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구(광주)의 법정동)] ||<-2> '''[[북구(광주광역시)|{{{#000000,#dddddd 북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동림동}}}'''[br]東林洞 | Dongnim-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북구 동림동,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북구 || || '''행정표준코드''' || 3620031 || || '''관할 법정동''' || 동림동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30반 || || '''면적''' || 3.28㎢ || || '''인구''' || 22,811명[* 2023년 1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6,954.5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북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형석]] ,,(초선),, || ||<-2> '''광주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심창욱 ,,(초선),, || ||<-2> '''북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종국(1978)|임종국]]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주순일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예원]]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북문대로 236[* 동림동 1156-3] || || [[https://bukgu.gwangju.kr/menu.es?mid=b10123010100|동림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관할 법정동은 동림동(일부)이다. == 지명 유래 == ‘동림’이란 이름은 '''동'''배마을과 죽'''림'''마을에서 한글자씩 따와서 지었다. == 특징 == 동림동은 크게 푸른마을 주공아파트가 있는 불공마을(동림지구)과 삼익아파트가 있는 동배/죽림마을(동림3지구)로 나눠지고 이 두 곳은 운암산을 경계로 서로 갈라져 있으며 운암산을 가로지르는 길도 마땅히 없어서 상호이동하기가 쉽지 않다.[* [[빛고을대로]] 옆 샛길로 차량이 오갈 수 있긴 한데 말 그대로 샛길이고 인도도 없어서 걸어가기에도 많이 열악하다.] 그래서 사실상 다른 동네로 보는게 보편적이다. [[빛고을대로]] 건너편에 소규모 공장지대도 동림동 소속이다. [[영산강]]을 끼고 있어 제대로 개발한다면 상당히 거주여건이 좋은 곳이 될 수 있겠지만 [[광주공항]]으로 인해 이 일대가 비행안전구역으로 묶여서 개발이 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동림동 외에도 광주공항 활주로 방향에 위치한 우산동, 덕흥동, 유촌동, 동천동, 신창동 역시 마찬가지인 상황. 1990년대에 불공마을 일대는 [[대한주택공사]]에 의해 동림지구로 개발되어 푸른마을 주공아파트가 들어서게 되었다. 이 당시에 [[호남고속도로]] 너머는 개발이 전혀 안된 논밭이었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 [[연제동]], [[양산동(광주광역시 북구)|양산동, 본촌동]]에도 도시개발이 이뤄지면서 북쪽으로 시가지가 더 확장되었다. 동림지구는 [[1번 국도]] [[북문대로]]를 통해 [[운암동]]과 이웃한다. 동림지구 자체 상권은 상당히 작기 때문에 어지간한건 운암동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동림지구에는 운암동에 없는 [[이마트 에브리데이]]가 있어서 장보기는 상당히 편리하다. 2005년에는 [[하남대로(광주)|하남대로]] 이남에 [[광주천]]을 낀 동림2지구가 개발되었고 2008년 지구내 모든 아파트가 완공되어 입주하면서 동림동의 새로운 주거단지로 급부상했는데, 2011년에 동림2지구가 [[서구(광주광역시)|서구]]로 편입되어 [[동천동(광주)|동천동]]으로 분리되었다. 동림2지구의 착공 이후 [[대한주택공사]]는 죽림마을 부근에 동림3지구를 추진했고 그 과정에서 죽림마을주공아파트와 한울초등학교가 지어졌다. 하지만 그 앞은 민간주도로 개발하도록 계획한건지 도로만 일부 개설해주고 택지개발은 하지 않았다. 그래서 땅모양이 다소 지저분하게 개발이 되었다. 2020년대에 들어서 죽림마을 일부에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아파트 건설사업이 추진되었고 2023년 기존 주택 및 상가들이 완전히 철거되었고 아파트가 지어지고 있다. 진아건설의 [[진아리채]] 브랜드이며 2026년 진아리채가 완공되면 죽림마을 일대는 얼추 개발이 끝난다. 반대로 얘기하면 더 이상 아파트가 새로 들어올 자리가 없다. == 주요시설 == === 기관 === * 동림동주민센터 * 광주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 교육 === ==== 초등학교 ==== * 동림초등학교 * 광주한울초등학교 ==== 중학교 ==== * --대자중학교--[* 2011년 북구 동림동 일부가 서구 동천동으로 분동하면서 동천동 소재로 넘어갔다.] ==== 고등학교 ==== 없음. == 주거 == === 아파트 === || '''건설사''' || '''단지명''' || '''입주시기''' || '''규모''' || '''난방방식/연료''' || || [[삼호]] || 동림푸른마을 주공1단지 ||<|2> 1998.06 || 357세대 ||<|19> 개별난방/도시가스 || || [[중흥건설]] || 동림푸른마을 주공2단지 || 535세대 || || [[라인건설]]/[[삼호]]/남광건설 || 동림푸른마을 주공3단지 || 1997. 12 || 1,514세대 || || [[라인건설]]/[[삼호]]/[[금호건설]] || [[동림푸른마을 주공4단지]] || 1998. 12 || 1,160세대 || || [[삼호]] || 삼호가든아파트 || 1991. 02 || 628세대 || || 유일건설 || 유일가든아파트 || 1992. 03 || 365세대 || || [[우미건설]] || 동림동 우미아파트 || 1991. 10 || 600세대 || || [[삼익소월|삼익건설]] || [[동림동 삼익아파트]] || 1996. 05 || 1,521세대 || || [[SM그룹|삼라건설]] || 동림동 삼라마이다스 || 2005. 10 || 250세대 || || [[신일유토빌|신일건업]] || 죽림마을주공아파트 || 2007. 03 || 815세대 || || [[광신프로그레스|광신종합건설]] || 동림동 광신프로그레스 || 2017. 08 || 234세대 || || [[코오롱글로벌]] || 운암산 코오롱하늘채 || 2018.06 || 922세대 || || [[대광건영]] || 동림동 대광로제비앙 || 2020.05 || 506세대 || ||<|2> [[한국건설]] || 동림3지구 한국아델리움 더숲1단지 ||<|2> 2020.09 || 182세대 || || 동림3지구 한국아델리움 더숲2단지 || 98세대 || ||<|2> [[우방(기업)|(주)우방]] || 동림 우방아이유쉘1차 || 2022.05 || 134세대 || || 동림 우방아이유쉘2차 || 2023.05 || 200세대 || || [[우미건설]] || 운암산공원 우미린 리버포레 || 2027.06(예정) || 734세대 || || [[진아리채|진아건설]] || 운암산 진아리채 || 2026.07(예정) || 414세대 || == 은행 == * [[광주은행]] * 동림지점 * 동림삼익365 * 중흥[[새마을금고]] * 동림지점 * [[NH농협은행]] * 동림동지점[* 현재는 지점이 위치한 자리가 동림동에서 동천동으로 분동되는 바람에 '''동천동지점'''으로 지점이름변경과 동시에 위치도 옆으로 이전했다.] * [[KEB하나은행]] * 동림동지점[* 현재는 지점이 위치한 자리가 동림동에서 동천동으로 분동되는 바람에 '''동천동지점'''으로 지점이름변경을 하였다.] == 교통 == 북구에서 광산구 [[첨단지구|첨단1,2동]], [[수완동]], [[신창동(광주)|신창동]], [[신가동]] 등지로 이동하려면 [[호남고속도로]], 북문대로, 하남대로를 이용해야 하는데, 세 도로 모두 동림동을 지나가게 되어있다. 호남고속도로는 왕복4차선이라 북구=>광산구 수요, 고속도로수요 등으로 항시 혼잡하며, 북문대로는 동운고가에서 운암동쪽으로 넘어와 이동하는 수요, 운암사거리 수요, [[운암동]], [[용봉동(광주 북구)|용봉동]] 자체수요 등으로 혼잡하다. 하남대로는 주로 신가동, 운남동 과 운암동, 용봉동 등으로 이동 및 신가동, 운남동의 터미널 이동 수요로 혼잡한 편이다. === [[광주 시내버스|시내버스]] === ==== 급행 ==== * [[광주 버스 첨단09|첨단09]] ==== 간선 ==== * [[광주 버스 수완12|수완12]] *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 * [[광주 버스 문흥18|문흥18]] * [[광주 버스 첨단22|첨단22]] * [[광주 버스 송정29|송정29]] * [[광주 버스 첨단30|첨단30]] * [[광주 버스 봉선27|봉선27]] * [[광주 버스 문흥39|문흥39]] * [[광주 버스 운림51|운림51]] * [[광주 버스 금남58|금남58]] * [[광주 버스 송정98|송정98]] * [[광주 버스 봉선37|봉선37]] ==== 지선 ==== * [[광주 버스 228|228]] * [[광주 버스 상무62|상무62]] * [[광주 버스 상무63|상무63]] * [[광주 버스 수완49|수완49]] * [[광주 버스 임곡89|임곡89]] * [[광주 버스 송암72|송암72]] * [[광주 버스 첨단192|첨단192]] === [[광주 도시철도|도시철도]] === 현재 동림동을 거치는 도시철도 역은 없다. [[2021년]] [[6월 28일]] 박남언 교통건설국장이 [[ https://m.betanews.net/article/1269929|광주도시철도, 농성역에서 광천터미널, 야구장, 운암동, 동림동 장애인복지관 연결노선]] 제안내용과 청원내용에 대하여 청취한 후 “충분히 제안 의견을 공감한다”면서 “현재 내년도 대중교통환경에 대한 용역을 실시중인데 오늘 안건도 수렴해서 더 적극적으로 검토해서 최대한 빨리 추진될수 있도록 검토해 보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주민의견대로 추가할 경우 약 2,000억원이 소요되는 사업인만큼 관련부처와 긴밀히 상의하겠다"라고 답했다.[[https://m.betanews.net/article/1269929|광주도시철도, 농성역에서 광천터미널, 야구장, 운암동, 동림동 장애인복지관 연결노선 적극 검토키로]] 이전에도 효천지선을 연장해 남북선으로 만들자는 비슷한 제안이 있었는데 2020년 12월 광주 미래교통21 모임 등에서 낸 보고서 참고. [[https://2040gjplan.kr/gjplan/home/board/view.do?boardKey=1&key=19&l=1|2040 광주플랜 홈페이지]], [[http://news.sarangbang.com/talk/bbs/story/172317?url=%2F%2Fnews.sarangbang.com%2Fbbs.html%3Ftab%3Dstory%26keyword%3D%25EC%25|보고서 원문]] [[분류:북구(광주)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