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해시]][[분류:동해시의 행정구역]] [include(틀:동해시의 행정동)]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nghae-map.png|width=350]]|| [목차] == 개요 == [[강원도]]에서 읍, 면이 없이 동으로만 이루어진 도시는 [[동해시]] 외에 [[속초시]], [[태백시]]가 있다.[* 이 도시들의 공통점은 시 승격 전에 속했던 군의 군청소재지가 아니었고, [[1995년]] 시군 통합 와중에 과거에 속했던 군과 통합하지 않은 것. 본래 [[1994년]] 당시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887473|동해시+명주군 옥계면]]이었으나 옥계면은 강릉과 통합하는 걸로 방향을 돌려버리는 바람에 사실상 무산되었다. 또한 정선군 임계면과 통합하자는 이도 없고 하장면 4개리를 편입이나마 성공했던 태백처럼 동해시 인접된 옥계면 일부지역 편입마저도 없이 [[도농복합시]]가 되지 못한 채 지금에 이르고 있다.] [[행정동]]은 총 10개로 이루어져있으며 과거에는 옛 [[명주군]] 지역이 중심지 였으나, 현재 옛 [[삼척군]] 지역이 추월한 상태이다. 행정동중 [[부곡동(동해)|부곡동]], [[동호동(동해)|동호동]], [[발한동]], [[묵호동]], [[망상동]]은 명주군 묵호읍, [[천곡동(동해)|천곡동]], [[송정동(동해)|송정동]], [[북삼동]], [[북평동]], [[삼화동(동해)|삼화동]]은 삼척군 북평읍에 속했던 지역이다. == 동 == === [[동호동(동해)|동호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호동(동해))] 관할 법정동은 발한동(일부)이다. 인구는 '''4,939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발한로 서쪽에 해당하는 지역이라고 보면 된다. 중규모 아파트단지가 있다. 학교는 동호초, [[동해중학교(강원)|동해중]], [[동해상업고등학교|동해상고]]가 있다. === [[망상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망상동)] 관할 법정동은 [[괴란동]]·[[만우동]]·[[망상동]](일부)·[[발한동]](일부)·[[심곡동(동해)|심곡동]]·[[초구동]]이다. 인구는 '''3,387명'''.[*A] 동명은 망상동이지만 정작 인구는 법정동 발한동쪽에 몰려 있고 법정동 발한동과 나머지 동들은 산으로 막혀 있다. [[동해고속도로]] [[망상IC]]를 통해 [[망상해수욕장]]에 진입할 수 있다.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 망상지구가 심곡동과 망상동에 걸쳐 조성 중이다. 학교는 망상초, 묵호초, [[하랑중학교|하랑중]]이 있다. === [[묵호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묵호동)] 관할 법정동은 [[대진동]]·[[망상동]](일부)·[[묵호진동]]·[[어달동]]이다. 인구는 '''2,832명'''.[*A] [[묵호항]] 북쪽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안가를 따라 [[영동선]] 철도가 지나가 경치가 매우 좋다. 펜션이 많다. 학교는 창호초가 있다. === [[발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발한동)] 관할 법정동은 발한동(일부)이다. 인구는 '''3,198명'''.[*A] [[묵호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과거 묵호읍의 중심지였다. [[묵호항]], 묵호항여객선터미널, [[묵호역]]이 있다. 학교는 [[묵호중학교|묵호중]]이 있다. === [[부곡동(동해)|부곡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부곡동(동해))]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4,827명'''.[*A] 동쪽 바닷가에서 서쪽 산까지 좁고 길게 동이 뻗어져 있다. 동해해양경찰서, 동해[[향교]], [[묵호항역]]이 있다. 학교는 [[묵호고등학교|묵호고]]와 특수학교인 동해해솔학교가 있다. === [[북삼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삼동)] 관할 법정동은 나안동·[[동회동]]·[[쇄운동]]·[[용정동]](일부)·지흥동·[[효가동]]이다. 인구는 '''19,764명'''.[*A] 舊 북평읍의 중심지로 천곡동이 성장한 지금도 상권이 크게 망가지지는 않았다. 구 북평에 밀집된 산업시설들의 배후지 역할을 하고 있다. [[동해고속도로]] [[동해IC]]가 있다. 학교는 북삼초, [[동해광희중학교|동해광희중]], [[북평중학교(강원)|북평중]], 동해광희고, [[북평고]]가 있다. [[한중대학교]]가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 [[북평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북평동)] 관할 법정동은 [[구호동]]·[[구미동(동해)|구미동]]·[[귀운동]]·[[내동]]·[[단봉동]]·[[대구동]]·[[북평동]]·[[이도동(동해)|이도동]]·[[지가동]]·[[추암동]]·[[호현동]]이다. 인구는 '''13,540명'''.[*A] 전천 남쪽에 해당하며 택지가 개발되고 있고 시가지는 [[영동선]]을 기준으로 서쪽과 동쪽으로 분리되어 있다. 지가동에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이 있고 구호동 일대로는 북평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동쪽 끝 추암동에는 [[추암해수욕장]]과 촛대바위가 있다. 학교는 북평초, 예람중이 있다. === [[삼화동(동해)|삼화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화동(동해))] 관할 법정동은 [[달방동]]·[[비천동]]·삼화동·[[신흥동(동해)|신흥동]]·[[이기동(동해)|이기동]]·[[이로동(동해)|이로동]]이다. 인구는 '''2,681명'''.[*A] [[쌍용양회]] 공장과 그 관련 시설들이 많다. 하지만 삼화동과 이로동에만 국한된 이야기이고, 나머지 지역은 산골이라 [[무릉계곡]]과 같은 관광지도 있다. [[42번 국도]]를 따라 가면 [[정선군]] 임계면이 나온다. 학교는 삼화초 하나 있다. === [[송정동(동해)|송정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송정동(동해))] 관할 법정동은 송정동·[[용정동(동해)|용정동]](일부)이다. 인구는 '''3,544명'''.[*A] [[영동선]] [[동해역]]이 있어 동해시의 또다른 관문이며, [[동해항]], [[DB메탈]] 동해공장, [[LS전선]] 동해사업장 등이 있는 산업기지이며, 동해항은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 소속 군함들의 모항이기도 하다. 학교는 동해초, 송정초가 있다. === [[천곡동(동해)|천곡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천곡동(동해))] 관할 법정동은 천곡동·[[평릉동]]이다. 인구는 '''30,346명'''[*A]으로 동해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명실상부한 현 동해시의 중심지로, [[동해시청]], [[동해경찰서]], [[동해소방서]], 동해우체국, 동해문화예술회관,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동해시법원, 동해지방해양수산청, [[강원특별자치도동해교육지원청]], [[동해종합버스터미널]], [[근로복지공단]] 동해병원(구 동해산재병원), 동해동인병원, 동해웰빙레포츠타운 등 각종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시내에서 가장 큰 상권도 형성되어 있다. 내륙 쪽으로 아파트단지도 많아 인구도 많다. 평릉동에는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사령부]]가 있다. 학교는 남호초, 동해삼육초, 동해중앙초, 천곡초, 동해삼육중, [[북평여고]]가 있다. == 행정구역 변천사 == '''1980년''' '''동해시''' 설치 ||<-3> [[파일:동해시 CI.svg|height=30]] {{{+3 '''동해시 설치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 삼척군 북평읍, 명주군 묵호읍 || '''동해시''' || || || 북평읍 천곡리, 평릉리 || 천곡동 || || || 북평읍 송정리, 용정리일부 || 송정동 || || || 북평읍 지흥리, 효가리, 나안리, 동회리, 쇄운리, 용정리 일부 || 북삼동 || || || 북평읍 북평리, 구미리, 추암리, 구호리, 대구리, 호현리, 내리 || 북평동 || || || 북평읍 단봉리, 지가리, 이도리, 귀운리 || 이원동 || || || 북평읍 삼화리, 이기리, 이로리 || 삼화동 || || || 북평읍 신흥리, 비천리, 달방리 || 삼흥동 || || || 묵호읍 부곡리 || 부곡동 || || || 묵호읍 발한리 일부 || 동호동 || || || 묵호읍 발한리 일부 || 발한동 || || || 묵호읍 발한리 일부 || 향로동 || || || 묵호읍 발한리 일부 || 사문동 || || || 묵호읍 망상리, 초구리, 심곡리, 괴란리, 만우리 || 망상동 || || || 묵호읍 어달리, 대진리 || 어달동 || || || 묵호읍 묵호진리 || 묵호동 || || *'''1990년''' 부곡동 일부가 향로동에 이관 *'''1993년''' 단봉동, 대구동 일부를 구미동으로, 어달동 일부를 묵호동에 편입 ||<-3> '''법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 단봉동 일부, 대구동 일부 || 구미동 일부 || || || 어달동 일부 || 묵호동 || || *'''1995년''' 쇄운동 일부가 동회동으로, 대구동, 구미동, 추암동 각 일부가 구호동으로 편입 ||<-3> '''법정동 개편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 쇄운동 일부 || 동회동 일부 || || || 대구동 일부, 구미동 일부, 추암동 일부 || 구호동 일부 || || *'''1998년''' 동해시 과소행정동 통폐합 ||<-3> '''동해시 과소행정동 통폐합 전후 행정구역'''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비고 || || 천곡동 || [[천곡동(동해)|천곡동]] || 행정동 유지 || || 송정동 || [[송정동(동해)|송정동]] || " || || 북삼동 || [[북삼동]] || " || || 북평동, 이원동 || [[북평동]] || 행정동 통폐합 || || 삼화동, 삼흥동 || [[삼화동(동해)|삼화동]] || " || || 부곡동 || [[부곡동(동해)|부곡동]] || 행정동 유지 || || 동호동 || [[동호동(동해)|동호동]] || " || || 발한동, 향로동 || [[발한동]] || 행정동 통폐합 || || 망상동, 사문동 || [[망상동]] || " || || 묵호동, 어달동 || [[묵호동]]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