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부산 사상구의 마을버스 회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서교통)] == 제주도의 시내버스 회사 서귀포운수의 과거 사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귀포운수)] == 서울에 있었던 시내버스 회사 == 1972년 6월 21일에 36번([[송파공영차고지]]~[[고속터미널역]], 개편 후 4423번이었다가 [[서울 버스 452|462번]]으로 통합), 66번([[송파공영차고지]]~[[신사역]], 개편 후 4421번이었다가 4419번으로 통합)의 면허를 받아 설립하였으며, 1990년에 남성교통으로 변경되었다. 그 이후의 역사는 [[남성버스]] 문서를 참조. == 인천에 있었던 시내버스 회사 == [include(틀:서구(인천)의 버스회사)] 인천 최대의 업체이던 제물포버스(현 [[미추홀교통]])가 [[1970년대]] 초반에 대진운수[* 1980~90년대 시내버스 공동배차 시절에는 배차 간격이 가장 긴 회사 중 하나였다. 이 시절 인천 시내버스는 분명 같은 노선인데도 운수 회사에 따라 배차간격이 5분에서 30분까지 벌어지는 등 고르지 못한 운행을 했다.]라는 이름의 자회사를 설립한다. 2001년 10월, 부평구 마을버스 회사였던 청농교통이 제물포버스 계열사인 대진운수를 인수하여 설립한 업체이다.[* 그래서 대진운수 사명을 뜯은 흔적이 보이는 차들이 더러 있었다.] [[미추홀교통|인천선진교통]]과 다르게 이쪽은 대진운수 법인을 통째로 인수하였다. 그래서 회사 연혁도 대진운수까지 포함된다. 하지만 대진운수의 자산 대부분은 제물포버스 소유이고 이것을 공유하는 형태여서 법인에 포함된 자산은 없었던게 함정이다. 대진운수 시절 개별배차제시행 초기에 소래~주안역을 운행하는 38번을 잠시 맡기도 했으나 곧 용현운수(현 [[인천스마트]])로 매각하였다. 청룡교통 오너가 시내버스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면서 기존 알짜회사인 청농교통[* 현재의 [[세원교통]]이다. 당시 청농이 매물로 나오자 동인운수(동구 6번, 현 506번), 예원운수(부평구 14번, 현 564번) 오너가 공동으로 인수하였다.]을 다른 사업자에게 통째로 매각하고 그 자금을 바탕으로 대진운수를 인수하게 되었다. 42번만 밀어주던 대진 시절과는 다르게 41번에 강한 푸쉬를 해 주었고, 2001년 11월 20일 1차 [[천연가스버스]] 도입 업체로 대우 [[자일대우버스 BS|BS106]] 10대를 도입하여 전차량 41번에 투입하여 운행했다. 마을버스 회사의 의욕적인 시내버스 진출은 좋았지만 다른 마을버스 회사와는 다르게 안타깝게도 2004년도에 부도처리되어 41번과 법인은 [[시영운수]] 계열사인 세양운수가 인수하고, 42번과 42-1번과 차량과 면허는 [[영풍운수]]에서 인수하였다. 2004~2006년도에 사주가 계속 정신없이 바뀌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2016년까지 [[청룡교통]]이 안정적으로 운영했다. 부도직전까지 존재했던 면허는 인천 70바 16xx번대였는데. 41번이 세양운수로 넘어가면서 모두 인천 73아 10xx번대로 전환되어 현재까지 청룡교통에서 운행중이다. 또 42번, 42-1번이 영풍운수에서 인수한 직후 동서교통에서 운행하던 2001년식 BS106 천연가스버스 차량이 동서교통 사명을 달고 77번에서 운행하는 웃지못할 해프닝이 벌어졌다.(면허는 영풍운수 면허였는데 이는 곧 중형차량으로 조기대차되었다.)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L 일부 차량은 무의운수(현 [[예성교통]])으로도 매각되었다. 운행했던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인천 버스 41|41번]] - [[인천종합터미널]]~율도 * [[인천 버스 42|42번]] - 만수3지구~율도 * 42-1번 - [[동암역]]~율도선착장[* 지금의 [[인천 버스 42-1|42-1번]]과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율도선착장에서 영종도를 오가던 삼보해운 페리를 연계시켜 주던 노선이었다.] [[분류:버스 회사]][[분류:이름이 같은 버스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