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사하구의 버스 회사)] ||[[파일:다대포차고지.jpg|width=100%]]|| || 다대포에 위치한 본사 차고지의 모습 || ||<-2> '''주식회사 동진여객'''[br]'''東進旅客'''[br]'''Dongjin Bus'''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80년 4월 10일 || ||대표|| 성주헌, 하병권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 ||전화번호|| 051-261-2771 || ||차량번호|| 부산 70자 23××, 4834 (구.태화교통 출신), 부산 71자 5801 || ||면허대수|| 정규 69대, 예비 3대 || ||자본금|| 5억원 (2022.12) || ||매출액|| 191억 8,315만 8.451원 (2022) || ||영업이익|| 6억 5,762만 7,547원 (2022) || ||순이익|| 7억 4,417만 6,192원 (2022) || ||자산총액|| 111억 9,774만 4,677원 (2022.12) || ||주주|| 성주헌: 30.00%[br]기타(11인): 70.00% || ||임직원|| 205명 (2022.12) || ||사이트|| [[http://www.dongjinbus.com]] || [목차] [clearfix] == 소개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버스 회사]]이다. 다대포를 비롯한 사하구 지역을 중심으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역사 == === 안전여객 === 1979~80년경, 영생운수(현 동남여객 장림영업소)에서 신아여객[* 현재 동래구 마을버스 업체인 신아교통이 사명으로 사용중에 있다.]이 분리, 38번[* 현재의 38번 노선은 1986년에 개통한 2기 노선이며, 1983년에 폐지된 38번 노선이 따로 있었다. 노선은 하단도선장 - 엄궁삼거리 - 주물공단 - 주례 - 가야 - 서면 - 범내골교차로 - 중앙시장 - 부산진소방서 - 범일전화국 - 문현교차로 - 문현교회 - 문현한양아파트 - 문현1동안마을 - 문현교회(이하 역순) 간을 운행하였다.]을 운행하였다. 1982년, 사명을 안전여객으로 변경하고, 98번이 신설되면서 38번은 차량대수가 급감하게 되었고, 결국 1983년에 폐선되었다.[* 당시 98번 노선은 현재 1000번 노선과는 달랐다. 현재 1000번 노선은 광성여객(현 동원여객)이 1985년에 인수한 98번 노선을 2007년 5월에 개편한 노선이다. 당시 노선은 다대포 - 장림 - 하단 - 괴정 - 대신동 - 부평동 - 충무동 - 부산역 - 범일동 - 서면 - 대우자동차(동성고교) 간을 운행하였다.] 38번이 폐선되면서 본사를 다대포로 이전하고, 당시 광진여객(96번, 11번 운행)과 차고지를 공유하게 된다. (알려진 것처럼) 안전여객과 광진여객은 합병하기 전까지 공동배차를 하지는 않았다. 차종은 모두 새한-대우 BF101이었고 100% 현대버스를 운행하는 광진여객과는 구별되었다. 당시 잘나가던 광진여객에 비해 안전여객의 재정상태는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고, 1990년까지 프론트엔진버스를 운행할 정도였다. === 광진여객 === 1983년에 안전여객이 들어오기 전까지 다대포에서 독자적으로 96번과 11번을 운행하였다. 다대포 해수욕장과 위치 때문인지 예나 지금이나 항상 승객이 미어터졌고, 해수욕장 개장 시즌에는 광성여객(3번)과 삼화운수(161번)의 지원[* 현재의 3번과는 다른 노선이었고, 장림 기점에서 일부의 버스가 다대포로 임시 연장운행하였다.]하였다. 안전여객과는 대조적으로 항상 정기적으로 신차 3대가 대차되어 11번 노선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11번 노선은 1985년에 광성여객(현 동원여객)이 98번을 인수하면서, 안전여객에 양도하였다.[* 안전여객이 11번을 운행하던 당시, 11-1번 노선이 신설되어 운행하다가 동진여객으로 합병하면서 폐선되었다.] 11-1번 노선은 다대포-장림-하단-괴정-대신동-부평동-충무동-수산센터(공동어시장)-송도 간을 운행하였다. 96번은 광성여객(현 동원여객)과 공동배차를 하지만 2~3대 수준이었고, 공동배차라기 보단 지원하는 쪽에 가까왔다. 96번은 안전여객과는 공동배차를 한 적이 없다. === 동진여객 === 1990년이 되면서 안전여객과 광진여객이 동진여객으로 합병되면서 동진여객에 대우버스 운행이 시작되고, 지금까지 운행하고 있다. 1990년대 말, 505번과 구.506번, 3-1번을 운행하였는데 모두 마을버스로 전환하였다. == 특징 == [[동원여객]]과 계열사는 아니지만 다대포 차고지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기에 어느 정도의 교류는 있는 편이다. 1990년대에는 [[동원여객]] 등과 다대포 노선을 공동으로 배차하기도 하였으며, 현재 [[부산 버스 338|338번]]을 공동배차하고 있다. 이 시기에 [[부산 버스 1000|98번]] 좌석노선(현.급행 1000번)을 공동배차하기도 하였다. 이 기간에 동진여객에서 좌석버스를 운영했다가 철수하였고, 약 19년 만에 [[부산, 거제 버스 2000|2000번]]이 생기면서 다시 좌석버스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 업체의 노선들도 대부분 수익이 높았다. (사하12번, 3번, 2000번 제외) 심지어 1호선이 연장되기 전에는 다른 업체보다 보조금도 훨씬 적게 수령할정도로 장사가 잘 되었다.[* 2015년 기준. 당시 타 업체들이 평균적으로 2 ~ 30억원대의 보조금을 수령할 때 이 업체는 약 5억원을 수령하는등 상당히 적게 수령해갔다. 그 알짜라는 시민여객과 삼화PTS도 이 업체보다 2배 이상 수령하였다.] 하지만 2017년 4월 20일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다대포해수욕장까지 연장되면 수요감소가 적지 않아 노선들의 미래가 영 좋지 않다고 전망되었는데 현실로 다가오고 말았다. 한때 일일 평균 승객수가 2만명 이상이었던 [[부산 버스 96]]은 현재 약 1만 3천명까지 감소하였고, 11번의 경우에는 이보다 더 심각한데, 2020년 기준으로 약 8천8백명으로 1호선 연장 이전보다 50% 가량 급감하였다. 다만 준공영제 특성상 노선, 인가대수, 운송수입금 관리를 모두 시에서 하고 있으므로 동진여객 재정 자체에는 직접적인 타격은 전혀 없다. 이 상황 속에서 [[부산 버스 3]]의 경우에는 밑져야 본전 식으로 96-1번 철수분과 11번, 96번의 감차분으로 신설되었고, 동년 하반기에 배고개 직선화 조치로 다행히 대당 운송수입금 40만원을 돌파하였고, 2020년 현재 총 15대까지 증차가 이루어지면서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2018년에 동진여객이 마을버스를 매각하여 2018년 하반기에 동진서비스라는 부산마을버스조합 소속의 마을버스 업체가 설립되었다. 2019년 11월 말에 2010년식 BS106 F/L 크롬 천연가스 차량이 대차되면서 대우차가 전멸되었다. 저상버스 신차가 나오면 무조건 96번에 몰빵하는 업체다. 11번도 저상버스 추가 투입이 가능하긴 한데, 계속 일반차량 신차만 투입중이다.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이 강서구의 [[강서공영차고지(부산)|화전공영차고지]]로 이전함에 따라 유일한 사하구의 시내버스 업체로 남을 예정이다. 부산에서 [[대도운수]]에 이어 2번째로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도입할 예정이며, 장림수소충전소에서 충전할 예정이다. == 차고지 == * 본사: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722 ([[다대동]]) - [[부산 버스 3|3번]], [[부산 버스 11|11번]], [[부산 버스 96|96번]], [[부산 버스 338|338번]] 시종착/[[부산, 거제 버스 2000|2000번]] 주박 * 장림차고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산로(부산)|다산로]]226번길 18 ([[장림동]]) - 동진여객 운휴차량 차고지로도 사용된다. 다대포차고지를 동원여객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주차공간이 부족하여 무지개공단 쪽에 주차장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시종착하는 버스는 없다. 오로지 주차장으로만 활용하고 있다. * 송도 회차지점: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암남공원로]] 39 ([[암남동]]) - [[부산 버스 26|26번]], [[부산 버스 96|96번]] 회차지로 사용하는 곳이며, 동진여객이 소유한 자가 차고지이다. == 면허 체계 == * 부산 70 자 '''2301''' ~ '''2394'''호 * 동진여객 순수 주 면허. * 부산 70 자 4834호 * 구. 태화교통 면허로 태영버스에서 양도받았다. 초기에는 96번에서 운행되었다가 현재는 338번에서 운행 중이다. * 부산 71 자 '''5801'''호 * 2000번 급행버스를 운행하면서 새로 발급받은 면허이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27XX == 차량운용대수 == * 시내버스 * 3번: 15대 * 11번: 18대 * 96번: 25대 * 338번: 10대 * 2000번: 1대 * 예비차: 3대 * 도합: 72대 == 운행 노선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부산 버스 3|{{{#3399ff 3}}}]]''' || 다대포 || [[다대포해수욕장]] - [[낫개역]] - 효림초등학교 - [[동매역]] - 신평배고개 - 사하구청.[[당리역]] - [[하단역]] - 을숙도문화회관 - [[명지국제신도시]] - 지법서부지원.지검서부지청 - [[명지오션시티]] - 르노삼성자동차 || 신호주거단지 || 11~16분 || || '''[[부산 버스 11|{{{#3399ff 11}}}]]''' || 다대포 || [[다대포해수욕장]] - [[낫개역]] - 장림시장 - [[신평역]] - [[하단역]] - 사하구청.[[당리역]] - [[괴정역]] - [[대티터널]] - [[구덕운동장]] - 보수초등학교 - 서구청 - 남포동 - (→ [[부산대교]] →/← [[영도대교]] ←) - 남항동 || 영선윗교차로 || 9~10분 || || '''[[부산 버스 96|{{{#3399ff 96}}}]]''' || 다대포 || [[다대포해수욕장]] - [[낫개역]] - [[장림역]] - 구평초등학교 - 감천삼거리 - [[괴정역]] - 대티고개 - (→ [[구덕운동장]] →) - 보수초등학교 - [[서구청(부산)|서구청]] - 충무동교차로 - 공동어시장 - 암남동주민센터 - [[송도해수욕장(부산)|송도해수욕장]] || 송도 || 5~7분 || || '''[[부산 버스 338|{{{#3399ff 338}}}]]'''[*공동배차1 [[동원여객]] 공동배차] || 다대포 || 다대포롯데캐슬 - [[다대포해수욕장]] - [[낫개역]] - 장림시장 - [[신평역]] - [[하단역]] - [[동아대학교]] - 엄궁동주민센터 - 새벽시장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모라주공아파트 || 9~11분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부산, 거제 버스 2000|{{{#f58220 2000}}}]]'''[*공동배차2 [[동남여객]], [[동원여객]], [[태영버스]], [[세일교통]], [[삼화여객(거제)|삼화여객]] 공동배차] || [[하단역]] || 을숙도문화회관 - [[명지오션시티]]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경제자유구역청]] - [[가덕도]] - [[거가대교]] - 대금교차로 - 옥포중학교 - 연초면사무소 || 맑은샘병원 || 20~30분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3-2]] (다대포 ↔ 신평역)[* 1994년 폐선] * [[부산 버스 96-1]] (다대포 ↔ 괴정 ↔ 서구청)[* 2017년 4월 22일 노선개편과 동시에 동원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부산 버스 98]] (다대포 ↔ 충무동 ↔ 동성고교)[* 1985년 서대시장~충무동~남포동~부산역 노선에서 서대시장~영주터널 통과~부산역 노선으로 변경과 동시에 철수하였으며, 동원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부산 버스 222]] (다대포 ↔ 다대주공 ↔ 장림 ↔ 구평고개 ↔ 감천 ↔ 고신의료원 ↔ 송도윗길 ↔ 충무동 ↔ 서구청) ※ 영신여객과 공동배차 [[http://m.cafe.naver.com/65736385/970|운행당시모습]][* 다대포에서 서구청까지 운행하였던 시내버스이다. 2005년 개통되어, 인가대수는 3대로 운행하였으며 영신여객과 공동배차, 당시 배차간격은 40~50분에 한 대 꼴로 운행하였다. 다대.장림주민들의 감천.송도로 빠른이동을 위해 개통되었으나 2006년 시내버스 환승제 시행으로 동진이 먼저 발을 빼고, 이후 영신도 운행중단하며 [[폐선]]되었다. 사진속 차량은 2번 대차되어 현재 [[부산 버스 16|16번]]에 운행중이다.] * [[부산 버스 사하12]] (다대포↔신평배고개↔동아고교↔괴정초교)[* 2017년 폐선. 정확히 말하면 일부 노선은 사하15로 통합.] * [[부산 버스 사하15]] (몰운대롯데캐슬↔구평고개↔괴정초교) 2018년에 마을버스를 매각하여 동진서비스라는 개별업체로 설립되었다.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C|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C|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천연가스버스]][* 2대 있었다. 잔고장이 심해서 3년여간 방치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CNG로 조기대차했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10CN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20L 디젤]][* 1993년식. 자동변속기가 장착됐으며 총 4대가 있었으나 2000년 7월 로얄시티로 대차했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이 회사 최초의 저상차량이며, 11번에서 1대만 운행했었다. 그러나 2018년 6월에 신도색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일반오토차량으로 대차되어 96번에서 다니다가 3번에서 운행중이다.] == 관련 문서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 [[버스 회사]] [[분류:버스 회사]]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회사]] [[분류:198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