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동동주]]에서 기원한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의 아이템. == 상세 == 온라인 게임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력(판타지 용어)|마력]] 회복약. 같은 가격의 술로 [[막걸리]]가 있지만 이름만 다를 뿐 모든 면에서 이거나 그거나 다를 게 없다. 동동주와 막걸리는 엄연히 다른 술이지만 시중에 동동주라는 이름을 달고 판매되는 막걸리가 한둘이 아니기에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이나, 어쨌든 그 당시 초 ~ 중학생들이 동동주=막걸리라는 의식을 갖게 한 원흉이 되었다. 가격은 20전으로, 한 병에 200잔[* 현실의 막걸리잔 한 사발의 용량은 대개 2~300ml이므로 한 병에 평균 50리터나 한다는 뜻이다.]이며, 한 번 마실 때마다 마력 30 회복. 싸기 때문인지 홍주, 오십세주, 백세주같은 비싼 술과 달리 마실 때마다 체력을 1씩 깎는다. 나름의 노하우로 200잔 중 199잔을 마시고 1잔을 남겨 주모에게 되팔면 5전을 받을 수 있었지만, 패치로 막혔다. 동동주가 막걸리보다 더 많이 쓰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동동주가 더 치기 편하니까.[*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선 MUD의 영향이 남아 있어서 말로 물건을 살 수 있다. 동동주를 파는 NPC 근처에서 '동동주 팔아', '동동주 산다' 등의 말을 하면 된다. 역으로 이를 악용해 자음퀴즈를 한답시고 '''산다'''라박, '''주라'''기공원 등의 사기를 치는 사람이 간혹 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동동주 '''줘'''”. 전사, 궁사, 천인을 제외한 [[도적(바람의 나라)|모]][[주술사(바람의 나라)|든]] [[도사(바람의 나라)|직업군]]이 초반에 가장 많이 쓰는 회복약.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서 가장 싸고 실용적인 마력 회복제이기도 해서 초보 [[주술사(바람의 나라)|주술사]]가 동동주를 잔뜩 들고 다니면서 동동주를 UU연타라든지 ctrl+z로 광속으로 마시면서 하는 사냥을 음주사냥, [[알코올 의존증]] 사냥이라고도 한다. 나중에 [[주술사(바람의 나라)|주술사]]는 공력증강이란 마법을 배워 마력을 회복해 동동주를 조금 줄이게[* 공력증강 연속 실패로 인한 마력 고갈] 되지만 99 때 헬파이어를 배워 모든 마력을 소모하므로 공력증강 필요 마력인 30을 채우기 위해 다시 사게 된다. 몸보신을 위해 체력이 감소하지 않는 n십세주를 마시는 부유층도 종종 보이며, 이십세주부터 홍주[* 홍주는 공력증강의 하위호환으로 마시면 일정 체력을 소모하여 일정 마력을 채워주는 방식이었다.]까지 많지만 오십세주 이상으로 사먹는 수준이면 그건 돈낭비. 어차피 주술사는 공증만 있으면 된다. 이후 기술연마 패치로 마력이 0일 때도 공력증강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공증 이후엔 체력이 일정 %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되면서 평생 술에 찌들어 사는 酒술사는 어느덧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마력 0인 상태에서도 공력증강 사용이 가능하고, 공증 후엔 체력이 일정 %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집중명상으로 상시 마력 회복이 가능해진 뒤로는 더욱 편리해졌다. == 여담 == [[파일:external/orangemushroom.files.wordpress.com/cash-items.png]] [[메이플스토리]]의 2016년 6월 30일~7월 13일에 진행된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20주년 Respect! [[메이플스토리/패러디#s-1.3|콜라보레이션]] 이벤트! 중 레벨 범위의 몬스터를 사냥해 누룩을 모아 동동주'''스'''와 교환하면 경험치와 함께 선물 포인트를 줬는데, 선물 포인트를 모아 캐시 아이템인 용왕의 투구, 현무불괴갑, 용마제구검을 얻을 수 있었다. [[아랫마을]]의 [[곡차]]도 쌀을 발효시켜 만든 차라고 슬쩍 넘어가는 메이플다운 센스. [[분류:바람의 나라(게임)/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