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 스트럭처 덱 일람)] ||<-5><#000000><:>{{{#white [[유희왕/OCG|{{{#white 유희왕/OCG}}}]]의 [[스트럭처 덱(유희왕)#s-2.2|{{{#white 스트럭처 덱}}}]]}}}|| ||<:> [[데블즈 게이트]] || → ||<:> '''드래고닉 군단''' || → ||<:> [[해황의 포효(스트럭처 덱)|해황의 포효]] || [목차] == 개요 == [youtube(4_QDrwVGQ98)] [[유희왕]]의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정보 == 22번째로 나온 스트럭처 덱. 일본 기준 발매일은 2011년 12월 10일이다. 캐치 카피는 '지금, 빛과 어둠이 세계를 창조한다! 진격하라, 거대한 군사들이여! 나타나라, 쌍벽의 용!'이다. 위의 캐치 카피에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마치 [[카오스 솔저 -개벽-]]의 귀환을 축복하듯이 빛 속성과 어둠 속성, 그리고 [[드래곤족]]을 테마로 잡았다. 즉 '''[[카오스(유희왕)|카오스]] 드래곤 덱'''이다. 이 카드군들의 성능은 [[카오스 드래곤]] 참조. 빛과 어둠 두 속성을 테마로 했기 때문인지, [[사이버 드래곤]]과 [[바이스 드래곤]], [[구원광]]과 [[암흑차원의 해방]]처럼 각 속성별로 서로 짝을 이루는 듯한 카드들이 많다. 이런 식으로 나오다 보니 드래곤족 중심이긴 하지만 드래곤족 이외의 몬스터들도 꽤 들어있는 편이다. 표지 몬스터는 [[라이트펄서 드래곤]]과 [[다크 플레어 드래곤]]. 스트럭처 덱 사상 최초의 이중 표지 몬스터로 서로를 마주보는 자세로 표지에 실려있다. 각 용의 색깔에 맞게 상자의 절반은 흰색, 절반은 검은 색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SD17과 그 이후의 반 노출된 플라스틱 구조를 가진 상자의 스트럭처 덱과는 달리, 그 이전 처럼 종이 상자에 작은 플라스틱 창이 뚫려 있는 상자 형태로 되어있다. 특이하게도 이번에는 기존 스트럭처 덱 체제에서 벗어나 울트라 레어 2종, 슈퍼 레어 1종, 노멀 37종이라는 독특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덱의 신규 카드들의 효과는 대부분의 스트럭처 덱들과는 달리 상대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기보다는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세팅하고 유지시키는 성향이 강하다. 몬스터들의 공격력도 한 테마의 새로운 피니셔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초기에는 앞의 [[잃어버린 성역(스트럭처 덱)|두]] [[데블즈 게이트|스트럭처 덱]]이 나오자마자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던 것에 비하면 딱히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다가 결국 마치 이 스트럭처 덱 3개를 뜯어 나온 내용물로 짠 듯한 풀 몬스터에 근접한 형식의 덱이 미국 YCS에서 우승했다! 흔히 '카오스 드래곤'이라 불리는 이 덱은 TCG 뿐만 아니라 OCG에서도 점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급기야는 [[성각]]과 함께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제한화를 불러왔다. 이 덱에는 카오스 소서러가 2장 들어있지만, 2012년 9월 금제에서 카오스 소서러가 제한되는 바람에 이 덱은 나온지 1년도 안 되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품이 되고 말았으나 1년후 2013년 9월, 준제한이 되어서 사용 가능한 상품으로 돌아왔다! 미국에서는 'Dragons Collide'라는 조금 다른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카오스 소서러가 1장으로 줄고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가 대신 들어갔으며, 사이버 드래곤 대신 [[창세신|창세의 예언자]], 구원광 대신 [[카드 트레이더]]가 있다. [[http://www.yugioh-card.com/en/products/sd-sddc.html|미국판 공식 홈페이지]]의 설명이 아주 가관인데, 서로 싸워오던 광암 드래곤들이 '''협력하지 않으면 라이트펄서와 다크 플레어에게 박살나기 때문에''' 이 둘 아래 한 팀으로 뭉친 것이 이 스트럭처 덱이라고 한다. 또 이클립스 와이반이 이 둘이 깽판을 치는 사이에 시공간을 다루며 우주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카오스 드래곤]] 몬스터들은 우주에 관련된 설정을 갖고 나오는 것이 컨셉인 것인지, 훗날 역시 우주에 관련된 이름과 [[카오스(유희왕)|카오스]]를 연상시키는 효과를 지닌 드래곤족 몬스터 콤비인 [[휘백룡 와이버스터]]와 [[암흑룡 코라프서펜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카오스 드래곤은 한때 티어권에서 활약했음에도 파워인플레이션에 묻혀 자연스레 덱 스타일 자체가 사장된 특이한 경우이기도 하다. 이클립스 와이반이나 가끔씩 라이트펄서 드래곤이 쓰이는 정도고 정작 이 덱에 들어있지도 않은 휘백룡/암흑룡까지만 용병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있고 이 스트럭처 덱 기반의 구 카오스 드래곤 덱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환경이 되었다.[* 사실 당시 카오스 드래곤덱을 사장시킨 것은 [[미래융합-퓨처 퓨전]]의 금지와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제한이었다. 그리고 얼마 뒤 지수화풍 중심의 드래곤족 덱인 [[정룡]]이 출시되면서 카오스 드래곤 덱은 메리트를 잃기도 했고.] 그러나 2019년 경에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덱에 [[이클립스 와이반]]이 여러모로 활약을 펼쳤다가 금지되었다. 스트럭처 덱 R은 해황과 함께 스킵당했다. 공식적으로 이유가 밝혀지진 않았으나, 유저들 추측으로는 저게 나올 시기 즈음에 '''[[드래곤 링크(유희왕)|카오스 드래곤 덱이 이미 너무 강해서]]''' 이 이상 유의미한 추가지원을 넣어줬다간 밸런스가 무너질 것이 우려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덱 구성물 == 신규 카드는 볼드체로 표기. ||카드 번호 || 카드 이름 || 카드 종류 || 레어도 || || SD22-KR001 ||'''[[라이트펄서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 || SD22-KR002 ||'''[[다크 플레어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울트라 레어''' || || SD22-KR003 ||'''[[이클립스 와이반]]'''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 || SD22-KR004 ||[[푸른 눈의 백룡]] || 일반 몬스터 || 노멀 || || SD22-KR005 ||[[붉은 눈의 흑룡]] || 일반 몬스터 || 노멀 || || SD22-KR006 ||[[전설의 백석]] || 튜너/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07 ||[[아기 흑룡]]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08 ||[[드라고뉴트|액스 드라고뉴트]]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09 ||[[바이스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0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드래곤 그라고니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1 ||[[머티리얼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2 ||[[다크 암드 드래곤]] || 특수 소환/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3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4 ||[[카오스 소서러(유희왕)|카오스 소서러]] ×2 || 특수 소환/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5 ||[[사이버 드래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6 ||[[용마인 킹드라군|드래곤의 제왕]]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7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8 ||[[스나이프 스토커]]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19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20 ||[[라이트로드|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21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 || 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22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 리버스/효과 몬스터 || 노멀 || || SD22-KR023 ||'''[[카오스 존]]''' || '''필드 마법''' || 노멀 || || SD22-KR024 ||[[멸망의 폭렬질풍탄]]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25 ||[[흑염탄]]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26 ||[[용마인 킹드라군|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27 ||[[거룡의 도약]]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28 ||[[달의 서]] || 속공 마법 || 노멀 || || SD22-KR029 ||[[마법돌의 채굴]]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30 ||[[명추리]]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31 ||[[몬스터 게이트(유희왕)|몬스터 게이트]]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32 ||[[D·D·R(유희왕)|D·D·R]] || 장착 마법 || 노멀 || || SD22-KR033 ||[[구원광]]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34 ||[[빛의 원군]] || 일반 마법 || 노멀 || || SD22-KR035 ||'''[[용의 환생]]''' || '''일반 함정''' || 노멀 || || SD22-KR036 ||[[버스트 브레스]] || 일반 함정 || 노멀 || || SD22-KR037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 지속 함정 || 노멀 || || SD22-KR038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 || 일반 함정 || 노멀 || || SD22-KR039 ||[[암흑차원의 해방]] || 일반 함정 || 노멀 || [[분류:유희왕/OCG/스트럭처 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