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여행)] [목차] == 개요 == 관광 사업 진흥을 목적으로 [[도보 여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성한 길. 동기 부여를 위해 [[스탬프 투어]]와 병행하기도 한다. '걷기길', '걷기여행길'이나 '도보여행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걷기여행길'이라는 명칭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올레길]]과 [[서울특별시]]의 [[북한산 둘레길]]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많은 [[지자체]]에서 이를 [[벤치마킹]]해서 둘레길을 개발하였다. 가장 가까운 의미의 영어 단어로는 '[[트레일|Trail]]'( 트레일 )이 있다. == 대한민국 ==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https://www.durunubi.kr/|두루누비 홈페이지]]에서 행정구역별 둘레길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사실 경치가 꽤 좋은 길에서 이정표 몇 개 세우고, 단절된 길 몇 개 연결시키면 만들어지는 것이 둘레길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행정구역별로 많은 코스가 존재한다. 때문에 각 지자체 문화관광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어느 길이 있는지 둘러보는 것이 더 좋다. === 여러 지역에 걸친 코스 === * [[https://www.durunubi.kr/haeparang-introduction.do|해파랑길]]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오륙도]]에서 시작해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를 거쳐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 [[통일전망대(강원특별자치도)|통일전망대]]를 [[종점]]으로 [[동해]]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둘레길. 아래 남파랑길과 서해랑길이 나오기 전까지 단연 대한민국의 단일 둘레길 중 가장 길었다. 총 연장 768.5km, 50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제진검문소 ~ 통일전망대구간(6.8km)를 제외한 전 구간은 도보 통행이 가능하다.(상시통행가능구간 761.7km) 동해는 서해나 남해처럼 해안선이 복잡하지 않아 일부 보안시설[* [[원자력 발전소]]나 [[군부대]], [[공단]], 항구, 사유지 등]이 해안가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탁 트인 동해 바다를 옆에 끼고 걸으므로 전 구간이나 부분구간을 걸어본 사람들의 평가도 좋은 편이다. [[https://www.durunubi.kr/haeparang-main.do|해파랑길 홈페이지]] * 남파랑길, 서해랑길: 해파랑길의 남해, 서해 버전인 남파랑길과 서해랑길도 있는데, 남파랑길의 경우 기종점간의 직선거리는 부산 - 고성보다 부산 - 해남이 훨씬 짧지만 해안선이 매우 복잡해 남파랑길이 더 길고 복잡하다. 공식 가이드북도 해파랑길은 1권으로 되어 있는데 남파랑길은 [[경상남도]], [[전라남도]] 두 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해를 따라가는 서해랑길은 2022년 정비되었고, [[전라남도]] [[해남군]] [[땅끝마을]]에서 [[인천광역시]] [[강화군]] 평화전망대까지 코스가 103구간이나 되어 국내 최장의 둘레길이다. * DMZ 평화의 길: 남북한을 가르는 [[군사분계선|휴전선]]을 낀 [[비무장지대]]를 걷는 길. 철원 코스, 파주 코스, 고성 A코스, 고성 B코스가 있다. 2019년 기준 [[아프리카돼지열병]] 때문에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https://www.durunubi.kr/dmz-main.do|DMZ 평화의 길 홈페이지]] * [[평화누리길]]: 평화누리길은 총 12개 코스(김포 3코스, 고양 2코스, 파주 4코스, 연천 3코스로 구성), 189km의 길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길 위에서 경기도의 다양한 역사 유적을 만나는 것은 물론 마을 안길, 논길, 제방길, 해안 철책, 한강 하류, 임진강 등 다양한 길을 접할 수 있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에게는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들부터 아이들에게는 자연과 역사,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까지 자연스럽게 제공하고 있다. 경기둘레길, DMZ 평화의길과 중복된다. [[http://cafe.daum.net/ggtrail|평화누리길 공식카페]] === 수도권 === * [[북한산 둘레길]]: [[국립공원공단]]이 관리하는 둘레길. 북한산 둘레의 [[서울특별시]], [[고양시]], [[의정부시]]를 잇는 도보길 [* [[http://www.knps.or.kr/portal/dulegil/bukhansan/index.do|북한산 둘레길 홈페이지]]로.] ==== 서울특별시 ==== * [[https://gil.seoul.go.kr/|서울두드림길]] * [[https://gil.seoul.go.kr/walk/main.jsp|서울둘레길]] * [[http://seoulcitywall.seoul.go.kr/main/|한양도성길]] * [[http://gil.seoul.go.kr/walk/course/etc_gil.jsp?upper_code_idx=3000&c_idx=255&pagenum=1|근교산자락길]] * [[http://gil.seoul.go.kr/walk/course/etc_gil.jsp?upper_code_idx=1000|생태문화길]] * [[http://gil.seoul.go.kr/walk/course/etc_gil.jsp?upper_code_idx=5000&c_idx=224&pagenum=1|한깅/지천길]] * [[http://martyrs2019.cafe24.com/?page_id=16|천주교 서울 순례길]] * [[http://www.jongno.go.kr/fitness/sub04/index.jsp|종로건강산책로]] * [[http://tour.jongno.go.kr/tour/main/contents.do?menuNo=110487|골목길 탐방 코스]] - 종로구 * [[https://www.songpa.go.kr/user.kdf?a=songpa.menu.MenuApp&c=1001&cate_id=AM0306002000|한성백제왕도길]] * [[https://www.songpa.go.kr/culture/contents.do?key=3775&|송파둘레길]] - 송파구 * [[https://www.gangnam.go.kr/board/article/4959/view.do?mid=ID01_0501|강남구 걷기코스]][* 도심길 5코스, 둘레길 4코스, 힐링길 3코스 총 12코스로 구성] - 강남구 * [[https://www.jungnang.go.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1048|중랑둘레길]] - 중랑구 ==== 인천광역시 ==== *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around/intro.jsp|강화나들길]] ==== 경기도 ==== * [[https://ggcr.kr|경기옛길]] - [[경기도]] 전역 [* 삼남길, 의주길, 영남길, 평해길, 경흥길, 강화길 6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 [[구리 둘레길]] - [[구리시]] * [[다산길]] - [[남양주시]] * [[https://www.seongnam.go.kr/tour/1002004/11325/contents.do|성남누비길]] - [[성남시]] * [[https://www.hanam.go.kr/www/contents.do?key=3351|하남위례길]] - [[하남시]] [* 사랑길, 강변길, 역사길, 둘레길 4코스로 이뤄져있다.] * [[평화누리길]] -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연천군]] * [[https://www.yp21.go.kr/mulsorigil/index.do|물소리길]] - [[양평군]] [* 문화유적길, 터널이 있는 기찻길, 강변이야기길, 버드나무나루께길, 흑천길, 용문산은행나무길 6코스로 이뤄져 있다.] * [[https://nuri.goyang.go.kr/index.do|고양누리길]] - [[고양시]] * [[http://rivertrail.net/|여강길]] - [[여주시]] * 화성 3.1운동 만세길 - [[화성시]] === [[강원특별자치도]] === * [[https://www.baugil.org/index.html|바우길]] - [[강릉시]], [[대관령]] 일대 * [[http://gubigil.kr/|원주굽이길]] - [[원주시]] * [[운탄고도]] [[https://www.untan1330.com/untan|#]] - 영월,정선, 태백, 삼척 일대 === 충청도 === ==== 세종특별자치시 ==== ==== 대전광역시 ==== ==== 충청북도 ==== ==== 충청남도 ==== * [[아라메길]] - 충청남도 [[서산시]]의 둘레길 === 전라도 === * 지리산 둘레길: [[산림청]]과 사단법인 숲길이 함께 관리하는 둘레길. 지리산 둘레의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을 잇는다. [* [[http://jirisantrail.kr/|지리산 둘레길 홈페이지]]로.] ==== 광주광역시 ==== ==== 전라북도 ==== * [[구불길]] - 전라북도 [[군산시]]의 둘레길 ==== 전라남도 ==== === 경상도 === ==== 부산광역시 ==== * [[갈맷길]]: [[동해]]바다의 1코스, [[남해]]바다의 4코스, [[낙동강]]변의 6코스, [[금정산성]]의 7코스 등 테마별로 9개의 코스가 지정돼 있다. ==== 대구광역시 ==== * [[대구광역시|대구]] 올레길 ==== 울산광역시 ==== * [[대왕암]] 둘레길 * 솔마루길 ==== 경상남도 ==== * 지리산 둘레길: [[산림청]]과 사단법인 숲길이 함께 관리하는 둘레길. 지리산 둘레의 [[남원시]], [[구례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을 잇는다. [* [[http://jirisantrail.kr/|지리산 둘레길 홈페이지]]로.] ==== 경상북도 ==== * [[경주시]] [[남산(경주)]] 가는 길: 동남산 가는 길, 남산 가는 길, [[삼릉]] 가는 길 * [[신라]]탐방길 * [[탈해왕]]길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 [[올레길]] -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둘레길. == 해외 == === [[산티아고 순례길]] === * 둘레길 사업 프로그램의 원조격이다. === 큐슈 올레길 === 제주 올레길의 성공을 보고 [[일본]]에서 [[로얄티]]를 주고 수입해 갔다. == 비판 == 대한민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올레길]]을 필두로 둘레길을 만드는 것이 유행처럼 번져서 관광을 목적으로 한 많은 길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일부 길들은 꾸준한 관리가 되지 않아서 흐지부지 되거나 공사 등으로 우려할 만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우회로를 안내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주제를 제대로 잡지 않고 아무 길이나 막 만들어서 동선이 지루하거나 개성이 없는 길이 만들어지는 것도 비판점으로 꼽힌다. == 참고 == * [[자전거 도로]] * [[국토종주]] * [[배낭여행]] [[분류:여행]][[분류:인문지리]][[분류: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