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번개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TwinHeadedThunderDragon-DM2-JP-VG.png|width=100%]] || [[파일:TwinheadedThunde-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ruby(双頭, ruby=そうとう)]の[ruby(雷龍, ruby=サンダー・ドラゴ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Twin-Headed Thunder Dragon'''|| ||<-5><#F8F8A0>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9.] || 천둥마족 || 번개족 || 2800 || 2100 || ||<-5>머리를 2개 가진 [[썬더 드래곤(유희왕)|썬더 드래곤]]. 강력한 전격 공격을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두개의 입을 가진 다크룰러]]의 [[팔레트 스왑]] 버전. 본 게임 및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드래곤족과 번개족을 융합해서 소환할 수 있다. 게임 중반, 또는 당장 써먹을 만한 능력치의 카드가 없을 때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해서 주 전력으로 쓰는 게 기본이 될 것이다. 융합 소재 양쪽이 1600 미만이라면 [[썬더 드래곤(유희왕)|썬더 드래곤]]이 되지만, 여기에 드래곤족이나 번개족을 추가로 융합하면 이 카드가 되므로 커버는 가능하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봉인된 기억]]에서도 특히 필수 카드로 꼽힌다. [[스컬 비숍]] 차트로 진행한다는 길도 있지만 그 차트에 비해서 수십, 혹은 수백 배(어디까지나 비교적) 쉬워서 그냥 전용 덱을 만드는 게 가장 편하다. 일단 게임 특성상 첫 턴만에 만들 수 있으며 장착 마법을 최대(+2)까지 장착시키면 작중 두 번째로 공격력이 높은 [[게이트 가디언]]을 아슬아슬하게 돌파할 수 있다. 다만 이게 한꺼번에 패로 모일 확률이 적은 데다 최종 '''6연전'''(중간 루트에 따라 '''7연전'''으로 늘어난다.)에선 마지막 2연전을 제외하면 적들이 패에 만족을 안 했을 때 패의 가장 왼쪽의 카드를 필드에 내면 그 카드가 '''에이스 몬스터로 변한다'''는 사기를 치는 데다 3번째 보스인 헤이신은 이 때문에 첫턴에 게이트 가디언을 낼 확률이 높으며 그 다음 보스인 세토는 체감으로는 6할, 실질적인 확률로는 7할을 넘는 확률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꺼내와서 그저 무지막지한 운을 믿고 이 카드를 꺼내고 싸울 수밖에 없다. 그나마 그 다음 진 최종 보스는 최고 타점이 3500의 [[메테오 블랙 드래곤]]에 카드를 창조하는 사기를 치지 않고 2차 형태이자 최종전에선 덱에 공격력이 높은 순서대로 몬스터를 집어넣어서 궁극룡이나 게이트 가디언이 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전과 똑같이 사기를 안 치기에 여차하면 번개를 뽑아서 비교적 수월하게 깰 수 있다. 또한 해당 시리즈에서는 3D 그래픽을 통해 이 몬스터의 전체 모습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인게임의 성능과는 달리 아무래도 [[두개의 입을 가진 다크룰러]]의 [[팔레트 스왑]]에 불과하다 보니 최상급 융합 몬스터라기엔 너무나 빈약한 비주얼을 자랑한다. 공격 연출 중 하나도 그냥 돌진해서 뿔로 들이받는 단순한 방식이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card1001339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한글판명칭=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 일어판명칭=双頭(そうとう)雷龍(サンダ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win-Headed Thunder Dragon, 속성=빛, 종족=번개족,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100, 소재="썬더 드래곤" + "썬더 드래곤")] [[썬더 드래곤(유희왕)|썬더 드래곤]]의 2단 융합 형태. 같은 카드명의 융합 소재를 2장 지정하는 최초의 융합 몬스터이기도 하다. 초창기에 나온 융합 몬스터라 효과는 없지만, 준수한 능력치와 실질적으로 패 1장만 써서 융합 소환할 수 있는 점 덕에 은근히 많이 쓰였다. [[검은 식인 상어]]나 [[아쿠아 드래곤]]을 보면 당시 이 카드의 우월한 성능을 알 수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 초창기 때도 패 소모를 적게 해서 최상급 몬스터를 낼 수 있단 점 덕에 자주 쓰였다. 키스의 스킬인 스위처루덕에 썬더 드래곤을 쓸일이 많고, 미션용으로도 자주 애용되었으며, [[퓨전 게이트]]와의 조합해서 융합 몬스터를 잔뜩 모은뒤, [[유니온 어택]]과 묘지기의 추종자로 파밍에 쓰이기도 했다. 지원 카드로 성립된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썬더 드래곤 덱]]에서는 [[썬더 드래곤 퓨전]]으로 소환할 수 있으며, 본래 쓸 일이 없었으나 [[초뇌룡-썬더 드래곤]]이 제한 카드가 된 이후 뇌신룡-썬더 드래곤의 소재로 사용하기 위해 종종 투입되기도 한다. 이외의 활용법이라면 효과 몬스터 이외의 융합 몬스터다 보니 [[천위#천위무쌍의 권|천위무쌍의 권]], [[말뼈의 대가]] 등에 대응한다는 점 정도. 사족으로 뇌조룡-썬더 드래곤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유일한 썬더 드래곤 융합 몬스터이기도 하다. 이름은 저렇지만 사실 머리가 아니라 입만 2개 있고 원래의 썬더 드래곤과는 완전히 다르게 생겼는데, 이는 이 카드가 [[두개의 입을 가진 다크룰러]]의 [[팔레트 스왑]]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그냥 썬더 드래곤은 초록빛이 섞인 황색 계열인데 이놈은 빨간색이다. || [[파일:두 머리.jpg|width=100%]]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TwinHeadedThunderDragon-JP-Anime-DM-NC.png|width=100%]] ||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선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카이바 노아]]와의 듀얼에서 쓰는 것으로 첫 등장.[* 카드 자체는 [[레어 헌터]]가 확인한 배틀 시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등장인물#s-3.3|참가자]]의 레어 카드 중 하나로 지나가듯 나온 적이 있다.] 썬더 드래곤의 효과를 사용해 패에 들어온 다른 썬더 드래곤 2장을 융합해 융합 소환했다. 이후 결승전을 앞두고 [[죠노우치 카츠야]]와 한 듀얼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소환됐다. 애니판 디자인의 경우, 머리 모양과 네 발과 몸색은 그대로지만 몸은 썬더 드래곤의 것을 쓰고, 몸통에 진짜로 두 머리가 달린 걸로 바꿔 그나마 드래곤다운 디자인으로 각색됐다.--자기들도 이상한건 알았나보다.-- 눈이 작은 건 그대로지만 아예 디자인을 갈아엎은 덕에 간지는 상승했다. 번개족이지만 작중에서 [[용의 분노(유희왕)|용의 분노]]의 효과로 관통 데미지를 줄 것처럼 묘사된 것도 그렇고,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95화에서도 [[마루후지 료]]의 융합 덱에서 확인된 것을 보면 애니메이션 제작진은 이 카드를 정말로 드래곤족으로 착각한 듯. 이때 료가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쓰던 시절임을 생각하면 굳이 번개족인 이 카드를 넣을 필요가 없다. 일어판 카드명의 경우 소재인 썬더 드래곤이 그냥 가타가나로 'サンダー・ドラゴン'이라 표기하는 것과는 달리 이 카드는 '双頭の雷龍'으로 표기하고 '쌍두의 썬더 드래곤'이라 읽는 방식으로 처리되어 있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0-01-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 '''[[볼륨(유희왕)|Vol.7]]'''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1-0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ME-60 | [[강철의 습격자|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3-0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L4-051 | DUELIST LEGACY Volume 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4-12-0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2-JP069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1-08-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BE02-JP053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2 [ 2011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T16-JP006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6 Vol.4]]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8-11-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LVP2-JP012 | [[링크 브레인즈 팩|LINK VRAINS PACK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2-06-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120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5-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B2-EN069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RP01-EN042 | RETRO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11-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LG1-EN043 | DARK LEGEND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RD-EN120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4-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MRD-K120 | '''[[강철의 습격자]]'''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6-09-2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BP2-KR069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Vol.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3-1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LVP2-KR012 | [[링크 브레인즈 팩|링크 브레인즈 팩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썬더 드래곤(유희왕)|썬더 드래곤]] ==== === 기타 관련 카드 === ==== [[두개의 입을 가진 다크룰러]] ==== [[팔레트 스왑]] 원본에 해당하는 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version=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