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rd1=동래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동래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동래구}}}}}}'''[br]{{{-1 {{{#fff 동래구 일원[br]東萊區[br]Dongnae}}}}}}}}}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동래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72,261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부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래구|{{{#373a3c,#fff 동래구}}}]] 전역'''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 ||<-2> '''신설년도'''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 ||<-2> '''이전 선거구''' ||<-2> 동래구 갑, 동래구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김희곤]]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 선거구 중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은 선거구 중 하나인데 이는 동래구가 시간이 갈수록 행정구 분리를 겪으면서 그 영역이 축소되었기 때문이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지금의 [[금정구]]를 동래구에서 떼어내 신설하면서 지금의 동래구 지역을 동래구 갑, 지금의 [[연제구]] 지역을 동래구 을로 편성하였다. 그러나 1995년 3월에 [[연산동(부산)|연산동]]과 [[거제동]]을 동래구에서 떼어내 [[연제구]]를 신설하면서 선거구가 다시 조정되었다. 남은 동래구의 동들 중에서 [[수민동]], [[복산동(부산)|복산동]], [[명륜동(부산)|명륜동]], [[안락동]], [[명장동]]을 동래구 갑으로 [[온천동(부산)|온천동]]과 [[사직동(부산)|사직동]]을 동래구 을로 편성했다. 이후 동래구의 인구가 줄면서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단일 선거구로 합쳐져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이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의 [[김희곤]]이다. 이 지역은 1960년대 부터 대규모 주택지로 개발되어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높고 중장년 인구가 많은 곳이라 보수 성향이 강한 동네 중 하나이다. 다만 사직동엔 3040대 인구가 많아서 해당 지역에선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1981년 이전까지는 그래도 [[민주당계 정당]] 이었던 [[이기택]]이 3선을 하는 일이 있었지만 1981년 김진재의 당선으로 [[3당 합당]] 이전에도 보수 성향이 강한 동네가 되더니 [[3당 합당]] 이후로는 부산 전체가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면서 동래구도 아예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었다. 다만 20대 총선에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이진복]]이 불과 42.5%밖에 안 되는 득표율로 당선되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19대 대선]]에서는 이곳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이 [[자유한국당]] [[홍준표]]를 상대로 37.7% : 33%로 4.7%p 차이로 꺾고 1위를 차지했었다. 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20대 총선 때 낙선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동래구청장에 당선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이후에는 부산의 민심이 다시 보수화되면서, 동래구도 그 영향을 크게 받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김희곤]] 후보가 당선되었다. 다만 민주당 후보 [[박성현]]도 42.5%를 얻으며 선전함과 동시에 한 3당합당 이후 민주당계 정당 후보 최초로 한 동에서 이김으로써 소소한 성과를 거두었다. 2년 후의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상대로 59.8% : 36.6%로 23.2%p 차이로 꺾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완전히 보수 텃밭으로 돌아왔다. 참고로 이 지역구의 현역 국회의원 [[김희곤]]과 직전 국회의원 [[이진복]] 모두 [[친윤]]이고, 특히 [[이진복]]은 현재 [[윤석열 정부]] [[정무수석비서관]]으로 재임하고 있다. 동래구가 2020년 27만을 돌파했지만 분할되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고층빌딩들과 아파트들이 곳곳에서 올라가고 있는 중이라 인구가 더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2> [[박관용]]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4> 동래구 갑 || ||<|2> 제14대 ||<|2>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2월 27일 || || [[강경식(1936)|강경식]] || 1993년 4월 24일 ~ 1996년 5월 29일 || ||<|2> 제15대 || [[박관용]] ||<|2> [include(틀:신한국당)] ||<|2>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강경식(1936)|강경식]] || 동래구 을 || || 제16대 || [[박관용]]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6> 동래구 || || 제17대 || [[이재웅(정치인)|이재웅]]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3> [[이진복]] || [include(틀: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2>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김희곤]]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동래구 갑[* 현재의 동래구] (13대~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래구 갑'''}}}}}}[br]{{{#ffffff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경식(1936)|강경식]](姜慶植) || 57,491 || 2위 ||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36.87% || 낙선 || ||<|2> {{{#ffffff {{{+5 '''2'''}}}}}} || '''[[박관용]](朴寬用)''' || '''93,550''' || '''1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59.99%'''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도상수(都相洙) || 4,878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1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2,149 ||<|3> '''투표율'''[br]77.70% || || '''투표 수''' || 157,067 || || '''무효표 수''' || 1,148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래구 갑'''}}}}}}[br]{{{#ffffff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관용]](朴寬用)''' || '''92,353'''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65.81%'''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정인조(鄭寅祚) || 32,902 || 2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23.44% || 낙선 || ||<|2> {{{#ffffff {{{+5 '''3'''}}}}}} || 김상훈(金相勳) || 15,06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7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8,453 ||<|3> '''투표율'''[br]65.16% || || '''투표 수''' || 142,342 || || '''무효표 수''' || 2,023 || ==== [[1993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동래구 갑'''}}}}}}[br]{{{#ffffff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경식(1936)|강경식]](姜慶植)''' || '''72,333''' || '''1위''' ||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81.6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정인조(鄭寅祚) || 15,667 || 2위 || || [include(틀: 민주당(1991년))] || 17.7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8,453 ||<|3> '''투표율'''[br]40.40% || || '''투표 수''' || 88,537 || || '''무효표 수''' || 628 || === 동래구 갑/을 (15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래구 갑'''}}}}}}[br]{{{#ffffff 수민동, 복산동, 명륜1동, 명륜2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관용]](朴寬用)''' || '''42,748'''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63.75%''' || '''당선''' || ||<|2> {{{#ffffff {{{+5 '''2'''}}}}}} || 마청(馬淸) || 4,984 || 3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7.43% || 낙선 || ||<|2> {{{#ffffff {{{+5 '''3'''}}}}}} || [[노재철]](盧在哲) || 15,876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23.67% || 낙선 || ||<|2> {{{#ffffff {{{+5 '''4'''}}}}}} || 박종대(朴鍾大) || 3,439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5.1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5,862 ||<|3> '''투표율'''[br]59.24% || || '''투표 수''' || 68,633 || || '''무효표 수''' || 1,586 || ||<-4> {{{#ffffff {{{+1 '''동래구 을'''}}}}}}[br]{{{#ffffff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강경식(1936)|강경식]](姜慶植)''' || '''34,842'''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66.77%''' || '''당선''' || ||<|2> {{{#ffffff {{{+5 '''2'''}}}}}} || 정상원(鄭相元) || 5,577 || 3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10.68% || 낙선 || ||<|2> {{{#ffffff {{{+5 '''3'''}}}}}} || 정인조(鄭寅祚) || 11,763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22.5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6,876 ||<|3> '''투표율'''[br]55.31% || || '''투표 수''' || 53,586 || || '''무효표 수''' || 1,404 || === 동래구 (16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관용]](朴寬用)''' || '''67,742'''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8.15%''' || '''당선''' || ||<|2> {{{#ffffff {{{+5 '''2'''}}}}}} || [[노재철]](盧在哲) || 15,666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3.44% || 낙선 || ||<|2> {{{#ffffff {{{+5 '''3'''}}}}}} || 유문현(柳文炫) || 2,848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44% || 낙선 || ||<|2> {{{#ffffff {{{+5 '''4'''}}}}}} || [[강경식(1936)|강경식]](姜慶植) || 30,239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5.9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6,062 ||<|3> '''투표율'''[br]62.83% || || '''투표 수''' || 117,949 || || '''무효표 수''' || 1,454 || 이 선거에서 당선된 [[박관용]]은 [[16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지내게 된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그리고...]]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웅(정치인)|이재웅]](李在雄)''' || '''76,27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7.27%''' || '''당선''' || ||<|2> {{{#ffffff {{{+5 '''2'''}}}}}} || 조우섭(趙祐燮) || 1,601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20% || 낙선 || ||<|2> {{{#000000,#e5e5e5 {{{+5 '''3'''}}}}}} || [[노재철]](盧在哲) || 48,964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6.76% || 낙선 || ||<|2> {{{#ffffff {{{+5 '''4'''}}}}}} || 임선백(林善白) || 6,343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7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3,774 ||<|3> '''투표율'''[br]62.83% || || '''투표 수''' || 134,316 || || '''무효표 수''' || 1,133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상원]](鄭相元) || 9,912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9.73% || 낙선 || ||<|2> {{{#ffffff {{{+5 '''2'''}}}}}} || [[오세경]](吳世俓) || 38,087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7.40% || 낙선 || ||<|2> {{{#ffffff {{{+5 '''6'''}}}}}} || 박재은(朴栽誾) || 1,748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72% || 낙선 || ||<|2> {{{#ffffff {{{+5 '''7'''}}}}}} || '''[[이진복]](李珍福)''' || '''52,092'''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51.15%'''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24,455 ||<|3> '''투표율'''[br]45.85% || || '''투표 수''' || 102,912 || || '''무효표 수''' || 1,073 || ||<:><-8> {{{#FFFFFF '''18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오세경|{{{#ffffff '''오세경'''}}}]] ||<:> [[이진복|{{{#FFFFFF '''이진복'''}}}]] || || '''득표수[br](득표율)''' ||<:> '''38,087 [br] (37.40%)''' ||<:> {{{#FFFFFF '''52,092 [br] (51.15%)'''}}} || '''+14,005 [br] (△13.75)''' || '''45.85%''' || || '''수민동''' ||<:> 35.26% ||<:> {{{#808080 54.69%}}} ||<:> △13.46 ||<:> 49.00 || || '''복산동''' ||<:> 32.22% ||<:> {{{#808080 52.21%}}} ||<:> △8.01 ||<:> 46.17 || || '''명륜1동''' ||<:> 29.82% ||<:> {{{#808080 '''60.65%'''}}} ||<:> △24.84 ||<:> 45.03 || || '''명륜2동''' ||<:> 35.94% ||<:> {{{#808080 55.04%}}} ||<:> △14.43 ||<:> 45.67 || || '''온천1동''' ||<:> 39.29% ||<:> {{{#808080 54.88%}}} ||<:> △13.54 ||<:> 47.94 || || '''온천2동''' ||<:> 39.60% ||<:> {{{#808080 56.48%}}} ||<:> △16.19 ||<:> 49.43 || || '''온천3동''' ||<:> 37.39% ||<:> {{{#808080 57.47%}}} ||<:> △18.60 ||<:> 45.82 || || '''사직1동''' ||<:> '''42.62%''' ||<:> {{{#808080 57.53%}}} ||<:> △19.89 ||<:> 40.29 || || '''사직2동''' ||<:> 38.09% ||<:> {{{#808080 60.17%}}} ||<:> △24.56 ||<:> 43.26 || || '''사직3동''' ||<:> 36.01% ||<:> {{{#808080 58.76%}}} ||<:> △19.94 ||<:> 46.39 || || '''안락1동''' ||<:> 38.36% ||<:> {{{#808080 56.82%}}} ||<:> △17.55 ||<:> 42.60 || || '''안락2동''' ||<:> 37.36% ||<:> {{{#808080 54.26%}}} ||<:> △12.34 ||<:> 41.68 || || '''명장1동''' ||<:> 33.92% ||<:> {{{#808080 55.29%}}} ||<:> △14.87 ||<:> 42.20 || || '''명장2동''' ||<:> 32.78% ||<:> {{{#808080 53.30%}}} ||<:> △10.89 ||<:> 39.89 || || '''후보''' ||<:> [[오세경|{{{#0095DA '''오세경'''}}}]] ||<:> [[이진복|{{{#808080 '''이진복'''}}}]] ||<-2> 격차 || || '''부재자투표''' ||<:> {{{#0095DA '''53.73%'''}}} ||<:> 43.56% ||<-2> ▼24.82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진복]](李珍福)''' || '''66,548'''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3.42%''' || '''당선''' || ||<|2> {{{#3AB34A {{{+5 '''2'''}}}}}} || [[노재철]](盧在哲) || 41,231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33.10% || 낙선 || ||<|2> {{{#ffffff {{{+5 '''6'''}}}}}} || [[박재완(1966)|박재완]](朴宰完) || 2,250 || 5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1.80% || 낙선 || ||<|2> {{{#ffffff {{{+5 '''7'''}}}}}} || [[최찬기]](崔贊起) || 10,657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55% || 낙선 || ||<|2> {{{#ffffff {{{+5 '''8'''}}}}}} || 김칠두(金七頭) || 3,86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1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0,082 ||<|3> '''투표율'''[br]54.52% || || '''투표 수''' || 125,432 || || '''무효표 수''' || 880 || [[새누리당]]에선 현역 의원 [[이진복]]이 재선에 도전했고 [[민주통합당]]에선 [[노재철]]이 출마해 이진복과 맞붙었다. 그리고 [[진보신당]]에서도 [[박재완(1966)|박재완]]이 출마했고 동래구청장 출신이며 [[새누리당]] 공천 탈락에 대한 반발로 탈당한 최찬기가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그 밖에 김칠두도 무소속으로 출마해 5인 간 대결로 치러졌다. 그러나 친여 무소속 최찬기의 득표율이 10%가 채 되지 않아 여권 분산 효과가 크지 않았고 노재철도 33.1% 득표에 그치며 53.4%를 득표한 이진복이 여유롭게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진복]](李珍福)''' || '''53,37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2.52%''' || '''당선''' || ||<|2> {{{#ffffff {{{+5 '''2'''}}}}}} || [[김우룡(정치인)|김우룡]](金雨龍) || 30,198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4.06% || 낙선 || ||<|2> {{{#ffffff {{{+5 '''3'''}}}}}} || [[정상원]](鄭相元) || 20,617 || 4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6.42% || 낙선 || ||<|2> {{{#ffffff {{{+5 '''5'''}}}}}} || [[박승환(정치인)|박승환]](朴勝煥) || 21,30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9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7,516 ||<|3> '''투표율'''[br]55.87% || || '''투표 수''' || 127,111 || || '''무효표 수''' || 1,616 || ||<-7> {{{#ffffff '''20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무소속)]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진복|{{{#ffffff '''이진복'''}}}]] || [[김우룡(정치인)|{{{#ffffff '''김우룡'''}}}]] || [[정상원|{{{#ffffff '''정상원'''}}}]] || [[박승환(정치인)|{{{#ffffff '''박승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53,371 [br] (42.52%)'''}}} || '''30,198 [br] (24.06%)''' || '''20,617 [br] (16.42%)''' || '''21,309 [br] (16.97%)''' || '''+23,173 [br] (△18.46)''' || '''55.87%''' || || '''수·민동''' || {{{#c9252b 40.08%}}} || 24.66% || 17.09% || 18.17% || △13.42 || 56.05 || || '''복·산동''' || {{{#c9252b 45.88%}}} || 17.27% || 15.94% || '''20.91%''' || △'''28.61''' || 55.09 || || '''명륜동''' || {{{#c9252b 38.50%}}} || 27.14% || 17.21% || 17.15% || △11.36 || 57.46 || || '''온천1동''' || {{{#c9252b 45.46%}}} || 21.53% || 14.77% || 18.24% || △23.93 || 45.17 || || '''온천2동''' || {{{#c9252b 45.94%}}} || 19.43% || 16.14% || 18.48% || △26.51 || 55.69 || || '''온천3동''' || {{{#c9252b 42.59%}}} || 23.41% || 16.99% || 17.01% || △19.18 || 52.24 || || '''사직1동''' || {{{#c9252b 45.95%}}} || 22.90% || 16.32% || 14.83% || △23.05 || 54.18 || || '''사직2동''' || {{{#c9252b 36.14%}}} || '''29.13%''' || '''19.14%''' || 15.58% || △7.01 || 59.32 || || '''사직3동''' || {{{#c9252b '''48.52%'''}}} || 21.79% || 14.88% || 14.81% || △26.73 || 52.31 || || '''안락1동''' || {{{#c9252b 44.13%}}} || 21.75% || 14.94% || 19.18% || △22.38 || 52.85 || || '''안락2동''' || {{{#c9252b 44.34%}}} || 24.11% || 15.78% || 15.77% || △20.23 || 55.91 || || '''명장1동''' || {{{#c9252b 47.52%}}} || 20.62% || 13.84% || 18.02% || △26.90 || 50.48 || || '''명장2동''' || {{{#c9252b 45.63%}}} || 21.31% || 15.33% || 17.73% || △24.32 || 52.37 || || '''후보''' || [[이진복|{{{#c9252b '''이진복'''}}}]] || [[김우룡(정치인)|{{{#004ea2 '''김우룡'''}}}]] || [[정상원|{{{#006241 '''정상원'''}}}]] || [[박승환(정치인)|{{{#808080 '''박승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53.32%'''}}} || 18.95% || 16.21% || 11.52% ||<-2> △'''34.37''' || || '''관외사전투표''' || {{{#c9252b 35.56%}}} || 32.91% || 17.99% || 13.54% ||<-2> △2.65 || || '''국외부재자투표''' || 29.14% || {{{#004ea2 '''51.80%'''}}} || 13.31% || 5.75% ||<-2> {{{#808080 ▼'''22.66'''}}} || [[새누리당]]에선 3선에 도전하는 현역 의원 [[이진복]]이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김우룡(정치인)|김우룡]][* 2018년 현재 동래구청장]이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선 정상원이 출마했다. 또 [[새누리당]] 공천 컷오프에 반발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박승환도 가세하여 여권 후보 2명, 야권 후보 2명의 4파전이 되었다. 선거기간 동안 야권 후보들 간의 단일화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결론적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친여 무소속 박승환이 무려 17% 가까이 잠식하며 여권 표를 분산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이진복이 야권 후보 둘의 득표율을 합친 것(40.5%)보다 더 높은 득표율을 올리며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온천1동, 온천2동, 온천3동, 사직1동, 사직2동, 사직3동, 안락1동, 안락2동, 명장1동, 명장2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성현(정치인)|박성현]](朴省炫) || 67,430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2.78% || 낙선 || ||<|2> {{{#ffffff {{{+5 '''2'''}}}}}} || '''[[김희곤]](金熙坤)''' || '''81,722'''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1.85%''' || '''당선''' || ||<|2> {{{#000000 {{{+5 '''6'''}}}}}} || [[박재완(1966)|박재완]](朴宰完) || 3,528 || 4위 || || [include(틀:정의당)] || 2.23% || 낙선 || ||<|2> {{{#ffffff {{{+5 '''7'''}}}}}} || 손윤영(孫侖煐) || 1,081 || 5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8% || 낙선 || ||<|2> {{{#ffffff {{{+5 '''8'''}}}}}} || [[진성호(정치인)|진성호]](秦聖昊) || 3,82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32,595 ||<|3> '''투표율'''[br]68.53% || || '''투표 수''' || 159,393 || || '''무효표 수''' || 1,809 || ||<-8> {{{#ffffff '''21대 총선 부산 동래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성현(정치인)|{{{#ffffff '''박성현'''}}}]] || [[김희곤|{{{#ffffff '''김희곤'''}}}]] || || '''득표수[br](득표율)''' || '''67,430 [br] (42.78%)''' || {{{#ffffff '''81,722 [br] (51.85%)'''}}} || '''- 14,292 [br] (▼9.07)''' || '''68.53%''' || || '''수민동''' || 41.70% || {{{#ef426f 52.71%}}} || ▼11.01 || 66.91 || || '''복산동''' || 34.96% || {{{#ef426f '''59.15%'''}}} || ▼'''24.19''' || 68.28 || || '''명륜동''' || 44.71% || {{{#ef426f 50.59%}}} || ▼5.88 || 69.69 || || '''온천1동''' || 40.07% || {{{#ef426f 54.28%}}} || ▼14.21 || 57.71 || || '''온천2동''' || 35.96% || {{{#ef426f 59.07%}}} || ▼23.11 || 70.80 || || '''온천3동''' || 41.75% || {{{#ef426f 52.99%}}} || ▼11.24 || 61.16 || || '''사직1동''' || 43.54% || {{{#ef426f 51.94%}}} || ▼8.40 || 69.69 || || '''사직2동''' || {{{#004ea2 '''48.05%'''}}} || 47.17% || {{{#808080 △'''0.88'''}}} || 71.72 || || '''사직3동''' || 42.32% || {{{#ef426f 52.80%}}} || ▼10.48 || 66.50 || || '''안락1동''' || 39.46% || {{{#ef426f 55.57%}}} || ▼16.11 || 67.25 || || '''안락2동''' || 42.49% || {{{#ef426f 52.45%}}} || ▼9.96 || 68.10 || || '''명장1동''' || 39.39% || {{{#ef426f 55.40%}}} || ▼16.01 || 66.62 || || '''명장2동''' || 39.21% || {{{#ef426f 55.67%}}} || ▼16.56 || 64.09 || || '''후보''' || [[박성현(정치인)|{{{#004ea2 '''박성현'''}}}]] || [[김희곤|{{{#ef426f '''김희곤'''}}}]]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2.94% || {{{#ef426f 43.12%}}} ||<-2> ▼0.18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3.91%}}} || 38.84% ||<-2> {{{#808080 △15.07}}}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63.72%'''}}} || 31.16% ||<-2> {{{#808080 △'''32.56'''}}} || ||<-4> {{{#ffffff '''동래구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박성현(정치인)|{{{#ffffff 박성현}}}]] || [[김희곤|{{{#ffffff '''김희곤'''}}}]] || || '''동래 럭키''' || 23.22% || {{{#ef426f '''72.58%'''}}} || ▼49.36 || || '''안락 SK''' || 36.10% || {{{#ef426f 59.48%}}} || ▼23.38 || || '''온천 반도보라 스카이뷰''' || 40.00% || {{{#ef426f 54.65%}}} || ▼14.65 || || '''사직 KCC스위첸''' || 40.84% || {{{#ef426f 53.72%}}} || ▼12.88 || || '''포레나 동래''' || 44.51% || {{{#ef426f 49.26%}}} || ▼4.75 || || '''사직 삼정그린코아 1차''' || 44.02% || {{{#ef426f 49.12%}}} || ▼5.10 || || '''사직 쌍용예가''' || 46.55% || {{{#ef426f 48.27%}}} || ▼1.72 || || '''명륜 2차 아이파크 1단지''' || 47.44% || {{{#ef426f 47.63%}}} || ▼0.19 || || '''안락 뜨란채 2단지''' || {{{#004ea2,#5dabff '''47.59%'''}}} || 46.58% || △ 1.01 || 더불어민주당 [[박성현(정치인)|박성현]] 후보는 부산대 총학생회장으로 민주화 운동으로 옥고를 치른 경력을 가진 정치인. 미래통합당 김희곤 후보는 이진복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이다. 동래구에서 18-20대 내리 3선을 지낸 같은 당 현역인 [[이진복]] 의원이 불출마하자 그 지역구를 물려받아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다. 대체로 선거구민들의 연령대가 높아 보수세가 강하고 1970년대 이후 지금까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계속 보수정당 후보를 당선시켜 한 번도 진보계 정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없다. 하지만 최근의 [[제19대 대통령 선거|대통령선거]]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진보여당]] 표가 보수야당 표보다 더 많이 나왔고 재개발 완료로 다소 주민 유입도 있어서 변화가 예상된다. 또 김희곤 후보는 현역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라는 후광과 이진복의 조직이 있어 여론조사에서도 앞서갔다. 이를 반영했듯이 비록 김희곤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득표율 9.07%차로 3당 합당 이후 치른 총선에서 민주당계 후보와 보수정당 후보의 격차가 가장 적었으며, 진성호 후보의 표를 합쳐도 11%로 노무현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건 이후 치러진 17대 총선의 득표율 차보다 더 적었다. 추가로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가 사직2동에서 131표 차이로 이김으로써 3당 합당 이후 동래구에서 치른 국회의원 선거 사상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이기는 동이 생겼다. 이밖에 명륜동[* 728표 차]가 상대적으로 접전이 일어난 곳이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래구(선거구)|{{{#ffffff {{{+1 '''동래구'''}}}}}}]][br]{{{#ffffff 동래구 일원[*동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부산광역시의 정치]][[분류:동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