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두시언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2px-Dusieonhae.jpg]] == 개요 == [[당나라]] 중기 시인 [[두보]]의 시를 분류해 전 25권으로 언해한 최초의 국역 한시집으로 본래의 이름은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이다. 초간본은 [[성종(조선)|성종]] 12년(1481년)에 왕명으로 유윤겸(柳允謙) 등 [[홍문관]] 문신들이 언해했으며, 방점, ‘[[ㅿ]]’, ‘[[ㆁ]]’이 쓰였다.[* 위에 올라와 있는 사진이 이 초간본이다.] 중간본은 [[인조]] 10년(1632년)에 나오는데, 이 중간본은 초간본을 손 본 것이어서 [[방점]]과 ‘[[ㅿ]]’이 사라지고, ‘[[ㆁ]]’은 ‘[[ㅇ]]’으로, ‘[[ㄷ]]’은 ‘[[ㅅ]]’으로 바뀌며, [[구개음화]]가 나타나는, [[중세 한국어|중세 국어]]가 [[한국어#s-4.3|근대 국어]]로 변한 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이본 및 소장처 == ||이본 종류|| 연도|| 소장처|| ||원간본 권1,2,4|| 1481년(성종 12년)|| 전하지 않음|| ||원간본 권3|| 1481년(성종 12년)|| 통문관[br]석남장서 구장|| ||원간본 권5|| 1481년(성종 12년)|| 개인 소장|| ||원간본 권6||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 가람문고(교정본)[br]연세대 도서관|| ||원간본 권7||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 가람문고(교정본)[br]서울대 일석문고[br]김종오(김형규 구장본)[br]통문관|| ||원간본 권8|| 1481년(성종 12년)|| 통문관|| ||원간본 권9|| 1481년(성종 12년)|| 통문관|| ||원간본 권10|| 1481년(성종 12년)|| 한국학중앙연구원[br]통문관[br]이병주[br]문우서방(이능우 구장본)|| ||원간본 권11||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br]이병주[br]계명대 도서관(보물 1051-2)|| ||원간본 권12|| 1481년(성종 12년)|| 계명대(보물 1051-2)[br]개인|| ||원간본 권13|| 1481년(성종 12년)|| 간송미술관[br]최영란(보물 1051)|| ||원간본 권14|| 1481년(성종 12년)|| 조참연|| ||원간본 권15||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 가람문고[br]정철|| ||원간본 권16||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 가람문고[br]정철[br]통문관|| ||원간본 권17|| 1481년(성종 12년)|| 국립 중앙 박물관(교정본)[br]동경대 소창문고[br]통문관|| ||원간본 권18|| 1481년(성종 12년)|| 국립 중앙 박물관(교정본)[br]최현배 구장|| ||원간본 권19|| 1481년(성종 12년)|| 국립 중앙 박물관(교정본)[br]통문관(이인영 구장본)[br]개인 소장|| ||원간본 권20|| 1481년(성종 12년)|| 동국대[br]통문관|| ||원간본 권21|| 1481년(성종 12년)|| 동국대[br]청주 고인쇄 박물관[br]통문관|| ||원간본 권22|| 1481년(성종 12년)|| 통문관[br]김지헌(승문각)|| ||원간본 권23|| 1481년(성종 12년)|| 통문관[br]김지헌(승문각)|| ||원간본 권24|| 1481년(성종 12년)|| 서울대 일사문고|| ||원간본 권25|| 1481년(성종 12)|| 동국대(이병주 구장본)[br]이관구|| ||중간본(완질)|| 1632년(인조 10년)|| 서울대 심악문고[br]국립 중앙 도서관[br]한국학 중앙 연구원(윤석창 구장본) 등|| [[분류:조선의 도서]][[분류:훈민정음]][[분류:100대 한글 문화 유산]][[분류: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