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드니 라방}}}[br]Denis Lavant'''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lavant-denis-1.webp|width=100%]]}}} || ||<|2> '''출생''' ||[[1961년]] [[6월 17일]] ([age(1961-06-17)]세)|| ||[[오드센]] 뇌이쉬르센||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배우]] || || '''활동''' ||[[1982년|1982년 – ]][[현재]] || || '''신체''' ||160cm || || '''가족''' ||배우자 라저카 벤 사디아 라방[br]슬하 딸 1명||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9725213264Z.1_20201111105519_000+G3EGV1AKT.1-0.jpg|width=100%]]}}} || >그는 마치 조각처럼 입체적으로 생겼다. 또, [[무용가]]였기 때문에 신체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안다. 영화사 전체를 통틀어서 이런 배우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를 처음 만났을 때, 토드 브라우닝 감독[* [[프릭스(1932)|프릭스]]로 유명한 미국의 영화 감독.]의 《스탬볼의 처녀》(1920), 《치외법권》(1921)에서 맹활약한 배우 론 채니(Lon Chaney)를 보는 듯했다. 그 정도로 [[괴물]] 같았다. 강한 임팩트를 줄 수 있는 배우는 어느 시대, 아무 데나 있는 게 아니다. 그런 배우가 지금 내 옆에 있는데, 내가 또 누굴 쓴단 말인가.[* 2009년 내한 당시 기자가 레오스 카락스에게 "감독이라면 여러 배우와 작업하고 싶은 욕심이 있을 텐데 매번 드니 라방만 고집하는 이유는 뭔가."라고 질문했는데, 레오스 카락스는 이렇게 답변했다.] >---- >[[레오스 카락스]] [[http://m.cine21.com/news/view/?mag_id=58663|#]] [[프랑스]]의 [[배우]]. 독보적인 연기력과 한번 보면 잊을 수 없는 개성넘치는 외모로 유명한 [[성격파 배우]]다. 영화 감독 [[레오스 카락스]]의 [[페르소나 관계의 인물|페르소나]]이기도 하다. == 생애 == 1961년 6월 17일, 뇌이쉬르센에서 [[심리학자]] 어머니와 [[소아과]] 의사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연기, [[서커스]], [[무언극]]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13살에 마임 배우 마르셀 마르소(Marcel Marceau)를 동경해서 [[판토마임]], 서커스, [[무용]] 수업을 들었다. 서커스를 아주 좋아해서 부조리한 상황을 묘사해 의미있는 웃음을 주는 [[광대]]들이 자신의 롤모델이었다고 한다. 또 집에 오면 광대의 걸음걸이나 [[저글링]], [[외발자전거]] 타기, 손 걷기, [[줄타기]] 등 그날 본 것을 따라하면서 혼자서 서커스 기술을 독학했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1265|#]] 이러한 영향으로 [[슬랩스틱]], [[아크로바틱]], [[춤]]같은 격렬한 움직임을 사용한 육체적인 퍼포먼스에 굉장히 능하다. 그래서 '신체 연기의 달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친구들과 연극 그룹을 결성해서 연기 활동을 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파리 음악원[* Paris Conservatoire.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학교다.]에 들어가 배우 자크 라살(Jacques Lassalle) 밑에서 연기 훈련을 받았다. 음악원에 들어가기 전에도 벨기에 극단에서 연기를 했다. 이곳에서 '삶과의 관계'를 배웠다고 한다. [[https://www.radiofrance.fr/franceculture/podcasts/les-masterclasses/denis-lavant-l-ideal-c-est-d-avoir-un-rapport-poetique-a-la-vie-au-quotidien-et-de-ne-pas-avoir-besoin-de-scene-pour-exercer-cela-1779940|#]] 그리고 1982년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햄릿]]》과 《[[베니스의 상인]]》에 출연하면서 연극계에서 본격적인 배우 경력을 시작했다. 또 이 해에 [[TV 영화]] 《롬브르 무대》와 로버트 호세인 감독의 영화 《[[레 미제라블]]》에서 몽파르나스 역을 연기했다. >드니 라방 "첫 영화를 하면서 레오스 카락스는 내 몸이 유연한 걸 봤고 그런 연기를 계속 시켰어요. 나중엔 익살을 떨고 곡예까지 하라더군요. [[찰리 채플린]], [[버스터 키튼]]처럼. [[무성영화|무성 코미디]]의 예술적인 느낌을 지금 보여주란 겁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329694|#]] 1984년, [[레오스 카락스]]의 데뷔작 《[[소년, 소녀를 만나다]]》의 주인공 알렉스 역[* [[소년, 소녀를 만나다]], [[나쁜 피]], [[퐁네프의 연인들]]에서 남자 주인공의 이름은 모두 '알렉스'다. 알렉스는 레오스 카락스의 본명 '알렉스 크리스토페 뒤퐁'에서 가져온 것으로 알려진다. 드니 라방은 "그게 감독 본명인 만큼 자신을 투영시키는 것 같다"며 "레오스 카락스와 내 자아를 분열시키기도 하고 삐딱하게 보여주기도 하고 어떤 캐릭터엔 둘이 섞여서 나온다"고 말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47&aid=0002329694|#]]]을 맡아 이름을 알렸다. 이 작품을 만들 당시 카락스는 남자 주인공 알렉스 역을 찾기가 정말 힘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드니 라방의 사진을 우연히 봤고, 정말 특이하다고 생각해서 라방을 캐스팅했다.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1302040083|#]] 이 작품 이후, 카락스의 [[페르소나]]적 존재가 됐으며, 《[[나쁜 피]]》, 《[[퐁네프의 연인들]]》, 《[[도쿄!]]》[* segment 2 - ‘광인 (Merde)’], 《[[홀리 모터스]]》에서 주연을 맡았다. 모든 작품에서 압도적인 존재감과 연기력을 보여줬으며, 카락스의 작품 세계에서 빠트릴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 특히 카락스의 최고작으로 평가받는 《홀리 모터스》는 라방의 원맨쇼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신들린 연기를 볼 수 있다. 총 아홉 명의 전혀 다른 인물들을 연기했으며, 이 작품으로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세자르상]]에서도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지만, 수상에 실패했다. 탁월한 연기력에 비해 상복이 없는 배우다.] 레오스 카락스 작품 이외에 드니 라방을 대표하는 영화는 [[클레르 드니]]의 [[퀴어 영화]] 《[[아름다운 직업]]》이다. 클레르 드니의 최고작이자 프랑스 영화계의 기념비적인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202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순위에서 7위까지 올라갔을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라방은 이 작품에서 탁월한 연기를 펼쳤으며, 비평지 인디와이어는 그의 연기를 [[https://www.indiewire.com/gallery/best-movie-performance-90s-acting/denis-lavant/|1990년대 최고의 연기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라방은 많은 영화에 출연하고 있는 [[다작]] 배우다. 데뷔부터 지금까지 쉰적이 별로 없을 정도로 매년 프랑스나 유럽권의 [[독립 영화]]에 꾸준히 출연하고 있다. 한국 영화에도 출연한 적이 있는데, [[김기덕(1960)|김기덕]] 감독의 초기작인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연극 배우로도 명성이 높다. 프랑스 연극계를 대표하는 배우 중 한 명이며, 현재까지 왕성한 무대 활동을 하고 있다. 2008년 드니 라방은 [[https://www.filminquiry.com/denis-lavant-silent-comedian/|인터뷰]]에서 자신의 경력을 "무엇보다도, 연극 예술가이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 [[https://www.hani.co.kr/arti/culture/movie/285654.html|한국 인터뷰]]에서 "제 원래 직업은 연극인입니다. 무대 위에서 살아 있는 연기를 하는 걸 좋아합니다.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할 수 있는 훌륭한 감독과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지 작품과 관계 없이 많은 [[상업영화]]를 찍으려는 생각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2012년에는 연기 활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3등급 슈발리에장을 수여받았다. == 출연 작품 == === 영화 === ||
'''연도''' || '''작품''' || '''배역''' || || 1982 || [[레 미제라블]][br] (Les Misérables) || 몽파르나스 || ||<|2> 1983 || 우리들 사이[br] (Coup de foudre) || 군인 || || 부상당한 사나이[br] (L'Homme blessé) || ''미상'' || ||<|2> 1984 || [[소년, 소녀를 만나다]][br] (Boy Meets Girl) || 알렉스 || || 비바라비[br] (Viva la vie) || 배달원 || || 1985 || 밀고자를 찾아서[br] (Partir, revenir) || 환자 || || 1986 || [[나쁜 피]][br] (Mauvais Sang) || 알렉스 || ||<|2> 1989 || 회전목마[br] (Un tour de manège) || 베르빌 || || 모나 그리고 나[br] (Mona et moi) || 피에르 || || 1991 || [[퐁네프의 연인들]][br] (Les Amants du Pont-Neuf) || 알렉스 || || 1994 || 체스 게임[br] (La Partie d'échecs) || 맥스 || || 1995 || 저는 분명히 당신을 사랑합니다[br] (La Partie d'échecs) || 데니스 || || 1996 || [[야생동물 보호구역]][br] (Wild Animals) || 에밀 || ||<|2> 1998 || 돈 쥬앙[br] (Don Juan) || 광대 || || 거꾸로 가는 세계[br] (Le Monde à l'envers) || 자가 운전사 || ||<|3> 1999 || [[아름다운 직업]][br] (Beau Travail) || 갈룹 || || 투발루[br] (Tuvalu) || 안톤 || || 딥 인 더 우드 [br] (Promenons-nous dans les bois) || 스테판 || || 2000 || 상어[br] (La Squale) || 조커 || ||<|2> 2001 || 외포르/운전사[br] (Şoför / chauffeur) || 운전기사 || || 기혼/미혼[br] (Married/Unmarried) || 러브 || ||<|2> 2004 || 루미날[br] (Luminal) || 류 || || [[인게이지먼트]][br] (Un long dimanche de fiançailles) || 식스 수스 || || 2005 || 캄핑 사우바즈[br] (Camping sauvage) || 블레즈 || || 2006 || 미스터 론리[* [[구모]]로 유명한 하모니 코린의 영화다. 레오스 카락스도 조연으로 출연했다.][br] (Mister Lonely) || [[찰리 채플린]] || || 2007 || 캡틴 에이헙[br] (Capitaine Achab) || 에이헙 || ||<|2> 2008 || 윌리엄즈[br] (Les Williams) || 윌리엄 || || [[도쿄!]][br] (Tokyo!) || 광인 || || 2009 || 누벨바그: 바그놀레 세대[br] (Nouvelle vague : génération Bagnolet) || 미스터 로얄 || || 2010 || 우리 개를 묻어주세요[br] (Enterrez nos chiens) || 루카스 || ||<|2> 2011 || 히틀러 인 할리우드[br] (HH, Hitler à Hollywood) || 그 자신 || || [[비올레타(영화)|비올레타]][br] (My Little Princess) || 에른스트 || ||<|2> 2012 || [[홀리 모터스]][br] (Holy Motors) || 미스터 오스카[* 크레딧에 11가지 배역이 기술되어 있다] || || 천문학자의 눈[br] (L'Œil de l'astronome) || 케플러 || ||<|3> 2013 || 미하엘 콜하스의 선택[br] (Michael Kohlhaas) || 종교 개혁가 || || 오늘의 별[br] (L'Étoile du jour ) || 엘리엇 || || 더 이상 속도를 느낄 수 없다[br] (Je sens plus la vitesse) || 엘리엇 || ||<|3> 2014 || 나와 카민스키[br] (Moi et Kaminski) || 칼 루드윅 || || [[서유]][br] (西遊) || 용 || || 수선화의 비밀[br] (Le Mystère des jonquilles) || 샘 || ||<|4> 2015 || 피치포이[br] (Pitchipoï) || 피에르 || || 패티와의 스물 하룻밤[br] (Vingt et une nuits avec Pattie) || 안드레 || || 잠들지않는 에바[br] (Eva ne dort pas) || 킹 || || 그라지엘라[br] (Graziella) || 앙투안 || ||<|2> 2016 || 역사의 미래[br] (History's Future) || 복권 판매자 || || 루이페르디낭 셀린[br] (Louis-Ferdinand Céline) || [[루이페르디낭 셀린]] || ||<|11> 2018 || 우연의 일치[br] (Les Scènes fortuites) || 알렌 || || 코넬리우스, 울부짖는 방앗간[br] (Cornélius, le meunier hurlant) || 닥터 더 초우모우 || || 퀴베롱에서의 사흘[br] (Trois jours à Quiberon) || 거리의 시인 || || [[워킹 데드 나잇]][br] (La nuit a dévoré le monde) || 알프레드 || || [[원 네이션]][br] (Un peuple et son roi) || [[장폴 마라]] || || 걸스 위드 볼스[br] (Girls with Ballsi) || 바텐더 || || 탈출[br] (L'Échappée) || 집사 || || 더 마운틴[br] (The Mountain) || 잭 || || 위대한 골격들[br] (Les Grands Squelettes) || || || [[비독: 파리의 황제]][br] (L'Empereur de Paris) || 메일라드 || || 브라 이야기[br] (The Bra) || || ||<|3> 2019 || 부 젯뜨 죤느 부 젯뜨 보[br] (Vous êtes jeunes, vous êtes beaux) || 미스터 로얄 || || 후 더 퍽 알 유[br] (Who the Fuck Are You) || 정신과 악마 || || 아르날 풍, 붉은 연필의 여정[br] (D'après Arnal, itinéraire d'un crayon rouge) || 호세 카브레로 아르날 || ||<|3> 2020 || 왕들의 그날 밤[br] (La Nuit des rois) || 톡 톡 || || 실버 스케이트[br] (Les Patins d'argent) || 푸리에 || || [[가가린(영화)|가가린]][br] (Gagarine) || 제라르 || || 2021 || 트랄랄라[br] (Tralala) || 클림비 || ||<|3> 2022 || 남쪽의 보초병[br] (Sentinelle sud) || 드 루아이어 사령관 || || 인간 육체의 꽃[br] (Human Flowers of Flesh) || 헬레나 비트만 || || 태양이 작열한 이후부터[br] (Depuis que le soleil a brûlé) || 마이클 다우존 || || 2024 || C'est pas moi[* [[레오스 카락스]]의 차기작] || || === 연극 === ||
'''연도''' || '''작품''' || ||<|2> 1982 || [[햄릿]][br] (Hamlet) || || [[베니스의 상인]][br] (Le Marchand de Venise) || || 1984 || 홈부르크 공자[*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작품][br] (Le Prince de Hombourg) || ||<|3> 1987 || 갈매기[*A [[안톤 체호프]]의 작품][br] (La Mouette) || || 메두사의 뗏목[br] (le radeau de la mort) || || 거리에서 지금까지...[br] (Si de là-bas, si loin...) || ||<|2> 1991 || 바알[*C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작품][br] (Baal) || || 레게레스피콜린[*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 [br] (Les Guerres picrocholines) || || 1992 || 스툴티페라 사후 통지[*B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작품] [br] (Stultifera navis d'après) || || 1993 || 죽음이 있는 숨바꼭질[br] (Stultifera navis d'après) || || 1994 || [[리처드 3세(연극)|리처드 3세]][br] (La Vie criminelle de Richard III) || ||<|4> 1995 || [[굶주림(소설)|굶주림]][br] (La Faim d'après) || || [[로미오와 줄리엣]][br] (Roméo et Juliette) || || 그곳에서의 삶[br] (La vie là) || || 네론[br] (Néron) || ||<|3> 1996 || [[굶주림(소설)|굶주림]][br] (La Faim d'après) || || 희극인들의 안뜰[* 앙투안 비테즈(Antoine Vitez)의 작품][br] (La Cour des comédiens) || || 사랑의 공의회[* 오스카 파니차(Oskar Panizza)의 작품][br] (Le Concile d’amou) || || 1997 || 네론[br] (Néron) || || 1998 || 폭군 자코모[br] (Giacomo le tyrannique) || ||<|2> 1999 || 십자가 없는 십자군[br] (Croisade sans croix d'après) || || 바보, 마지막 밤[br] (L'Idiot, dernière nuit ) || ||<|2> 2000 || 숲 바로 전날 밤[br] (La nuit juste avant les forêts) || || 다음에 내가 이 세상에 온다면[br] (La prochaine fois que je viendrai au monde) || || 2001 || 위뷔 왕[* [[알프레드 자리]]의 작품][br] (Ubu roi) || || 2002 || 계절[br] (Les Saisons) || || 2003 || 얼굴[br] (Figure) || ||<|2> 2004 || 남자는 남자다[*C][br] (Un homme est un homme) || || 목화밭의 고독 속에서[*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작품][br] (Dans la solitude des champs de coton) || ||<|3> 2005 || 얼굴[br] (Figure) || || {{{-1 윌리엄 버로우스는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노인의 노래'를 들고 깜짝 놀랐다.[br] (William Burroughs surpris en possession du 'Chant du vieux marin' de Samuel Taylor Coleridge)}}} || || 프로젝트 H.L.A.[br] (Le Projet H.L.A.) || ||<|2> 2006 || {{{-1 나는 여자에게는 불행이 있지만 개에게는 불행이 없다[br] (Je porte malheur aux femmes mais je ne porte pas bonheur aux chiens)}}} || || [[아테네의 티몬]][br] (Timon d'Athènes) || ||<|3> 2008 || 고전과 인도인[br] (Le Classique et l'Indien) || || 성대[br] (Constellation des voix) || || 빅 슛[br] (Big Shoot) || ||<|2> 2009 || 위대한 삶[br] (La Grande Vie) || || [[아테네의 티몬]][br] (Timon d'Athènes) || || 2010 || 왕은 즐긴다[* [[빅토르 위고]]의 작품][br] (Le roi s'amuse) || ||<|2> 2011 || {{{-1 악어들을 판 플루트 위에서 춤추게 하는 것[br] (Faire danser les alligators sur la flûte de Pan)}}} || || 개, 밤 그리고 칼[br] (Le Chien, la nuit et le couteau) || ||<|2> 2012 || 연약한 에로스[br] (Les Amours vulnérables) || || 뮐러 기계[* 하이너 뮐러(Heiner Müller)의 작품][br] (Müller Machines) || ||<|2> 2013 || {{{-1 악어들을 판 플루트 위에서 춤추게 하는 것[br] (Faire danser les alligators sur la flûte de Pan)}}} || || 붉은 담배[br] (Tabac rouge) || ||<|2> 2014 || 안드로마케 10-43[br] (Andromaque 10-43) || || {{{-1 악어들을 판 플루트 위에서 춤추게 하는 것[br] (Faire danser les alligators sur la flûte de Pan)}}} || ||<|3> 2016 || 스카팽의 간계[* [[몰리에르]]의 작품][br] (Les Fourberies de Scapin) || || 엘리자베스 2세[*B][br] (Elisabeth II) || || 고틀란드 공작[br] (Duc de Gothland) || || 2017 || 최악을 향하여[*D [[사뮈엘 베케트]]의 작품][br] (Cap au pire) || ||<|2> 2018 || 소설에 각색된 군주들[br] (Monarques, adapté du roman) || || 베로 1세, 잉글랜드의 여왕[br] (Véro 1re, Reine d'Angleterre) || ||<|2> 2019 || 스마일 앳 더 래더[* [[헨리 밀러]]의 작품][br] (Le Sourire au pied de l'échelle) || ||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D][br] (La Dernière Bande) || || 2020 || 작가의 일기[*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br] (Le rêve d'un homme ridicule) || ||<|2> 2021 || 미스 탬버린 맨[br] (Mister Tambourine Man) || || 나는 내 것이 아니다[br] (Je ne suis pas de moi) || ||<|3> 2022 || 이미지[*D][br] (L'Image) || ||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D][br] (La Dernière Bande) || || 엔드게임[*D][br] (das lächeln am fuße der leiter) || || 2023 || 쥐들[br] (Rats) || == 여담 == * 사생활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작가이자 연출가인 라저카 벤 사디아 라방(Razerka Ben Sadia-Lavant)과 결혼했으며, 슬하의 딸이 있다. 내한 당시 자리에 앉자마자 손에 든 봉지 안에서 색색의 필기구를 꺼내며 “딸에게 주려고 샀다”고 자랑했다고 한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1265|#]] * [[레오스 카락스]]는 다른 배우들에 비해 드니 라방에게 유독 어렵고 무리한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세간에서 얘기하는 것처럼 강제로 무리한 요구를 한 적은 없으며, 미리 연습해보고 가능한 것만 시켰다고 한다. [[http://m.cine21.com/news/view/?mag_id=58663|#]] '감독의 만족함'과는 다르게 드니 라방은 카락스의 과도한 요구를 들어주느라 힘들어 했고, 수없이 '안되겠다. 그만두자'고 다짐했지만 정작 감독 앞에서는 '영화가 너무 좋다'고 딴소리를 했다고 한다. 또한 실제로 이 둘은 친한 사이가 아니라고 한다. 카락스는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2/04/2013020401189.html|인터뷰]]에서 "사적으로는 잘 모른다. 걸어서 5분 거리에 사는데[* 가까이 살기 때문에 길에서 만날 때도 있다고 한다. [[https://blog.naver.com/cine_play/222533117703|#]]] 서로 친하지도 않고 식사를 따로 하지도 않는다. 드니 라방과는 영화를 찍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발전시키는 관계다. 이번 영화([[홀리 모터스]])를 찍으며 발전하는 배우, 할 수 없는 게 없는 배우라는 것을 알았다."라고 말했다. 드니 라방은 [[https://www.jjan.kr/article/20080505267661|인터뷰]]에서 "카락스는 날 영화계로 이끌고 배우로서 나의 가능성을 단련시킨 감독"이라고 말했다. 2021년 카락스는 [[https://moreliafilmfest.com/en/me-siento-como-un-compositor-musical-entrevista-con-leos-carax|인터뷰]]에서 "드니는 위대한 배우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 >난 드니를 염두에 두고 영화를 구상하기 시작했고 영화마다 그의 에너지는 폭발합니다. 모든 걸 쏟아 부으며 연기했어요. 배우로서 더 성장하면서 어떤 몸 연기도 할 수 있겠구나 싶었죠. 양쪽 방향으로 재주넘기도 해냈고 드니는 못하는게 없었어요. 드니만 소화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는데 특히 내 영화는 드니 없으면 못 했을 겁니다. >---- >레오스 카락스 《다큐멘터리 미스터 레오스 카락스》 * 2008년 [[전주국제영화제]]에 참석해 처음으로 [[내한]]했다. 전주국제영화제 상영작 중 '국제경쟁' 부문의 '캡틴 에이헙'으로 영화제에 참석했다. [[전주시]] [[고사동]] 영화의 거리 쌈지에서 핸드 프린팅을 남기기도 했다. * 자신을 "프랑스 영화계에서 이방인 또는 주변인"이라고 일컫기도 했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movie/285654.html|#]] * 개인적인 의미에서 중요한 작가로 [[사뮈엘 베케트]]를 꼽았으며, 좋아하는 영화 감독으로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을 꼽았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1265|#]] * 1998년 [[조나단 글레이저]]가 연출한 UNKLE의 [[https://www.youtube.com/watch?v=XbByxzZ-4dI|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톰 요크]]가 피처링한 노래다. * 2016년 [[요르고스 란티모스]]가 연출한 [[라디오헤드]]의 [[https://www.youtube.com/watch?v=ZSaTQW26Fqk|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 2021년 [[더 뉴요커]]는 《[[홀리 모터스]]》에서의 드니 라방의 연기를 '[[21세기]] 최고의 연기 중 하나'로 선정했다. [[https://www.newyorker.com/culture/the-front-row/the-best-movie-performances-of-the-century-so-far|#]] * 평론가 [[이동진]]은 "드니 라방은, 특히 레오스 카락스 영화에서의 드니 라방은, 아마도 세상에 단 한명 밖에 없는 배우일 겁니다"라고 설명했다.[[https://blog.naver.com/lifeisntcool/130165263750|#]] 또 "드니 라방 같은 배우는 전세계에 한 명밖에 없는 것 같아요. 그런 면에서 고유한 개성은 어마어마하다고 볼 수 있죠."라고 말하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XOEQTirmik|#]] * 1994년 [[김기덕(1960)|김기덕]] 감독의 초기작 《[[야생동물 보호구역]]》에 출연했는데, 영화를 작업하는 데 하루밖에 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짧은 일정이라 감독과 대화를 할 틈도 없었지만, 분위기만으로도 소통이 잘 됐으며, 소중했던 추억이라고 밝혔다. [[https://m.khan.co.kr/article/200805041737035|#]] * 나이가 든 지금도 연습과 훈련으로, 여전히 꽤 좋은 신체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https://playstosee.com/denis-lavant-in-conversation-with-thibault-elie-english-translation-le-festival-davignon/|#]] == 외부 링크 ==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51265|씨네21 인터뷰]] * [[https://www.imdb.com/name/nm0491777/|IMDb]] * [[https://letterboxd.com/actor/denis-lavant/|Letterboxd]] [[분류:프랑스 남배우]][[분류:1961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뇌이쉬르센 출신 인물]][[분류:프랑스 문예공로훈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