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민법/용어]] [목차] == 同意 == || {{{#!wiki style="font:80pt 바탕" [[同|{{{#black 同}}}]]}}} || {{{#!wiki style="font:80pt 바탕" [[意|{{{#black 意}}}]]}}} || || [[同|한가지 동]] || [[意|뜻 의]] || 1. 같은 뜻. 또는 뜻이 같음. * 결론적으로 두 내용은 '''동의'''이다. 2. 의사나 의견을 같이함. * 그런 결론이라면 나의 '''동의'''를 바라지 마라. 3. 다른 사람의 행위를 승인하거나 시인함. * '''동의'''를 구하다. 4. 다른 사람의 법률 행위에 대한 인허(認許)나 시인의 의사 표시. 행위자의 단독 행위로는 완전한 법률 효과가 생기지 않을 때에, 이를 보충하는 다른 사람의 의사 표시를 말한다. == 同義 == ||
{{{#!wiki style="font:80pt 바탕" [[同|{{{#black 同}}}]]}}} || {{{#!wiki style="font:80pt 바탕" [[義|{{{#black 義}}}]]}}} || || [[同|한가지 동]] || [[義|옳을 의]] || 같은 뜻. 또는 뜻이 같음. [[동음이의어]]의 줄임말. == 同議 == ||
{{{#!wiki style="font:80pt 바탕" [[同|{{{#black 同}}}]]}}} || {{{#!wiki style="font:80pt 바탕" [[議|{{{#black 議}}}]]}}} || || [[同|한가지 동]] || [[議|의논할 의]] || 같은 의견이나 논의. 반대말로는 [[이의]]가 있다. == 東醫 == ||
{{{#!wiki style="font:80pt 바탕" [[東|{{{#black 東}}}]]}}} || {{{#!wiki style="font:80pt 바탕" [[醫|{{{#black 醫}}}]]}}} || || [[東|동녘 동]] || [[醫|의원 의]] || 1. 한의술과 한약으로 병을 고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2. 중국에서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전통 의학. == 胴衣 == ||
{{{#!wiki style="font:80pt 바탕" [[胴|{{{#black 胴}}}]]}}} || {{{#!wiki style="font:80pt 바탕" [[衣|{{{#black 衣}}}]]}}} || || [[同|몸통 동]] || [[衣|의논할 의]] || 1. 남자가 입는 저고리. 겹것과 핫것이 있다. 2. 배자(褙子)와 같이 생긴 것으로, 한복에는 저고리나 적삼 위에, 양복에는 셔츠 위에 덧입는, 소매가 없는 옷. 흔히 호주머니가 달려 있다. == 動議 == ||
{{{#!wiki style="font:80pt 바탕" [[動|{{{#black 動}}}]]}}} || {{{#!wiki style="font:80pt 바탕" [[議|{{{#black 議}}}]]}}} || || [[動|움직일 동]] || [[議|의논할 의]] || 회의 중에 토의할 안건을 제기함. 또는 그 안건. * 긴급 '''동의'''. == 洞議 == ||
{{{#!wiki style="font:80pt 바탕" [[洞|{{{#black 洞}}}]]}}} || {{{#!wiki style="font:80pt 바탕" [[議|{{{#black 議}}}]]}}} || || [[同|골 동]] || [[議|의논할 의]] || 조선 중기 이후에,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와 부세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동 단위의 자치 조직. == 방언 == [[동이]]의 [[제주도]]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