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3. 리가 홈구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24%, #ffffff 24%, #ffffff 25%, #e40521 25%, #e40521 75%, #ffffff 75%, #ffffff 76%, #000000 76%)" '''{{{#!html SC 프라이부르크 II}}}'''}}} || ||||<:><#000000> '''{{{#ffffff 드라이잠슈타디온}}}[br]{{{#ffffff (Dreisamstadion) }}}''' || ||<#e40521> {{{#ffffff '''위치'''}}} || [[독일]] [[프라이부르크]] || ||<#e40521> {{{#ffffff '''개장'''}}} || [[1954년]] || ||<#e40521> {{{#ffffff '''좌석'''}}} || 국내경기 - 24,000석 / 국제경기 - 18,000석 || ||<#e40521> {{{#ffffff '''운영'''}}} || [[SC 프라이부르크]] || ||<#e40521> {{{#ffffff '''소유'''}}} || [[프라이부르크]] 시 || ||<#e40521> '''{{{#ffffff 홈 구단}}}''' || [[SC 프라이부르크]] (1954~2021)[br][[SC 프라이부르크 II]] (2021~ )[br][[SC 프라이부르크(여자)|SC 프라이부르크 프라우엔]] (2021~ ) || [[파일:external/www.thesportsdb.com/uttyws1423712691.jpg|width=60%]] [[파일:external/www.netzwerk-suedbaden.de/SCStadionSchwarzwald.jpg|width=60%]] [[파일:Schwarzwald-Stadion fans.jpg|width=60%]]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프라이부르크]]에 위치한 축구장으로 1954년부터 [[SC 프라이부르크]]가 홈구장으로 사용하다 2021년에 완공된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으로 옮긴 후에는 리저브 팀이 사용중이다. 이름은 옆 강이름을 따왔다. 이후 바데노바(2004~2011), 마게 솔라(2011~2014)에게 명명권을 팔았고, 이후 지역관광 협회에게 명명권을 넘겨 프라이부르크 주변 숲의 이름인 [[슈바르츠발트]][* 한국어로는 검은숲이라는 뜻이다.], 구장 이름으로 사용하다가 구장을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으로 옮기면서 이름이 드라이잠슈타디온으로 바뀌었다. == 역사 == 원래 SC 프라이부르크는 1928년에 빈터레어 슈타디온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었으나 [[루프트바페]]에서 활주로로 쓰려고 해서 홈구장이 없어져 버렸다. 그래서 1844 프라이부르크의 시설을 사용해야만 했다. 이후 2차대전이 끝나고 시 동쪽에 공식적으로 새로운 경기장을 지었다. 이후 거듭된 증축으로 1980년에 15,000석까지 수용인원을 늘렸고, 이후 1993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했다. 1995년에는 18,000석, 1999년에는 24,000석규모까지 늘렸다. 2012년, 더이상 이 구장을 증축해도 수익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2015년 2월 경기장 신축을 결정하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다. 투표 결과 프라이부르크 시립 공항 근처 볼프스빈켈에 수용인원 34,700명의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이라는 구장을 건설하는게 확정되었다. [[2021년]] [[9월 26일]] 6라운드 [[FC 아우크스부르크]]와의 경기가 이 경기장의 마지막 경기로 확정됐고 3-0으로 승리하면서 마지막 경기를 승리로 장식했다. == 특징 == 태양의 도시라는 별칭이 붙은 프라이부르크 시 답게 분데스리가 최초로 태양열로 전력을 공급한다. 프라이부르크가 친환경을 추구하는 도시기도 하고 구장 스폰서 덕에 이런 시설을 구축하기 매우 쉬웠다. [각주] [[분류:독일의 축구장]] [[분류:SC 프라이부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