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해시 시내버스/폐선]]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신흥으로 가던 15-1번, rd1=동해 버스 31-6)] [include(틀:동해시 시내버스)] [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 2019년 12월 대개편 이전에 폐지된 노선 === [[파일:임계(15-5).jpg]]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임계)}}}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임계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5:50 ||<|2> 기점행 || 첫차 || 08:05 || || 막차 || 16:38 || 막차 || 18:10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동해병원 - 주공6차아파트 - [[동해공영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우리들연합의원(구.중앙정형외과)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대동아파트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 - 신흥 - 군대 - 가목1교 - 도전리 - 직원리 - (직원2리.백복령가든) - 화성 - 임계버스터미널 ||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달방)}}}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달방마을) || ||<|2> 종점행 || 첫차 || 10:46 ||<|2> 기점행 || 첫차 || 07:04 || || 막차 || 10:46 || 막차 || 11:52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1.5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엘리시아아파트 - 동해병원 - [[동해공영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우리들연합의원(구.중앙정형외과)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대동아파트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입구 - 달방마을 || [[파일:달방막차(15-1).jpg]]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달방,대동미경유)}}}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동해시 삼흥동(달방마을) || ||<|2> 종점행 || 첫차 || 17:26 ||<|2> 기점행 || 첫차 || 18:32 || || 막차 || 17:26 || 막차 || 18:32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엘리시아아파트 - 동해병원 - [[동해공영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송정중앙로쉼터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__효가사거리__'''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입구 - 달방마을 || [[파일:비천(15-4).jpg]]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비천)}}}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동해시 삼화동(광천골) || ||<|2> 종점행 || 첫차 || 08:38 ||<|2> 기점행 || 첫차 || 09:44 || || 막차 || 14:14 || 막차 || 15:20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2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동해고속버스터미널]] - 엘리시아아파트 - 동해병원 - [[동해공영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우리들연합의원(구.중앙정형외과)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대동아파트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입구 - 비천(광천골) || === 2019년 12월 대개편 때 폐지된 노선 ===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삼흥)}}}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동해시 삼흥동(달방댐입구) || ||<|2> 종점행 || 첫차 || 08:38 ||<|2> 기점행 || 첫차 || 09:50 || || 막차 || 16:38 || 막차 || 15:27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3.5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엘리시아아파트 - 동해병원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송정중앙로쉼터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대동아파트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입구 || [[파일:삼흥막차(15-3).png]] 막차는 대동아파트 행선판을 뽑고 LED에도 대동A 대신에 북삼농협이 나왔다. ||<-6><#90D8FE> {{{#000000 동해시 시내일반버스 15-3번(대동미경유)}}} || ||<-2> 기점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강원여객 동해영업소) ||<-2> 종점 || 강원도 동해시 삼흥동(달방댐입구) || ||<|2> 종점행 || 첫차 || 17:26 ||<|2> 기점행 || 첫차 || 18:39 || || 막차 || 17:26 || 막차 || 18:39 || ||<-2> 운수사명 || [[강원여객]] ||<-2> 배차간격 || 1일 1회 || ||<-2> 노선 ||<-4> 강원여객 동해영업소 - 사문재 - 발한삼거리 - 부곡삼거리 - 엘리시아아파트 - 동해병원 - [[동해종합버스터미널]] - 동해시청 - 천곡동굴 - 봉오동 - 동해역 - 송정중앙로쉼터 - 동해항.송정산업단지 - 북평우체국앞 - 이도사거리 - '''__효가사거리__''' - 북삼우체국 - 쇄운동 - 삼화동주민센터 - 쌍용삼흥아파트 - 달방댐입구 || == 개요 == * 삼흥동 권역의 오지인 비천, 달방 지역과 백복령을 넘어 정선 임계까지 가던 노선이었으나, 모두 삼흥동으로 단축되었던 노선이다. == 역사 == * 예전에는 신흥행 노선이 15-1번을 사용했고, 달방/비천/임계행 노선이 15-3번을 사용했다. * 2016년 7월 개편 때 신흥, 달방, 비천, 임계 모두 엘리시아를 경유하게 되었으나, 이후에 신흥과 임계행은 주공6차를 경유하는걸로 변경되었었다. * 2018년 6월 1일에 15-3번 임계 노선이 폐선되었다. 첫차는 아예 폐지되었고, 막차는 삼흥까지만 가는 걸로 바뀐 동시에 번호도 15-1번으로 바뀌었다. 또한 비천 행 막차가 감회되었다. [[https://cafe.naver.com/smartvip/140154|관련 여행기]] * 지명이 비슷한 신흥과 삼흥 노선이 15-1번이라는 노선번호를 공유해 혼동된다는 이유로 2018년 8월 중순에 신흥행 노선번호가 31-6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0월 1일에 15-3번 달방 행 노선이 폐지되었고, 기존 시간대는 모두 삼흥까지만 가는 걸로 바뀌었다. * 2019년 3월에 15-3번 비천 행 노선이 폐지되었고, 기존 시간대는 모두 삼흥까지만 가는 걸로 바뀌었다. 이로써 15-3번은 삼흥까지만 가는걸로 모두 단축되었다. * 2019년 7월 1일에 발한발 16:38분 차량이 엘리시아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9년 12월 2일에 대개편으로 인해 남은 삼흥종착 노선도 폐지되었다. 대체노선은 신흥까지 올라가는 171번. == 특징 == * 삼흥동 지역에 위치한 오지마을인 비천, 달방과 백복령을 넘어서 임계까지 넘어가는 노선으로 총 3개의 계통이 있었으나 승무사원 부족과 주52시간 근로제 시행 등으로 현재는 모두 삼흥으로 단축되었다. * 임계까지 가는 노선은 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백복령]]을 넘었던 노선이자 임계에서 동해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지금 임계에서 동해로 가려면 [[강릉시외버스터미널|강릉]]에서 환승해야 한다.] === 시간표 === [[파일: 신흥,삼흥_201903.png]]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묵호역]], [[동해역]](이하 무궁화호, 바다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