 보조해 준다. 요안의 상검사 설정화에서는 사막 길이 고된지 혼자 힘들어하는 모습이 나왔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0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0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07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인도하는 성녀 쿠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하는 성녀 쿠엠)] === 레벨 8 === ==== [[드래그마의 기사 플루르드리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마의 기사 플루르드리스)] ==== [[막시무스 드래그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막시무스 드래그마)] ==== 핫샤신 드래그마 ==== [[파일:教導の神徒.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핫샤신 드래그마, 일어판명칭=教導の神徒(ハッシャーシーン・ドラグマ), 영어판명칭=Dogmatika Ashiyan, 속성=빛, 레벨=8, 공격력=2000, 수비력=15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가 자신 또는 상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이 카드가 패에서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핫샤신 드래그마" 이외의 자신 묘지의 "드래그마"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효과4=③: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드래그마"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 카드명의 루비는 교도의 신도 라 쓰고 핫샤신 드래그마로 읽는다. ①의 효과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천저의 사도나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효과로 간단히 불러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패에서 특수 소환됐을 경우 묘지의 드래그마 카드 1장을 패에 넣는 샐비지 효과. 드래그마 인카운터와 달리 알버스의 낙윤을 못 가져온다. ③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자신 필드의 모든 드래그마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올리는 효과로, 자신의 공격 선언 시 같은 효과를 발동하는 플루르드리스와 대칭된다. 전체적으로 미묘한 카드. 다른 카드와 연계가 필요한 건 물론, 샐비지 효과도 패에서만 특수 소환됐을 때 발동하므로 드래그마 인카운터로 묘지에서 살려내거나 하면 효과를 못 쓴다. 상관으로 보이는 막시무스 드래그마와는 궁합이 좋은데, 서치를 못 하는 천저나 함정이라 기다려야 하는 드래그마 퍼니시먼트와 달리 막시무스 드래그마는 별 조건 없이 이 카드의 특수 소환 조건을 채울 수 있다. 스토리에서는 낙윤에게 자비를 베풀어주려 한 에클레시아를 이단으로 규정하여 파문시켰으며, 에클레시아와 알버스의 낙윤을 추격해 죽이려 했지만 놓쳐버린다. 이를 계기로 에클레시아와 낙윤은 교도국가 드래그마에서 탈출해 트라이브리게이드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여정을 시작한다. 플루르드리스, 테오, 아딘도 막시무스의 이 결정에 반발하여 드래그마의 교단에서 탈퇴하며, 탈퇴를 막는 과정에서 붙은 전투에서 플루르드리스에게 상처를 입히고 이 셋이 상검을 만나는 계기가 되었다. 에클레시아와 낙윤이 스프리건즈에 입단한 이후 한동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었는데, 에클레시아 파문 사건 이후 플루르드리스, 테오, 아딘이 드래그마를 탈퇴하며 여전히 막시무스의 옆에 남았다는 것만은 확인되었고 막시무스가 드래그마의 백성들 대다수를 데스피아화 시킬때 핫샤신도 그것을 받아들여 [[데스피아#데스피아의 아드리비툼|데스피아의 아드리비툼]]으로 변화한다. 그런데 밸류어블 북 EX 3에서 의외의 사실이 밝혀졌으니, 다름아닌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반신에 해당하는 존재였다. 거기다 처음부터 [[데스피아의 도화 알베르|알베르]]의 부하로 활동하여 그의 계획이 이루어지도록 은밀하게 도움을 주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복선은 있었는데 바로 에클레시아를 파문한 것. 에클레시아는 쿠엠의 부활에 꼭 필요한 성흔을 가진 성녀라서 반드시 곁에 두어야 하는 존재였는데 그런 에클레시아가 파문당해 트라이브리게이드 일행과 함께 탈출해버렸고, 그 여파로 플루르드리스까지 탈퇴해버리며 막시무스의 계획이 꼬여 버렸다. 핫샤신이 막시무스의 편이었다면 트롤링도 이런 트롤링이 없지만 처음부터 과잉충성을 가장한 뒷공작이었던 셈이다.] '핫샤신'은 중동 지방의 교단으로, 이후 암살자를 의미하는 [[어쌔신]]의 어원이 된다. 영어명에서는 [[이슬람공포증]] 논란을 우려했는지 이란의 지명인 '[[https://en.wikipedia.org/wiki/Ashiyan|아스히얀(اشیان)]]'으로 변경.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팬텀 레이지]] || PHRA-KR00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 PHRA-JP00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 PHRA-EN009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11 === ==== 교도추기 테트라드래그마 ==== [[파일:教導枢機テトラドラグ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교도추기 테트라드래그마, 일어판명칭=教導枢機(きょうどうすうき)テトラドラグマ, 영어판명칭=Dogmatika Nexus, 속성=빛, 레벨=11, 공격력=3200, 수비력=3200, 종족=마법사족,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이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①: 자신 / 상대 묘지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합계 4장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3=②: 특수 소환된 몬스터와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이 효과로 파괴한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의 수 × 8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 드래그마의 유일한 특수 소환 몬스터이자 두 번째 레벨 11의 마법사족 몬스터. ①의 효과는 서로의 묘지에서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합계 4장 제외해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막시무스 드래그마의 ②의 효과 한 번만 발동해 줘도 바로 소재 충당이 돼서 소환하기 그리 어렵진 않다. ②의 효과는 특수 소환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 시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그중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의 수 × 8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주는 유발 효과. 이름의 추기는 [[추기경]]의 추기와 한자가 같다. 모티브는 [[테트라그람마톤]]. 설정상 드래그마의 신기로 신의 힘이 깃들어 있다. 이 힘은 대행자인 막시무스 드래그마를 통해 신도들에게 나눠지는데, 이들 중 강력한 힘을 지닌 자는 교도군이 돼 사교도들과 싸우게 된다. 에클레시아 파문 후 막시무스 드래그마가 [[데스피아]]화해서 막시무스가 불러들인 힘에 의해 [[데스피아안 프로스케니온]]이라 불리는 물건으로 변이했다. 밸류어블 북 EX 3에서 밝혀지길, 사실 이 테트라드래그마는 [[더 비스테드 알버 로스]]의 모조품에 불과했다고 한다. 멸망한 세계에서 건너온 막시무스가 알버 로스를 참고하여 만든 신기가 바로 이 테트라드래그마.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1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10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1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의식 몬스터 == === 레벨 4 === ==== [[드래그마의 알버스 세인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마의 알버스 세인트)] === 레벨 8 === ==== 드래그마의 알버스 나이트 ==== [[파일:凶導の白騎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드래그마의 알버스 나이트, 일어판명칭=凶導(ドラグマ)白騎士(アルバス・ナイト), 영어판명칭=White Knight of Dogmatika, 속성=빛, 레벨=8, 공격력=500, 수비력=2500, 종족=마법사족, 효과외1="드래그마타"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고\, 그 중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낸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묘지로 보낸 몬스터의 공격력을 합계한 수치의 절반만큼 올린다.)]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에서 등장한 드래그마의 의식 몬스터. '흉도의 백기사'라 쓰고 '드래그마의 알버스 나이트'라고 읽는다. 1번 효과는 몬스터 존에 있을 경우 자신은 엑스트라 소환이 불가능한 지속 효과. 2번 효과는 자신과 상대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1장씩 묘지로 보내고 보낸 몬스터들의 공격력의 합계의 절반만큼 올리는 효과이다. 엑덱 몬스터 중에서는 5000[* 궁극룡 기사, F.G.D, 초차원 로보 갤럭시 디스트로이어, 카디언 -오광-]을 찍는 몬스터도 있기에, 이들을 덤핑하여 3000+알파의 고화력을 내는 것도 가능하다. 궁극룡 기사와, F.G.D는 각각 빛과 어둠 속성이라 묘지 자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상대 엑덱을 덤핑하는 효과는 막시무스와 비슷하나, 알버스 나이트는 자신이 상대 몬스터를 고른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 트리거는 상대의 효과 발동이라, 매 상대 턴 발동 가능한 수준으로 널널하다. 다만 자기 턴에서 공격력 증가 효과를 사용하려면, 상대가 효과를 발동해야 한다는 게 문제다. 그래도 상대의 효과를 억제한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제 역할을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알버스의 낙윤과 적대적인 드래그마의 설정상, 낙윤이 효과를 발동할 때, 소환하려는 융합 몬스터를 저격하는 것이 모티브. 하지만 주요 소환 루트는 드래그마타로 회신룡을 버리고 소환하고 드래그마 카드 서치일 것이다. [[PSY프레임로드 Ω]]으로 사실상 노 코스트로 소환할 수 있다. 갑옷의 형태로 인해 초반에는 타락한 플루르드리스로 추정되었으나 이후 [[데스피아(유희왕)|데스피아]] 쿠에리티스와 [[요안의 상검사]]가 등장하면서 플루르드리스가 타락한 것이 아닌 그녀가 드래그마를 떠나면서 두고 간 3종 신기가 쿠에리티스로 변질되어 가는 중간 형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단, 괴로워하듯이 머리를 쥐는 것을 보면 아직 완전히 빠져나가진 못한 것일 수도 있다.] 공격력이 플루르드리스의 상승 수치와 같은 점, 추가적으로 공격력이 변동하는 것도 이 때문.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기타 사항'''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JP032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벨 12 === ==== [[드래그마의 알버 조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마의 알버 조아)] == 마법 카드 == === 교도국가 드래그마 === [[파일:教導国家ドラグ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교도국가 드래그마, 일어판명칭=教導国家(きょうどうこっか)ドラグマ, 영어판명칭=Dogmatika N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드래그마" 몬스터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의 "드래그마"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3=③: 필드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양쪽 플레이어는 각각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바깥 세계와 단절된 대륙에 자리 잡은 성당의 필드.''' >'''세련된 넓은 공간에서 날마다 사람들이 기도하는 것은 과연 평화일지, 전쟁일지.''' >---- >[[유희왕 마스터 듀얼]] 듀얼 필드(드래그마의 성당) 플레이버 텍스트 드래그마 전용 필드 마법. ①의 효과는 이 카드가 필드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드래그마 몬스터에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에 대한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지속 효과. ②의 효과는 자신의 드래그마 몬스터와 상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는 유발 효과. ③의 효과는 필드 존의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서로 [[어리석은 중장]] 효과를 쓸 수 있는 유발 효과. 엑스트라 덱 덤핑이 가능한 수단이지만 전적으로 상대에게 의존해야 해서 실용성이 낮다. [[데스피아(유희왕)|데스피아]] 카드군이 공개되면서 교도국가 드래그마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는데, [[트라이브리게이드]]와 전투를 벌이면서 아주 쑥대밭이 됐다. 게다가 성이 있던 가운데에는 낙인극의 성이 생겨났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5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5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5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드래그마티즘 === [[파일:教導神理.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드래그마티즘, 일어판명칭=教導神理(ドラグマティズム), 영어판명칭=Dogmatikacism, 효과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장착 몬스터가 "드래그마" 몬스터일 경우\,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의 레벨 × 100 올린다. "드래그마" 몬스터 이외일 경우\,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드래그마" 몬스터의 수 × 200 내린다., 효과3=②: 장착 몬스터가 파괴된 것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 드래그마 전용 장착 마법. 교도신리라 쓰고 드래그마티즘이라고 읽는다. 드래그마판 [[신데렐라(유희왕)|유리구두]]라고 할 수 있는 카드로, 드래그마 몬스터가 장착할 경우 자신의 레벨 × 100만큼 공격력을 올리고, 드래그마 이외의 몬스터가 장착할 경우 자신 필드의 드래그마 몬스터 수 × 200만큼 공격력을 내린다. 자신의 드래그마 몬스터에 장착할 경우 최대 상승치는 레벨 11의 테트라드래그마가 장착했을 때의 1100.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하면 최대 1000의 공격력을 깎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가 파괴돼 묘지로 보내지면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덤핑하는 효과로, 상대 몬스터에게 달아 약체화시키고 전투 파괴시켜 효과를 발동하는 식으로 쓰게 될 것이다. 이 효과만 보고 드래그마 이외에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필요가 있는 덱에서 쓸 수도 있겠다. 장착 마법이니 [[암즈 홀]]로 재활용도 된다. 문제는 장착한 몬스터가 파괴돼야만 이 엑스트라 덱 덤핑 효과를 쓸 수 있다는 것.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하려 해도 대상 내성이 있으면 장착조차 안 되고[* 완전 내성 몬스터의 경우 장착은 되지만 공격력은 안 내려간다.] 내 몬스터에게 장착하고 파괴해 주길 기대하기도 힘들다. 더 심각한 건 장착한 몬스터가 파괴 이외의 방법으로 제거되거나 그냥 이 카드가 제거되는 경우. 장착 마법은 특화 덱이 아니고서야 쓰기 어렵다 보니 파격적인 효과를 주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이 카드는 억지로도 쓸 이유를 찾기 어렵다. 일러스트가 충격적인데, 낙윤에게 자비를 베푼 에클레시아를 법령을 어긴 것으로 판단해 핫샤신 드래그마가 파문시켜 버린 것. 경악하는 알버스의 표정이 워낙 적절해 알버스만 따로 떼어다가 합성하는 경우도 있다. 일어판 명칭인 '드래그마티즘'은 독단주의를 뜻하는 dogmatism에 드래그마를 섞은 듯하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팬텀 레이지]] || PHRA-KR05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 PHRA-JP05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 PHRA-EN05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드래그마타 === [[파일:凶導の福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의식=, 한글판명칭=드래그마타, 일어판명칭=凶導の福音(ドラグマータ), 영어판명칭=Dogmatikalamity, 효과1="드래그마" 의식 몬스터의 의식 소환에 필요.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와 같아지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 또는 의식 소환할 몬스터와 같은 레벨의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드래그마 전용 의식 소환 마법. 흉도의 복음이라 쓰고 드래그마타라고 읽는다. 엑스트라 덱을 덤핑하는 컨셉인 드래그마답게, 엑스트라 덱에서도 의식 소재를 조달할 수 있다. 비록 한 장으로 의식 소환을 해야 하나 엑스트라 덱에서 소재를 사용하는 만큼 소환 자체는 쉽다. [[PSY프레임로드 Ω]]를 소재로 사용한다면 노 코스트나 마찬가지. 이 카드도 턴 종료 시까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소환하지 못한다는 디메리트가 달려있다. 그러나 맹세 효과도 아니며, 자기 턴에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소환할 일이 그리 많진 않은 드래그마이기에 그렇게 큰 디메리트는 아니다. 엑스트라 덱에서 소재를 조달하는 만큼 효과 자체는 좋은 편이지만 카드효과 텍스트에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의식의 밑준비]]로 서치를 할 수 없는 점과 묘지의 의식 몬스터를 의식소환 할 수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 일러스트는 막시무스 드래그마가 하늘로부터 커다란 홀을 열고 있는 모습. 이 홀의 힘으로 주민들에게 심어둔 홀의 힘을 개방해 [[데스피아(유희왕)|데스피아]]로 만든다. 이름의 뜻은 드래그마+[[스티그마타]] 또는 [[성모 마리아]]의 대명사 중 하나인 알마 마테르(Alma Mater). 영어명의 뜻은 드래그마의 영어명 Dogmatika에 '재앙'이라는 뜻의 [[캘러미티|calamity]]를 합쳤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기타 사항''' || || [[라이트닝 오버드라이브|LIGHTNING OVERDRIVE]] || LIOV-JP053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드래그마카브르 === [[파일:凶導の葬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의식=, 한글판명칭=드래그마카브르, 일어판명칭=凶導の葬列(ドラグマカブル), 영어판명칭=Dogmatikamacabre, 효과1="드래그마" 의식 몬스터의 의식 소환에 필요.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 또는 릴리스 대신에 자신 묘지의 융합 / 싱크로 몬스터를 제외하고\,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그 후\, 필드에 "드래그마의 알버스 나이트" 및 "드래그마의 알버스 세인트"가 존재할 경우\, 자신 또는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고\, 그 중의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 드래그마 두 번째 전용 의식 소환 마법. 흉도의 장렬(장례 행렬)이라 쓰고 드래그마커블라고 읽는다. 드래그마타랑은 달리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가 아닌 묘지의 융합, 싱크로 몬스터만 의식 소재를 조달할 수 있지만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을 완벽하게 맞춰야 할 필요 없고 묘지의 몬스터도 의식 소환하는 게 가능하다. 게다가 알버스 나이트, 알버스 세인트가 있으면 자신이나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 1장을 털어버리며, 이 보너스 효과를 이용해 [[의식의 밑준비]]로 가져올 수 있다. 일러스트는 데스피아의 대군을 이끌고 드래그마에 나타난 데스피아 드라마트루기아와 대치하고 있는 테오, 아딘, [[요안의 상검사]]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테오가 요안의 상검사보다 덩치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름의 뜻은 드래그마+죽음과 관련된, 섬뜩한이란 뜻의 '마카브르'(macabre).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배틀 오브 카오스|BATTLE OF CHAOS]] || BACH-JP054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낙인의 센트럴 드래그마 === [[파일:烙印の命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낙인의 센트럴 드래그마, 일어판명칭=烙印(らくいん)命数(セントラル・ドラグマ), 영어판명칭=Branded in Central Dogmatika, 효과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2=①: 자신이 마법 카드의 효과로 의식 몬스터 1장만을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또는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고\, 그 중의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②: 자신이 마법 카드의 효과로 융합 몬스터 1장만을 특수 소환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자신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리고\,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에밖에 공격할 수 없다., )] 카드명의 루비는 명수라 쓰고 센트럴 드래그마라고 읽는다. 명수(命数)는 일본어로 '''수명, 천명'''을 뜻하며 루비의 센트럴 드래그마는 [[센트럴 도그마]]에서 딴 듯. ①의 효과는 드래그마가 사용하는 [[의식 소환]]을 지원하는 효과로, 마법 카드로 의식 몬스터 1장만을 의식 소환에 성공하면 자신/상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덤핑할 수 있다. 기존의 엑덱을 공략하는 의식 드래그마의 효과를 서포트해주며, [[아크 디클레어러]]를 묘지로 보내 의식 관련 카드를 추가로 서치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데스피아가 사용하는 [[융합 소환]]을 지원하는 효과로, 마법 카드로 융합 몬스터 1장만을 융합 소환에 성공하면 그 융합 몬스터의 공격력이 원래 공격력만큼 올라가게 된다. 고공격력의 내성 몬스터를 뚫을 수 없다는 기존 낙인 융합덱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이다. 성능은 크게 언급할 여지가 없지만 섬뜩한 일러스트 때문에 주목을 받은 카드다. 상처투성이인 플루르드리스가 쓰러져 있고 에클레시아는 그녀를 껴안고 울고 있으며, 그것을 지켜보는 데스피아의 그림자와 알버스 세인트가 그려져 있다. 배경으로는 핏자국이 남은 [[아이언 메이든]](데스피아 프로스케니온의 일부로 추정)이 보인다. 마치 두 성녀들을 구원하려는 듯한 자애로운 표정을 짓고 있는 알버스 세인트가 압권이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알버스 세인트가 두 성녀들을 구원해주려는 일러스트로 보이지만 실상은 반대로 알버스 세인트 역시 둘을 흡수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희망을 버리고 쿠에리티스의 666 성녀 융합의 운명을 받아들이라는 듯한 제스쳐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이 카드와 관련된 한 가지 해프닝이 있었는데, 이 카드의 일러스트를 올리고 나서 올린 다음 트윗이 '''에클레시아와 플루르드리스가 함께 있는 두 명의 성녀 토큰의 일러스트였다.''' OCG 오리지널 스토리들은 주연들이 비참하게 죽어나가는 과격하고 자극적인 스토리 탓에 일부 유저들에게 불평을 받기도 했는데, 이 와중 노골적으로 이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트윗을 올린 탓에 맹렬한 지탄을 받았다. 현재는 두 명의 성녀 일러스트가 삭제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POWER OF THE ELEMENTS]] || POTE-JP058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드래그마매트릭스 === [[파일:凶導の聖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드래그마매트릭스, 일어판명칭=凶導の聖告(ドラグマトッリクス), 영어판명칭=Dogmatikamatrix,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이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2=●덱에서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 1장 또는 "드래그마" 의식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덱에서 "드래그마" 카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3=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또는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확인하고\, 그 중의 몬스터 1장을 골라 묘지로 보낸다., )] 카드명의 루비는 '흉도의 성고'라 쓰고, '드래그마트릭스'라고 읽는다. 딱 보면 알겠지만 dragma+matrix의 합성어. 성고란 가브리엘이 마리아에게 했던 수태고지를 뜻한다. 아무래도 합성어를 살리긴 힘든 한국어 번역은 드래그마매트릭스가 되었다. ①의 효과는 드래그마 한정 [[만수의 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면 추가적으로 드래그마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다면 에클레시아를 서치해서 추가 서치를 실시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자신/상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는 효과. 일러스트는 알버 조아로 변이한 막시무스가 낙인극의 성 데스피아에서 나오는 모습.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 PHHY-JP055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드래그마 퍼니시먼트]] === === 드래그마 인카운터 === [[파일:ドラグマ・エンカウン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그마 인카운터, 일어판명칭=ドラグマ・エンカウンター, 영어판명칭=Dogmatika Encounter, 효과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패에서 "드래그마" 몬스터 또는 "알버스의 낙윤"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자신 묘지에서 "드래그마" 몬스터 또는 "알버스의 낙윤"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 2가지 효과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패의 드래그마 몬스터나 알버스의 낙윤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고, 두 번째는 묘지의 드래그마 몬스터나 알버스의 낙윤을 회수하거나 특수 소환하는 효과다. 일러스트는 알버스의 낙윤과 에클레시아가 대치하고 있다. 일러스트로 연관 지어 볼 때 드래그마 퍼니시먼트에서 플루르드리스에게 당한 배스터드가 낙윤으로 돌아간 뒤 지상에서 에클레시아와 만나게 된 듯. 이 직후 핫샤신 드래그마의 출동과 [[트라이브리게이드]]의 난입으로 페리지트와 함께 각자의 진영을 진정시키려 하나 드래그마티즘에서 핫샤신에게 공격을 받게 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7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7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7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드래그마 제네시스 === [[파일:ドラグマ・ジェネシ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그마 제네시스, 일어판명칭=ドラグマ・ジェネシス, 영어판명칭=Dogmatika Genesi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제외되어 있는 자신 혹은 상대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몬스터 1장과\, 그 몬스터와 같은 종류(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의 상대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제외되어 있는 몬스터를 주인의 엑스트라 덱으로 돌리고\, 그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 [[블레이징 보텍스]]에서 추가된 함정 카드. 퍼니시먼트랑 반대로 제외되어 있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주인의 덱으로 되돌리고 그 몬스터와 같은 종류의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영구적으로 무효화한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에만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필드 이외의 장소에서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는 막지 못하지만 이 카드의 의미는 막시무스 드래그마와 테트라드래그마의 소환 코스트로 제외된 몬스터를 되돌리면서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막는 것. 순수 드래그마 덱에서는 엑스트라 덱의 사용이 적어서 몬스터의 종류를 다양하게 넣는 것이 여유롭기에 필드 발동은 거의 봉쇄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일러스트는 알버스 세인트의 그릇이 되는 새로운 성녀가 막시무스 드래그마에게 세례를 받는 모습.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블레이징 보텍스|BLAZING VORTEX]] || BLVO-JP070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블레이징 보텍스|Blazing Vortex]] || BLVO-JP070 ||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드래그마트루기 === [[파일:ドラグマトゥルギ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그마트루기, 일어판명칭=ドラグマトゥルギー, 영어판명칭=Dogmatikaturgy,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와 같아지도록\, 자신 필드의\, "드래그마" 몬스터 또는 의식 / 융합 / 싱크로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 / 덱에서 "드래그마"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레벨이 다른 자신 묘지의 "드래그마"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2장의 몬스터 중\, 1장을 패에 넣고\, 나머지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린다., )] [[디멘션 포스]]에서 추가된 함정 카드. ①의 효과는 드래그마 전용 긴급의식술인 셈인데 덱의 몬스터도 의식 소환할 수 있지만 드래그마의 아이덴티티였던 엑스트라 덱 덤핑 효과가 없고 그것도 필드의 몬스터를 사용해야 한다. 일단 드래그마 몬스터들은 모두 특수 소환이 쉬운 편이고 최상급 몬스터들이 의식 몬스터의 레벨을 채울 수 있으며, 의식 몬스터 본인을 바쳐도 상관없기에 세트되어 있다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도 가능.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묘지의 드래그마 몬스터 2장 중 1장은 샐비지하고 나머지는 덱 맨 아래로 되돌리는 효과. 이쪽의 경우 한 번에 2장의 몬스터를 샐비지할 수 있어 나쁘지 않은 성능이지만 효과를 어느 쪽이든 1개만 사용할 수 있어서 따로 묘지로 보낼 수단을 갈구해야 한다. 이름의 뜻은 드래그마+드라마트루기아의 이름 유래이기도 한 연극 용어 드라마트루기. 일러스트가 심상치 않은데, 낙인단죄에서 요안의 상검사에게 격퇴된 줄 알았던 드라마트루기아가 역으로 요안의 상검사를 끌고 가고 있으며, 아래에서 에클레시아가 이를 향해 쫓아가지만 놓쳐버린 듯한 모습이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디멘션 포스|DIMENSION FORCE]] || DIFO-JP073 ||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드래그마 카드군은 아니지만, 드래그마 인카운터로 소환 / 서치할 수 있거나, 드래그마 카드와 관련된 효과를 가진 카드. === 메인 덱 효과 몬스터 === ==== [[알버스의 낙윤]] ==== 해당 문서 참조. === 엑스트라 덱 몬스터 === ==== 회신룡 배스터드 ==== [[파일:灰燼竜バスター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회신룡 배스터드, 일어판명칭=灰燼竜(かいじんりゅう)バスタード, 영어판명칭=Titaniklad the Ash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드래곤족, 소재="알버스의 낙윤" + 공격력 2500 이상의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원래 레벨의 합계 × 1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한 턴에\,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다른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그마" 몬스터 또는 "알버스의 낙윤"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정규 융합 소환 난이도가 높아 보이지만, 알버스의 낙윤이 자체 융합 효과가 있어서 공격력 2500 이상의 몬스터를 추가로 필드에 확보하거나 하는 식으로 의외로 간단하게 소환 가능하다. 또한 알버스의 낙윤의 효과로 상대 필드의 공격력 2500 이상의 몬스터를 잡아먹을 수도 있다. 드래그마 덱이 아니어도 알버스의 낙윤과 같이 용병으로 투입되기도 한다. 기본 공격력은 좀 낮지만, 정규 융합 소환시엔 알버스의 낙윤의 레벨이 4라 레벨이 없는 엑시즈 / 링크 몬스터를 소재로 써도 최소 공격력이 2900이고 레벨이 있는 몬스터를 소재로 썼다면 그 몬스터의 원래 레벨에 따라 최대 4100까지 추가로 상승하므로 최상급다운 공격력은 기본적으로 갖춘다. 만약 [[흑의룡 알비온]]이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 소재로서 사용되어서 융합소환되었다면 최대 4500까지 올라간다 또한 융합 소환에 성공한 턴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 효과 내성을 얻는다. ③의 유발 효과는 무난한 서치 효과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지면 그 엔드 페이즈에 드래그마나 알버스의 낙윤을 서치하거나 특수 소환한다. 그 외에 유용한 효과나 마법 / 함정 내성은 없어서 전투 피니시용으로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게 좋다. 아니면 막시무스 드래그마 등으로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 패 트랩으로 기능 가능한 플루르드리스를 서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름인 배스터드는 낙윤과 같이 서자를 뜻한다. 또한 회신룡의 '회'가 '재'를 뜻함을 보면 영어로 재를 뜻하는 'dustard'도 이름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배스터드란 단어가 서양에선 [[후레자식]]을 뜻하는 욕설로 의미가 변했기에, 영문명은 Titaniklad로 완전히 변경됐다. 영문명의 유래는 [[타이타닉|Titanic]]과 '사내아이, 청년'을 뜻하는 Lad로 추정. 알버스의 낙윤의 첫 번째 변화체로, 드래그마와 트라이브리게이드가 전쟁을 벌이던 도중 느닷없이 이 형태로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한다. 그러나 금방 플루르드리스에게 패배하고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다. 회신(灰燼)은 불에 타고 남은 재를 뜻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OTD-KR03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JP038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br][[얼티밋 레어]][br]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Rise of the Duelist]] || ROTD-EN038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혁언룡 그랑기뇰]] ==== === 마법 카드 === ==== [[천저의 사도]] ====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후술할 카드 외에도 천저, 에클레시아, 퍼니시먼트, 플루드 정도만 넣으면 나머지 공간을 다른 카드군으로 채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테마와 섞어서 쓸 수 있다. 여기서는 그나마 순수에 가까운 드래그마 덱에서 채용하는 용병을 서술한다. 드래그마에 같이 투입하는 카드는 묘지로 보내지면 발동하는 카드, 또는 묘지에서 효과를 사용할 수 있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을 채워 넣으면 된다. * 의식 *[[디클레어러]] 디클레어러 디바이너와 아크 디클레어러를 투입해서 서치 수단을 늘릴 수 있다. 천저의 사도로 아크 디클레어러를 묻으면 천저로 드래그마 의식 몹, 아크 디클레어러로 드래그마타를 서치해서 원 핸드로 의식 소환할 수 있다. *[[의식의 밑준비]] 드래그마 카브르의 등장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 융합 *[[구신 누토스]], [[중생대 화석 기사 스컬나이트]] 묘지로 보내졌을 시, 혹은 묘지에서 발동할 수 있는 무난한 파괴 효과. *[[섀도르]] -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미도라시]], [[엘섀도르 네피림]] 묘지로 보내지면 섀도르 카드를 패에 넣을 수 있는 아프카로네를 천저나 퍼니시먼트, 막시무스로 떨구고, 이 효과로 섀도르크를 패에 추가해 상대 턴에 미도라시를 뽑아 특수 소환을 제한하거나, 네피림을 뽑아 상대 턴에 넬섀도르 에리얼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의 묘지를 3장 갈아버리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묘지로 보내진 다음 턴 스탠바이 페이즈에 융합 / 퓨전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 주로 [[초융합]]을 서치해 빌드가 무너진 후의 후속타를 준비한다. *[[공명의 날개 가루라]] 묘지로 보내지면 1드로우를 볼 수 있다. 공격력이 정확히 1500이기 때문에 천저로 떨구면 아드를 하나 더 벌 수 있다. * 싱크로 *[[PSY프레임로드 Ω]] 묘지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을 엑스트라 덱으로 다시 퍼 올려 무한 덤핑이 가능하게 해주는 카드. 또는 이 카드를 덤핑하고 사용한 천저의 사도를 덱으로 되돌리는 방법의 재사용도 가능하다. *[[윈드페가수스@이그니스터]] 발동 조건은 빡빡하지만, 자신 필드의 카드가 파괴될 경우 필드 / 묘지에서 제외해 필드의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상대가 카운터 목적으로 투입한 누토스를 재차 카운터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크 디클레어러]] 일반적인 드래그마 덱에서는 [[고성대 사우라비스]]를 서치해 [[무한포영]], [[이펙트 뵐러]] 등으로부터 자신의 몬스터를 지킬 수 있고, 의식 카드군과 섞을 경우 만능 서치 용병이 될 수 있다. 드래그마가 알버스 나이트를 시작으로 의식 테마의 성격을 띄게 되면서 활용도가 더욱 올랐다. * 엑시즈 *[[메레올로직 애그리게이터]]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앞면표시 카드 한장을 대상으로하고 턴 종료시까지 그 효과를 무효화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공격력도 2600이라서 드래그마 퍼니시먼트의 조건을 만족시키기도 용이하고, 11기 기준으로 엑시즈 몬스터 중 유일하게 덤핑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아르테미트 슬레이의 소재로서 넣어볼만 하다. *'''[[소환수(유희왕)|소환수]]''' 드래그마와 섞는 테마군 중 최강이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조합이다. 자체적으로 일반 소환된 후 알레이스터로 링크 소환을 하고, 소환마술로 메르카바를 뽑아 에클레시아나 막시무스가 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식으로 사용된다. 천저가 제한일 시기에는 드래그마를 같이 쓰기가 힘들어서 빠졌었으나, 천저가 무제한으로 풀리고 난 이후로는 다시 합을 맞추는 추세. *'''[[섀도르]]''' 역시 드래그마와 자주 섞인다. 보통 아프카로네를 덤핑하여 섀도르크를 서치한 후, 상대 턴에 미도라시로 잇는 방식을 취한다. 위의 소환수까지 합쳐서 소환수 섀도르 드래그마로 운영하는 쪽도 제법 많다. *[[데스피아(유희왕)|데스피아]] 데스피아 융합 몬스터의 소재 지원 및 부족한 퍼미션 능력을 보충해 줄 수 있다. 다만 드래그마의 디메리트는 주의할 것. [[데스피아안 루루와릴리스]]의 경우 드래그마에서도 같이 사용될 것을 전제로 한 듯한 지원이기에 엑스트라 덱의 자리를 내어줄 가치가 있다. *[[디스트로이메어 이브리스]] 링크 소재가 되면 상대 필드로 넘어가는 효과를 활용, 링크 소재가 되면서 에클레시아가 특소 가능한 환경을 만들면서 무한포영같이 필드가 비어야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케어할 수 있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생기기에 드래그마매트릭스의 추가 서치 효과까지 활용할 수 있다. *[[낙인(유희왕)|낙인]] 같은 세계관의 카드임에도 약간 섞어 쓰기 애매한 감이 있었는데, 루루와릴리스가 등장한 이후 배스터드 등 알버스의 낙윤을 꺼낼 수 있는 융합체와 루루와릴리스를 묻고 엔드 페이즈에 낙윤과 카르테시아를 꺼낸 후, 상대 턴에 카르테시아의 효과로 융합 몬스터를 꺼내는 선택지가 생겼다. *[[아르테미트 슬레이]] 다양한 소환법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덤핑하여 사용하는 특성상 드래그마와 강력한 궁합을 자랑하며, 후공돌파에 특화된 유사 천저의 사도처럼 사용할 수 있다. 턴 제약도 없어 후공돌파형으로 덱을 짤 경우 3장 풀투입되는 카드이나 선공형일 경우 빠지는 카드.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의식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