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 {{{+2 동진쎄미켐}}}'''[br]{{{-1 Dongjin Semichem Co., Ltd.}}}}}} || ||<-3> [[파일:동진쎄미켐 CI.svg|width=300]] || ||<-2> {{{#fff '''설립일'''}}} ||[[1967년]] [[10월 20일]] || ||<-2> {{{#fff '''업종명'''}}} ||기타 기초 무기 화학물질 제조업 || ||<-2> {{{#fff '''대표자'''}}} ||이부섭, 이준혁 || ||<-2> {{{#fff '''위치'''}}} ||인천광역시 서구 백범로 644 2동|| ||<-2> {{{#fff '''상장유무'''}}} ||상장기업|| ||<-2> {{{#fff '''기업규모'''}}} ||[[중견기업]]|| ||<-2> {{{#fff '''상장시장'''}}} ||[[코스닥]]시장 ([[1999년]] ~ ) || ||<-2> {{{#fff '''종목코드'''}}}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290|KS: 005290]] || ||<-2> {{{#fff '''매출액'''}}} ||1조 1,613억원 ^^(2021)^^ || ||<-2> {{{#fff '''영업이익'''}}} ||1,318억원 ^^(2021)^^ || ||<-2> {{{#fff '''순이익'''}}} ||1029억원 ^^(2021)^^ || ||<-2> {{{#fff '''사이트'''}}} ||[[http://www.dongjin.com/]]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동진쎄미켐 발안공장.jpg|width=100%]]|| || '''동진쎄미켐 발안 공장'''[*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소재] || [[대한민국]]의 [[무기화학]]물질 제조업체.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2 KGIT센터 23층에 위치해 있으며 국내에는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발안공장),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백범로 (인천공장), [[경기도]] [[시흥시]] 소망공원로(시화공장),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초금로(음성공장)에 공장이 있다. 회사의 주소지는 인천공장으로 등록되어 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삼평동]] 실리콘파크에 종합연구소를 운영중이다. 동진쎄미켐의 전신은 [[1967년]] 이부섭 회장이 창립한 동진화학공업사이다. PVC 및 발포제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하면서 성장하였으며 [[1973년]] 동진화성공업(주)으로 법인전환하며, [[1999년]] 현재 상호로 변경하였다. 유기 절연막, LCD용 PR, 1M DRAM 포토레지스트 등의 국내 최초 개발 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구 개발에 상당히 집중하는 회사이다. 현재 3D NAND용 KrF 포토레지스트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이다. == 지배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동진홀딩스 ||32.4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동진장학연구재단 ||3.66%||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명부산업(주) ||1.23%|| == 역대 임원 == * 대표이사 회장 * 이부섭 * 대표이사 부회장 * 이준혁[* 이부섭 회장의 차남] (2018~) * 대표이사 사장 * 이준혁 (2010~2017) == 주요 사업 == 철저한 B2B 기업이다. 일반 대중에게는 인지도가 낮지만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 업계에 종사하고 있다면 대부분 알고 있는 기업. 국내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등으로 안정적인 매출처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 연결 기준 매출 1조 1,613억원을 기록하며 1조원 매출 돌파를 이뤘다. 주요 제품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용 화학물질이다. 신발밑창, 장판지 등 건설자재, 자동차 내장제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기초소재인 발포제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 반도체 미세회로 구현에 필수품인 포토레지스트 생산 업체로, 대표적으로 KrF, ArF, ArF Immersion 포토레지스트가 있다. 동진쎄미켐은 1989년 세계에서 네 번째(국내 최초)로 반도체용 포토레지스트를 개발한 국내 대표 소부장 업체다. [[솔브레인]], [[후성]] 등의 소재 기업들처럼 [[한일 무역 분쟁|2019년 일본의 대한국 수출 통제]] 이후 국내 반도체 공급망 안정성 확보의 필요성 부각되며 인지도가 많이 올라간 셈이다. [[https://www.etnews.com/20221201000133| 수출 규제 직후 EUV PR 개발 착수 후 3년만에 삼성전자 반도체 양산 라인 공급에 성공했다.]] 카본나노튜브(CNT) 도전재 슬러리로 이차전지 재료 시장을 진입하며 신성장 동력도 확보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4041661i| 스웨덴 노스볼트와 양극재용 소재 공급 계약을 체결, 현지 공장 건설을 2021년부터 추진했으며]] 2022년 이내 가동을 목표하고 있다. 노스볼트를 통해 폭스바겐, BMW, 볼보 등에 공급 예정이다. 반도체 사업 확대를 위해 미국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 텍사스 주에 두 가지 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있다. 텍사스 주 플레인뷰에 반도체용 황산 생산을 위한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43805|합작사를 설립했으며]], 텍사스 주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45055|킬린 시에도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다.]] 22개의 계열·관계사를 두고 있다. 이 중 3개의 국내 계열사가 있으며, 19개의 해외법인 중 중국 내 13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 판매 제품 == === 디스플레이 재료 === * 유기절연막 (Organic Insulating Layer Material) * 포토레지스트 (Photoresist) * 스트리퍼 (Stripper) * 에천트 (Etchant) * 컬러레지스트(Color Resist) *배면전극재료 (Background Electrode Material) === 반도체 재료 === * 포토레지스트 (Photoresist) * 신너 (Thinner) * 에천트 (Etchant) * CMP 슬러리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lurry) * 반사방지막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 하드마스크 (Spin-on-carbon (SOC) Hardmask) * 프리커서 (Precursor) * 멜라민 몰드 클리너 (Melamine Mold Cleaner) === 신재생에너지 재료 === * 이차전지 도전재 슬러리 (Li-ion Battery Conductive Slurry) * 연료전지 막-전극 접합체 (Fuel Cell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발포제 === * 화학발포제 * 물리발포제 * 친환경발포제 == 기타 == * [[2021년]]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으로 화제가 되었다. 오스템임플란트 회삿돈 2215억원을 횡령한 직원이 짧은 기간안에 1000억원어치 이상의 동진쎄미켐 주식을 사들이며 주식 시장에 혼란이 찾아왔었기 때문. * IR에 굉장히 인색하기로 유명하다. 개인투자자, 기관투자자 안 가리고 공평하게 대한다는 평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화학공업 회사]][[분류:코스닥상장법인]][[분류:인천광역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