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두산 베어스/2022년/9~10월)]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삼성 라이온즈/2022년/9~10월)]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9월 16일]] [[두산 베어스]]와 [[삼성 라이온즈]]의 양팀간 시즌 12번째 맞대결 경기다. == 스코어보드 == ||<-3> {{{#ffffff '''두산 베어스'''}}} ||<-3> {{{#ffffff '''삼성 라이온즈'''}}} || || {{{#ffffff 타순}}} || {{{#ffffff 선수명}}} || {{{#ffffff 포지션}}} || {{{#074ca1 타순}}} || {{{#074ca1 선수명}}} ||{{{#074ca1 포지션}}} || || 1 || [[정수빈]] || [[중견수|CF]] || 1 || [[김상수(타자)|김상수]] || [[유격수|SS]] || || 2 || [[강승호]] || [[2루수|2B]] || 2 || [[강한울(야구선수)|강한울]] || [[3루수|3B]] || || 3 || [[허경민]] || [[3루수|3B]] || 3 || [[호세 피렐라|피렐라]] || [[좌익수|LF]] || || 4 ||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 || [[좌익수|LF]] || 4 || [[이원석(1986)|이원석]] || [[지명타자|DH]] || || 5 || [[양석환]] || [[1루수|1B]] || 5 || [[구자욱]] || [[우익수|RF]] || || 6 || [[김민혁(1996)|김민혁]] || [[지명타자|DH]] || 6 || [[강민호]] || [[포수|C]] || || 7 || [[김재호]] || [[유격수|SS]] || 7 || [[오재일]] || [[1루수|1B]] || || 8 || [[김대한(타자)|김대한]] || [[우익수|RF]] || 8 || [[이재현(야구선수)|이재현]] || [[2루수|2B]] || || 9 || [[박세혁]] || [[포수|C]] || 9 || [[박승규(야구선수)|박승규]] || [[중견수|CF]] || || SP ||<-2> [[최승용]] || SP ||<-2> [[허윤동]] || || 미출장 ||<-2> [[브랜든 와델|브랜든]], [[로버트 스탁|스탁]] || 미출장 ||<-2> [[데이비드 뷰캐넌|뷰캐넌]], [[알버트 수아레즈|수아레즈]] || ||<-15> {{{#ffffff '''9월 16일, 18:30 ~ 22:28 (3시간 58분),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ffffff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 6,576명'''}}} || || '''팀''' || '''선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B''' || || '''{{{#ffffff 두산}}}''' || [[최승용]] || 4 || 0 || 2 || 1 || 3 || 1 || 0 || 0 || 2 || '''13''' || 15 || 2 || 7 || || '''{{{#ffffff 삼성}}}''' || [[허윤동]] || 0 || 1 || 0 || 4 || 2 || 0 || 2 || 2 || 0 || '''11''' || 17 || 0 || 1 || ||<-15> {{{#ffffff '''캐스터: 김수환, 해설: 김선우'''}}} || ||<-17>
'''{{{#ffffff 양팀 주요기록}}}''' || ||<-2> '''결승타''' ||<-15> '''강승호'''(9회 2사 1,2루서 좌중간 2루타) || ||<-2> '''홈런''' ||<-15> '''양석환'''17호18호(1회3점 5회2점 허윤동 최충연) '''김민혁'''2호(3회2점 허윤동) '''김대한'''3호(4회1점 허윤동) 강민호11호12호(4회3점 5회2점 최승용) || ||<-2> '''3루타''' ||<-15> 김현준(7회) || ||<-2> '''2루타''' ||<-15> 오재일(7회) '''페르난데스'''(8회) 피렐라(8회) '''김대한'''(9회) '''강승호'''(9회) || ||<-2> '''실책''' ||<-15> '''강승호'''(1회) '''박세혁'''(2회) || ||<-2> '''도루''' ||<-15> 피렐라(1회) 구자욱(2회) '''정수빈'''(4회) 박승규(4회) '''김대한'''(5회) || ||<-2> '''도루자''' ||<-15> 피렐라(3회) || ||<-2> '''주루사''' ||<-15> '''전민재'''(8회) || ||<-2> '''병살타''' ||<-15> 피렐라(6회) '''김민혁'''(8회) || ||<-2> '''폭투''' ||<-15> 김명신(5회) || ||<-2> '''심판''' ||<-15> 추평호 장준영 유덕형 김병주 || == 경기 진행 == === 1회~3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3841)]}}}|| '''1회초''' 두산의 선두타자 정수빈이 안타, 강승호가 볼넷, 허경민이 볼넷을 얻어내며 '''무사 만루'''의 찬스를 잡았고, 김재환의 희생플라이로 선취점은 두산이 가져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3962)]}}}|| 계속되는 1사 1, 3루의 찬스에서 양석환이 '''쓰리런 홈런'''을 때리며 '''4-0'''이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4925)]}}}|| '''2회말''' 선두타자 구자욱이 안타를 때려냈다. 강민호는 1루수 파울플라이로 물러났으나, 오재일의 타석에서 구자욱이 도루 성공, 그리고 포수 박세혁의 송구가 빠지는 실책이 나오며 3루까지 진루에 성공했다. 1사 3루에서 오재일이 1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4-1'''이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4976)]}}}|| 두산 선발 투수 최승용이 이재현-박승규를 모두 '''3구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정리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5340)]}}}|| '''3회초''' 2아웃에서 양석환이 안타를 때려냈고, 김민혁이 투런 홈런을 때리며 '''6-1'''이 되었다. === 4회~6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5661)]}}}|| '''4회초''' 선두타자 김대한이 초구를 노려 솔로 홈런을 때리며 '''7-1'''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6313)]}}}|| '''4회말''' 선두타자 이원석이 초구를 노려 안타를 때려냈고, 구자욱 역시 초구를 노려 안타를 때려내며 무사 1, 2루의 찬스를 맞았고, 강민호가 쓰리런 홈런을 때리며 '''7-4'''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6464)]}}}|| 이어 오재일이 안타를 때려냈고, 이재현은 3루수 앞 땅볼로 선행주자가 아웃되며 1사 1루가 되었다. 박승규 역시 3루수 앞 땅볼로 선행주자가 아웃되며 2사 1루가 되었다. 그러나, 박승규가 도루에 성공했고, 김상수가 1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7-5'''로 격차를 좁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6585)]}}}|| 2사 1루에서 강한울의 타구는 평범한 외야 플라이가 되었으나... 2루수 강승호와 우익수 김대한이 서로에게 공을 떠넘기다가(...) 결국 '''뜬공을 잡지 못하는''' 실책성 플레이가 나왔다. 기록은 우익수 앞 안타. 이렇게 2점차 2사 1, 3루인데다가 쓰리런 홈런이면 역전까지 가능한 상황에서 피렐라가 타석에 나왔으나, 중견수 뜬공으로 물러나며 두산 입장에서는 한숨을 돌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6895)]}}}|| '''5회초''' 삼성은 4회 1사부터 마운드에 등판했던 최충연이 그대로 5회에 나왔다. 선두타자 김재환이 안타를 때려냈고, 양석환이 투런 홈런을 때리며 다시 '''9-5'''로 점수차를 벌렸다. 양석환은 오늘 멀티 홈런을 때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6976)]}}}|| 이후 2아웃이 되었으나, 김대한이 볼넷으로 출루했고, 삼성은 투수를 이상민으로 교체했다. 김대한이 도루에 성공했고, 박세혁이 1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10-5'''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7137)]}}}|| '''5회말''' 1아웃에서 구자욱이 안타를 때려냈고, 강민호가 투런 홈런을 때리며 '''10-7'''이 되었다. 강민호는 오늘 연타석 홈런을 때렸다. 결국 두산은 선발 투수 최승용이 5회를 채우지 못했고, 김명신으로 교체해야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7723)]}}}|| '''6회초''' 삼성은 포수를 김태군으로 교체했다. 선두타자 강승호가 볼넷으로 출루에 성공했고, 허경민이 안타를 때리며 무사 1, 3루가 되었다. 김재환의 희생플라이로 '''11-7'''이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8191)]}}}|| '''6회말''' 선두타자 김상수가 안타를 때려냈고, 강한을이 번트안타를 때리며 무사 1, 2루가 되었으나 피렐라가 '''5-4-3 병살타'''를 때리며 2사 3루가 되었고, 이원석이 땅볼로 물러나며 삼성 입장에서는 찬스를 살리지 못했고, 두산 입장에서는 위기에서 무실점으로 틀어막았다. === 7회~8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9063)]}}}|| '''7회말''' 두산의 마운드는 정철원이 등판했다. 1아웃에서 김태군이 두 명의 야수의 키를 넘기는 행운의 안타를 때려냈다. 오재일이 2루타를 때리며 1사 2, 3루의 찬스를 만들었다. 삼성은 이재현의 타석에서 대타 김재성 카드를 꺼냈고, 김재성이 땅볼 타점을 만들며 '''11-8'''이 되었다. 2사 3루에서 김현준이 1타점 적시 3루타를 때리며 '''11-9'''까지 따라왔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9260)]}}}|| '''8회초''' 삼성의 마운드는 홍정우가 등판했다. 선두타자 대타 페르난데스가 2루타를 때려낸 후 대주자 전민재로 교체되었다. 김재환이 안타를 때리며 무사 1, 3루의 찬스가 되었다. 양석환은 투수 앞으로 가는 땅볼 타구를 때렸고, 3루주자 전민재가 홈으로 쇄도하며 원심은 세이프가 선언되었다. 그러나, 삼성의 요청으로 비디오 판독 결과는 포수 김태군이 3루주자가 홈을 터치하기 전에 이미 태그하였기 때문에 '''아웃'''으로 판정이 바뀌었다. 그렇게 1사 1, 2루에서 김민혁이 '''5-4-3 병살타'''를 때리며 두산 입장에서는 찬스를 살리지 못했고, 삼성 입장에서는 위기에서 무실점으로 틀어막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29808)]}}}|| '''8회말''' 선두타자 강한울이 풀카운트 승부 끝에 볼넷으로 출루에 성공했다. 피렐라의 2구 헛스윙에 두산 포수 박세혁의 머리에 배트를 맞는 부상이 나오며 두산의 포수는 장승현으로 교체되었다. 피렐라가 2루타를 때리며 무사 2, 3루가 되었다. 두산은 투수를 홍건희로 교체했다. 이원석의 땅볼 타점으로 '''11-10'''이 되었고, 1사 3루에서 구자욱의 희생플라이로 '''11-11''' 기어코 동점이 되었다. === 9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30012)]}}}|| '''9회초''' 1아웃에서 김대한이 2루타를 때려냈다. 대타 조수행이 투수 앞 땅볼로 물러나며 2사 2루가 되었다. 삼성은 정수빈을 자동 고의4구로 보내며 상대하지 않고, 다음 타자 강승호와 상대하는 것을 선택했다. 그러나, 강승호가 '''2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13-11'''로 다시 두산이 리드를 찾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2030188)]}}}|| '''9회말''' 선두타자 오재일이 3구 삼진으로 물러났다. 이해승의 대타 김지찬은 8구가 파울팁 삼진이 되면서 허무하게 물러났다. 김현준이 뜬공으로 물러나며 경기 종료. == 총평 == * '''돌아온 [[싸대기 매치]]'''라고 부를 수 있는 경기. 지난 시즌 최종순위 2위와 3위[* 정규시즌 순위는 삼성이 2위, 두산은 4위였으나 두산이 4위 자리에서 플레이오프까지 올라와 삼성 상대 셧아웃으로 승리를 가져가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하면서 두산이 2위로 올라가고 삼성이 3위로 내려갔다.]를 기록했던 양팀이 왜 이번 시즌 나란히 8위와 9위에서 놀고 있는지 명확하게 증명한 경기였다. * 한편으로는, 삼성 입장에서는 비록 졌어도 [[삼성 라이온즈/2022년/7월|한창 13연패에 빠졌던 모습]] 마냥 무기력하게 지지 않고 열심히 추격을 하면서 동점까지 만들었고, 나름 재미있었던 경기라 그럭저럭 넘어가는 분위기다. == 여담 == * 이 날 펼쳐진 경기들은 10-0으로 끝난 SSG와 NC의 창원 경기와 우천 노게임이 선언된 kt와 LG의 잠실 경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세 경기가 비범하게 진행되었다. 창원 경기는 2시간 59분으로 가장 빨리 끝났으며, 두산과 삼성은 '''13-11'''이라는 대첩 급의 혈투가 펼쳐지며 3시간 58분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이 경기가 두 번째로 끝났다. 사직에서의 키움과 롯데의 경기는 4시간 8분이 소요되었고, 12-4로 키움이 리드하고 있는 9회말에 롯데가 '''6득점'''을 냈며 12-10까지 따라왔지만 결국 롯데가 패배했다.[* 7회초 키움이 5점을 내면서 경기가 완전히 키움 쪽으로 넘어간 상황이었다.] 가장 늦게 끝난 광주에서의 한화와 KIA의 경기는 4시간 52분이 걸리며 올 시즌 최장 경기가 펼쳐졌는데, 5-5 동점에서 승부는 연장으로 갔고, 10회에 한화가 득점을 올렸으나 KIA 역시 득점을 올리며 6-6, 결국 12회초에 한화가 1득점을 올리며 7-6으로 한화가 승리했고, KIA는 5연패에 빠졌다. * 한편, 우천 노게임이 선언된 kt와 LG의 잠실 경기는 경기 시작 직전 애국가를 부를 때 천둥번개를 동반한 폭우가 갑자기 쏟아지며, 1시간 넘게 경기 시작이 늦어졌다. 선발이었던 벤자민과 플럿코는 각각 선두타자를 고의4구와 선두타자 승부만 하고 모두 배제성과 배재준으로 교체되었다. 2회초 kt 배정대가 솔로 홈런을 치며 1-0으로 앞서다가 3회말 도중 또다시 폭우가 쏟아졌고 결국 노게임이 되었다. 문제는 노게임되는 과정에서 kt 벤치에 심판진이 아무 전달도 안하다가 갑자기 노게임을 선언하자 이강철 감독이 격노하기도 했다. * 이틀 뒤, 두산은 [[SSG 랜더스|다른 팀]]을 상대로 [[SSG 랜더스/2022년/9월/18일|이날과 비슷한 대첩 경기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결과는 이날과는 정반대로 비극으로 끝나버린게 차이점. * 그리고 양팀의 [[강승호|강]][[강민호|씨]]들이 고자가 된경기다. 그러나 소중이를 맞은 이 강씨둘은 이 고통들을 딛고 불방망이가 된다. [[분류:KBO 리그/개별 문서가 있는 경기/2022년]][[분류:두산 베어스/2022년]][[분류:삼성 라이온즈/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