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둔내 나들목'''}}}[br]{{{-2 '''屯內 나들목'''}}}[br]{{{-2 '''Dunnae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둔내 요금소'''[br]{{{-2 Dunnae Tollgate}}}}}}}}} || || [[서창JC|{{{#!html인천 방면}}}]][br][[새말IC]][br]← 17.1 km || [[영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0.svg|height=23]]{{{#!html
영동선}}}]]'''{{{#fff {{{+1 30}}}}}}''' || [[강릉JC|{{{#!html강릉 방면}}}]][br][[동둔내IC]][br]7.3 km → || ||<-3> {{{-1 {{{#0047a0 ◀ [[횡성휴게소]](양방향)}}}}}} || ||<-3> [include(틀:지도, 장소=둔내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 ||<-3> {{{#fff '''관리기관'''}}} || || [[영동고속도로|{{{#fff 영동선}}}]] ||<-2>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원주지사 || ||<-3> {{{#fff '''개통'''}}} || ||<-3> [[1975년]] [[10월 14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6)]([[경강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동고속도로]] 30번.[* 변경전 24번.]'''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둔내면]] 영동고속도로 161 (둔방내리 122-17)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둔내면]]에서 유래했다. == 구조 == === [[강릉JC|강릉]] 방향 ===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서창JC|인천]] 방향 === * 진출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진입 가능: [[경강로]] 양방향 == 역사 == * [[1975년]] [[10월 14일]]: 영동고속도로 새말 나들목 - 강릉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4032800329201011|嶺東·東海 高速도로 起工]], 1974-03-28, 경향신문][*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101400329203001|東·西가 한나절 生活圈에]], 1975-10-14, 경향신문] == 특징 == * 강원특별자치도 산간지역의 나들목들이 대체적으로 그렇듯이, 이 나들목도 겨울이 되면 진출입량이 유달리 폭증한다. 스키 리조트인 [[웰리힐리파크]](구 현대성우리조트)로 가려면 이 나들목에서 진출하는 게 가장 빠르다. * 1990년대 영동고속도로 확장·개량 전까지, 본선상에 페쇄식 기·종점인 새말요금소 외에 둔내요금소도 있었다. 1999년 월정[* 2001년 전 구간 확장시까지 임시로 운영한 '월정요금소'가 있었다.]까지 확장활 때 까지 운용하였다. 둔내요금소 이후로는 종점까지 무료구간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횡성군의 교통)] [[분류:영동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횡성군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