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시아의 동쪽 또는 동북쪽 지역, rd1=동아시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아시아의 역사를 다루는 사회 일반 선택 과목, rd1=동아시아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프리카의 동쪽 지역, rd1=동아프리카)] [목차] == 식물 == [include(틀:채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_tougan4091.jpg]] {{{+1 Wintermelon / Wax gourd}}} 학명: ''Benincasa cerifera'' 영문명: Wax gourd, White gourd, Winter gourd, Winter melon [[박(식물)|박과]] 식물로서 원산지는 [[동남아시아]] 또는 [[인도]]로 추정되고 있다. 박보다 크고 길쭉하다. 대개 길이가 지름의 2배는 넘으며 큰 것은 길이가 1m에 가깝다. 동아란 이름은 순우리말이다. 한국에서는 [[순창군]] 등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있다. 현재는 먹거나 소비하는 사람도 별로 없어 잊히고 있는 안타까운 채소다. 크기가 커서 운반하기도 힘든데, 알맹이가 잘 썩기까지 한다.[* 동아를 잘라서 안을 보는 것밖엔 썩었는지 안 썩었는지 알 도리가 없다. 기껏 힘들게 공수해 와서 잘라 보았더니 검게 썩은 모습을 보면 기절할 지경이다.] 맛을 보면 수박의 하얀 부분과 무의 중간 맛이 나는데[* [[한식대첩]]에서는 [[최현석]] 셰프가 '(수박맛과 무맛에 더해) 오이 향 같이 시원한 물맛이 난다'고 평하기도 했다.], 이런 동아 맛은 [[박(식물)|박]] 맛과 거의 비슷하다. 둘 다 박과이기 때문에 무나 박처럼 국물 요리에 넣어 시원한 맛을 낸다. 이처럼 맛이나 요리법에서 동아는 박과 뚜렷하게 차이나는 점이 없다. 박도 식재료 자체의 향미가 강한 편은 아니지만, 널리 알려진 식재료라서 여러 가지 요리법이 연구된 것인데, 동아는 구하기도 힘들어서 대체재가 되기 힘들다. [[대만]]에서는 동아를 동과(冬瓜)라고 부르며 반찬부터 국거리에 넣어먹기도 하고 흑설탕과 함께 녹여서 동과차로 마시기도 한다. 구수하면서 달달한 것이 특징이다. 공차에서 파는 '윈터멜론 밀크티'가 이 [[동아차|동과차]]이다. [[펑리수]]의 재료이기도 하다. 중국도 대만처럼 동과를 여러 가지 요리에 활용한다. [[이순신]]의 행록에는 이순신이 어린 시절 동네 소경아이를 같이 동아 따러가자고 속인 다음 자기 집 동아를 따게 만든 일화가 실려 있다. 행록의 저자가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고 인물 추앙과는 관련 없는 어린 시절 일화라 [[사실]]로 보이는데 전근대에는 박만큼이나 흔하게 재배된 색재였을 듯하다. == [[東]][[亞]] == 하기의 고유명사들은 모두 [[동아시아]]를 [[한자]]로 음역한 동아세아(東亞細亞), 줄여서 동아(東亞)에서 명칭을 따왔으며 [[대한민국|한국]]에서 각종 조직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 대한민국의 기업명 === * [[동아그룹]]: 과거 [[동아건설산업|동아건설]]을 모기업으로 했던 기업집단 * [[동아일보]]: [[1920년]]에 창간된 신문 또는 신문업 및 출판업체를 지칭함. * [[동아쏘시오그룹]]: [[1932년]]에 창립된 [[동아제약]]을 주축으로 한 기업집단 * [[동아출판]]: [[1945년]]에 창립된 출판사 * [[동아백화점]]: [[1972년]]에 설립된 백화점 * [[동아연필]]: [[1946년]]에 창립된 문구사 * [[동아운수]]: [[1964년]]에 설립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동아여객]]: [[1982년]]에 설립된 [[경상남도]] [[창원시]]소속의 시내/시외버스 업체 * [[KG모빌리티/역사#s=2.|동아자동차]]: [[1954년]]에 설립된 [[자동차]] 회사 === 대한민국의 대학명 === * [[동아대학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전문대학]] * [[동아보건대학교]]: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전문대학 [[분류:동음이의어]][[분류:박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