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동굴사자}}}(유라시아동굴사자)[br]Eurasian cave lion, Steppe lion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nthera_leo_spelaea_in_Vienna.jpg|width=100%]]}}} || ||<#f93> [[학명|{{{#000 '''학명'''}}}]] || ''' ''Panthera spelaea'' '''[br]Goldfuss, 1810 || ||<-2><#f96>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Carnivor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Fel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표범속]]^^''Panthera''^^||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동굴사자^^''P. spelaea''^^'''||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gorod.tomsk.ru/PP_11.jpg|width=100%]]}}} || || '''{{{#fff {{{+1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표범속 동물의 일종. == 설명 == 한때는 [[사자]]나 [[호랑이]]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치아 구조, 뇌주머니 등의 차이점이 별개의 종으로 분류할 수 있을 만큼 크며 실제로도 다른 사자들과는 190만년 전 [[플라이스토세]] 즈음에 더 일찍 분기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Panthera spelaea''라는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으며, 자매종인 [[아메리카사자]]도 비슷한 상황이다. [[아시아]]에서 [[유럽]], [[알래스카]]와 그곳에 인접한 [[캐나다]] [[유콘]] 준주에 걸쳐 서식했으며 한반도에도 동굴사자의 뼈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크기는 대략 몸길이 3.2~3.5m, 체중 160~350kg으로 추정되며, 사자와는 다르게 무리를 지어 사는 것이 아니라 적은 수의 단위 혹은 혼자 생활했다고 한다. 주요 먹이는 [[순록]]과 [[메갈로케로스]] 같은 사슴과 [[들소]], [[말(동물)|말]]부터 [[털코뿔소]]나 [[털매머드]]의 새끼도 잡아먹었으며 [[사람]]도 습격했다고 한다. 인류에게 위험한 적이었지만, 그 강함에 경외감을 갖고 숭배 대상으로 여겼던지, 구석기 동굴 유적을 발굴하다 보면 뼈나 상아에 사자 머리의 [[https://jmagazine.joins.com/_data/photo/2016/10/thumb_2949993309_5tEkIHQA_06.jpg|반인반수를 새긴 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멸종 이유는 정확히는 불명이지만 큰 먹잇감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시베리아호랑이]]처럼 더 작은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경쟁자 포식자들에게 밀려나며 동굴사자가 멸종했다고 일부 전문가들이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호랑이 역시 실제로는 큰 사냥감에 의존하고, 동굴사자가 매머드처럼 아주 큰 동물이 아니라 순록이나 말 같은 중대형 동물을 주식으로 한 것을 보면 신빙성이 떨어진다. || [[파일:external/cdn0.vox-cdn.com/813A7082.0.jpg|width=100%]] || 2015년 11월 [[http://techholic.co.kr/archives/44598|시베리아에서 새끼 동굴사자의 미라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황우석]] 박사가 [[http://www.msn.com/ko-kr/news/national/%ED%99%A9%EC%9A%B0%EC%84%9D-%EB%B0%95%EC%82%AC-1%EB%A7%8C%EB%85%84-%EC%A0%84-%EB%A9%B8%EC%A2%85%ED%95%9C-%E2%80%98%EB%8F%99%EA%B5%B4%EC%82%AC%EC%9E%90%E2%80%99-%EB%B3%B5%EC%A0%9C-%EB%82%98%EC%84%A0%EB%8B%A4/ar-BBqoNmn|동굴사자 복원을 시도]] 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2017년 9월에 추가로 1마리가 더 발견되었다. [[http://naver.me/FaUYBwT8|#]] || [[파일:동굴사자 '스파르타'.jpg|width=100%]] || [[파일:동굴사자 '보리스'.jpg|width=100%]] || 2018년 [[https://m.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930601005&cp=nownews|시베리아 영구동토에서 새끼 동굴사자 두 마리의 사체가 발견되었다.]] 보존 상태가 매우 뛰어나 과학자들은 DNA로 복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대중매체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053h.jpg|width=100%]] || 영상물에서는 [[BBC]]의 [[다큐멘터리]]인 [[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처음에 어미 [[매머드]]와 함께 있는 새끼 매머드를 노리는 모습으로 나왔고 나중에는 다른 두 마리가 [[크로마뇽인]]을 잡아먹다가 지나가는 수컷 매머드의 포효에 잠시 물러나는 모습으로 나왔다. [[한반도의 매머드]]에서의 행적은 [[동굴사자(한반도의 매머드)]] 문서 참조.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고생물 다큐멘터리 [[지구 위의 생명]]에서 한 마리가 내빼고 있는 아성체 매머드를 몇 초만에 넘어뜨려 제압하는데, 동굴사자와 체급이 비슷한 현생 사자도 아성체 코끼리를 잡기 위해 여럿이서 오랜 시간 동안 공격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불가능한 묘사라고 볼 수 있다. [[파 크라이 프라이멀]]에서 야생동물의 일종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사항은 [[파 크라이 프라이멀/등장생물]] 항목 참조. 소설 대지의 아이들 시리즈의 주인공 에일라의 토템이 동굴 사자이며 에일라는 어린 새끼 동굴사자를 길들이는데 성공한다. 성체가 된 뒤 에일라를 떠나지만 이후에 만났을 때 에일라를 알아보고 등에 태워주기도 한다. [[분류:표범속]][[분류:인류가 등장한 이후 멸종된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