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스트럭처 덱]] [INCLUDE(틀:유희왕 스트럭처 덱 일람)] ||<-5><#000000><:>{{{#white [[유희왕/OCG|{{{#white 유희왕/OCG}}}]]의 [[스트럭처 덱(유희왕)|{{{#white 스트럭처 덱}}}]]}}}||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s-2|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 ||<:> '''동옥의 빙결계''' || → || [[사이버류의 후계자]] || [목차] == 설명 == >迫り来る終局、トリシューラの鼓動は鳴り響く──。 >氷結の災厄、再び! > >닥쳐오는 종국, 트리슈라의 고동은 울려 퍼진다──. >빙결의 재난이, 또다시! > >- 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https://www.yugioh-card.com/japan/products/sd40/|#]] 凍獄の氷結界 [[유희왕/OCG]]의 스트럭처 덱. 일본 발매일은 2020년 11월 21일. 한국 발매일은 2021년 3월 9일. 2020년 6월 19일부터 6월 25일까지 진행된 2020 스트럭처 덱 테마 투표에서 인기가 쟁쟁했던 사이버류를 제치고 1위를 한 [[빙결계]]의 스트럭처 덱이다. 덱 구축 자체가 어려운 수준이었던 [[빙결계]]였기에 강력한 지원을 기대받는 상황이었으며, 조마사 등 다양한 신규 카드 덕분에 빙결계 덱의 구축이 가능한 수준에는 이르렀다. 다만 조마사와 의무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고, 더 간단하고 적은 초동으로 더 튼튼한 빌드를 만들 수 있는 덱이 훨씬 많아 빈말로라도 훌륭하다는 말은 듣기 힘든 수준. 발매 당시에도 그다지 좋은 평을 듣지 못했던 상품이지만,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수록 카드 공개 이후 후속 상품 퀄리티와 비교되며 코나미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아예 일본 현지에서는 실패한 스트럭처의 예시로 쓰이고 있으며, 때마침 한국에서는 빙결계의 의무 일러스트로 만든 응모권 매트를 내서 악성 재고가 될 것 같으니 끼워파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존재. 실제로 스트럭처는 뒷전이고 매트를 얻으려고 구매한 사람들 덕분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개당 3천원 이하의 가격으로 팔리기도 했다. 더 슬프게도 이후에 나온 스트럭처나 듀얼 터미널 관련 지원이 이쪽보다 좋아 현 빙결계를 놀림거리로 만드는 데 일조했다. '''유저 투표에서 1위를 했다는 건 분명히 수요가 있다는 뜻임에도 오로지 자기들이 미는 테마만 편애하는''' 코나미를 이해할 수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이후엔 확인 사살이라도 하고 싶은 건지 사이버류의 후계자와 함께 '어떤 스트럭처 덱으로 놀아보고 싶은가'에 대한 투표까지 진행하기도 했다. [[https://www.yugioh-card.com/which/ja/?result=675|#]] 유저들은 이젠 대놓고 [[비하 캐릭터]]에 가까운 악의가 느껴진다는 반응. 참고로 해당 투표는 유저들 사이에서도 '유저를 약 올리는 거냐'며 선을 넘었다는 반응이 많아 코나미를 비판하려는 의도에서 사이버 다크 유저이면서도 빙결계에 표를 넣는 사람도 있을 정도였고, 그로 인해 접전이 되다가 약 47:53이라는 근소한 차이로 빙결계가 패배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상품의 퀄리티만 보면 사이버류의 후계자의 압승이 되어야 하지만 지나친 편애가 역풍이 된 셈. 3년 후 [[터미널 월드(부스터 팩)|터미널 월드]]에서 빙결계가 지원을 받으면서 겨우 체면치례를 하게 되었다. 테마 내 카드 대부분이 차지하고 있는 락 기믹은 어정쩡한 상태로 냅둔채 굴러가기도 힘든 싱크로 기믹을 새로운 특성으로 밀어주다가 망한 것이 스트럭처의 주요 문제점이었는데, 스트럭처가 다져놓은 싱크로 기믹이 있었기에 비로소 터미널 월드에서 받은 강력한 새로운 에이스가 그 락 계열의 카드를 손쉽게 소환한다는 결과로 이어졌기 때문. 다만 동옥의 빙결계와 전후 지원 카드를 보면, 결과적으로 터미널 월드 지원 후 쓰지 않게 된 V-Jump 동봉 빙결계의 수신, 대놓고 농락용 후속 지원인 빙결계의 정파리, 아무도 안 쓰는 트리슈라의 고동 따위의 자리에 터미널 월드급 지원만 줬어도 진즉에 제대로 된 덱으로 기능할 수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해당 스트럭쳐의 모든 카드가 터미널 월드에 재록되게 되어서, 빙결계 테마 자체의 체면치레와 별개로 스트럭쳐의 가치는 더욱 떨어졌다. 빙결계 자체의 성능은 상술했듯 언급할 여지가 없지만, 오랜 기간 재록되지 못했던 풍류 깨구리와 마지 개구리가 재록된 덕분에 [[개구리(유희왕)|개구리]]를 채용하는 덱들 입장에서는 단비와 같은 스트럭처 덱이다. 티어권에서는 개구리를 채용하는 덱이 마땅히 없어 성능을 원하는 유저 입장에서는 살 필요가 없는 스트럭처 덱이었으나, 개구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등장 이후로는 뒤늦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구축 완료 덱 및 강화 팩에 슈퍼 레어 패러렐로 수록된 카드 중 랜덤으로 1장이 시크릿 레어 패러렐로 들어 있다. === 2020 스트럭처 덱 테마 투표 === 해당 투표에 선정된 다른 테마는 [[크리보(유희왕/카드군)|크리보]], [[디포머]], [[홀리 라이트닝]], [[초중무사]],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 [[가스타]], [[데스가이드]], [[파괴수(유희왕)|파괴수]]다. 여기서 언급된 카드들이 투표 이후 받아낸 순위와 2020년 6월 이후 11기 동안 받은 지원을 언급하자면 이하와 같다. * 3위였던 가스타는 [[던 오브 마제스티]]로 지원을 얻었다. * 4위인 트릭스터는 지원이 없다. * 5위를 기록한 디포머는 [[듀얼리스트 팩#휘석의 듀얼리스트 편|휘석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루아(유희왕)|루아]]가 부스터 모델로 등장하면서 신규 지원카드가 등장한 것은 물론, 해당 팩에서 구 디포머 카드가 대량으로 재록되었다. * 6위를 기록한 크리보는 [[컬렉터즈 팩#s-3.9|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1]]에서 도마편 당시 유우기가 사용한 크리보 5형제와 크리바빌론, 트윈클 파이브스타가 OCG화되었다. * 7위인 파괴수는 지원이 없다. * 8위인 홀리 라이트닝은 지원이 없다. * 9위를 기록한 데스가이드는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작명법이 비슷한 [[마계특파원 데스캐스터]]가 추가되었다. * 10위인 초중무사는 [[사이버스톰 액세스]]에서 대량 지원을 받아냈다. == 수록 카드 == 신규 카드는 볼드체. === 구축 완료 덱 === || 카드 번호 || 카드 이름 || 카드 종류 || 레어도 || || '''SD40-JP001''' || '''[[빙결계|빙결계의 호장 웨인]]''' || '''효과 몬스터''' || '''노멀 패러렐 ''' || || '''SD40-JP002''' || '''[[빙결계|빙결계의 조마사]]'''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003''' || '''[[빙결계|빙결계의 의무]]''' || '''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004''' || '''[[빙결계|빙결계의 상정]]''' || '''튜너/효과 몬스터''' || '''노멀 패러렐''' || || SD40-JP005 || [[빙결계|빙결계의 파수꾼 블리즈드]] || 효과 몬스터 || || || SD40-JP006 || [[빙결계|빙결계의 기술자]] || 튜너/효과 몬스터 || || || SD40-JP007 || [[빙결계|빙결계의 전도사]] || 효과 몬스터 || 노멀 패러렐 || || SD40-JP008 || [[빙결계|빙결계의 수호진]] || 튜너/효과 몬스터 || || || SD40-JP009 || [[빙결계|빙결계의 파술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0 || [[빙결계|빙결계의 봉마단]]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1 || [[빙결계|빙결계의 군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2 || [[빙결계|빙결계의 무희]] || 효과 몬스터 || 노멀 패러렐 || || SD40-JP013 || [[빙결계|빙결계의 대승]]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4 || [[빙결계|빙결계의 호장 라이호우]]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5 || [[빙결계|빙결계의 교영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6 || [[빙결계|빙결계의 호장 간타라]]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7 || [[빙결계|빙결계의 호장 그루나드]] || 효과 몬스터 || || || SD40-JP018 || [[제넥스 컨트롤러]] || 일반 몬스터 || || || SD40-JP019 || [[제넥스 운디네]] || 효과 몬스터 || || || SD40-JP020 || [[정령(유희왕)|물의 정령 아쿠에리어]] || 특수 소환/효과 몬스터 || || || SD40-JP021 || [[개구리(유희왕)|마지 개구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22 || [[개구리(유희왕)|풍류 깨구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23 || [[피시보그-런처]] || 튜너/효과 몬스터 || || || SD40-JP024 || [[빙령신 물랭레이스]] || 특수 소환/효과 몬스터 || || || SD40-JP025 || [[사일런트 앵그러]] || 효과 몬스터 || || || '''SD40-JP026''' || '''[[빙결계|빙결계에 이르는 청람]]''' || '''일반 마법'''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027''' || '''[[빙결계|빙결계의 정벽]]''' || '''지속 마법''' || '''노멀 패러렐''' || || SD40-JP028 || [[빙결계|빙결계의 삼방진]] || 일반 마법 || || || SD40-JP029 || [[빙결계|빙결계의 문장]] || 일반 마법 || 노멀 패러렐 || || SD40-JP030 || [[빙결계|빙결계의 거울]] || 속공 마법 || || || SD40-JP031 || [[샐비지(유희왕)|샐비지]] || 일반 마법 || 노멀 패러렐 || || SD40-JP032 || [[부상(유희왕)|부상]] || 일반 마법 || || || SD40-JP033 || [[멍멍이!?]] || 일반 마법 || || || SD40-JP034 || [[말살의 지명자]] || 속공 마법 || || || SD40-JP035 || [[지명자|홍연의 지명자]] || 일반 함정 || || || SD40-JP036 || [[데먼즈 체인]] || 지속 함정 || || || SD40-JP037 || [[배너티 스페이스]] || 지속 함정 || || || SD40-JP038 || [[멘탈 드레인]] || 지속 함정 || || || SD40-JP039 || [[모래 먼지의 태풍]] || 일반 함정 || || || SD40-JP040 || [[대대적 체포작전]] || 지속 함정 || || || SD40-JP041 ||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br]{{{#red (텍스트 에라타)}}} || 싱크로 / 효과 몬스터 || 노멀 패러렐 || === 강화 팩 : 빙해하는 숙명 팩 === 氷解する宿命パック || 카드 번호 || 카드 이름 || 카드 종류 || 레어도 || || '''SD40-JPP01''' ||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 '''싱크로/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P02 ||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 싱크로/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P03 || [[빙결계의 용 궁니르]] || 싱크로/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P04 ||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 싱크로/효과 몬스터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 || '''SD40-JPP05''' || '''[[빙결계|트리슈라의 고동]]''' || '''일반 함정''' || '''[[슈퍼 레어]] 패러렐[br][[시크릿 레어]] 패러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