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굴 이야기]]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동굴 이야기/무기)] [include(틀:동굴 이야기/무기)] [목차] == 개요 == || '''- 슈푸르 -''' || || [[파일:CaveStory_Arms_Spur.png]] || ||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br]레이저가 나간다. || 슈푸르(シュプール, Spur)는 [[동굴 이야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이다. == 획득 == [[../폴라스타|폴라스타]]를 [[../머신건|머신건]]과 [[../스네이크|스네이크]]의 유혹(...)으로부터 지켜낸 뒤, 부스터를 얻어 미미가 마을 상단으로 날아가 첫 번째 동굴의 [[총 장인]]에게 돌아가면 이 무기로 완성시켜준다. == 특징 == 동굴 이야기에서 유일한 충전식 총이다. 발사키를 누르고 있으면 초당 약 100 에너지를 충전한다. 총을 충전한 상태에서 발사키에서 손을 떼면 높은 피해를 주는 길다란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다. 레이저는 화면 내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적을 관통한다. 사정거리는 15타일. ## 피해량 불명, 인터넷 상 자료 불확실, 측정 필요 * 레벨 1 (40 에너지로 다음 레벨 충전) 충전하지 않고 단발식 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폴라스타#특징|폴라스타 레벨 3]]과 비슷하나, 화면 내 탄수 제한이 사라진다. * 레벨 2 (60 에너지로 다음 레벨 충전) 레벨 1부터 여기까지 0.4초를 충전해야 한다. 폴라스타 레벨 1과 같은 굵기의 긴 레이저를 발사한다. * 레벨 3 (200 에너지로 최대 충전) 레벨 1부터 여기까지 1초를 충전해야 한다. 레이저가 폴라스타 레벨 2와 같은 2줄로 늘어나고, 피해량도 늘어난다. * 최대 (에너지 충전 불가능) 레벨 1부터 여기까지 3초를 충전해야 한다. 폴라스타 레벨 3과 같은 굵기의 긴 레이저를 발사한다. 피해량 또한 늘어난다. == 사용 == 나름 머리를 써야 얻을 수 있는 무기답게, 미완성 상태인 [[../폴라스타|폴라스타]]와는 격이 다른 강력한 무기다. 먼저 충전하지 않아도 되는, 강화된 레벨 3 폴라스타를 기본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적이나 보스에게 얼마나 많이 맞든 레벨 다운의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머신건|머신건]]과 [[../스네이크|스네이크]], 그리고 [[../수퍼 미사일|수퍼 미사일]] 모두 후반까지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들이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적에게 피해를 입을수록 레벨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적에게 줄 수 있는 피해량도 줄어드는 근본적인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개인 [[피지컬#e스포츠 용어|피지컬]]이 좋지 않을 시 이 문제는 더 심각한데, 보스전이 맞으면서 싸우는 맞딜 양상으로 흘러가고, 주요 무기가 하나 둘 씩 레벨이 떨어지면서 딜로스가 유의미할 정도로 늘어나기 때문. 슈푸르는 이 레벨 변수를 원천 차단하는 덕분에 [[../블레이드|블레이드]]와 (세부적인 의미는 다르지만) 비슷하게 그 어떤 상황에서도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다. 화면 내 탄수 제한이 사라진 점도 소소하게 편리하다. 체력이 높으면서 멀리 있는 적을 상대할 때 미리미리 탄을 발사해둘 수 있기 때문에 폴라스타와 비교해서 약간의 DPS 상승 효과가 있다. 총 장인이 원래 의도했던 기능인지, [[차지샷|충전식 레이저]]도 추가되었다. 사실 이게 이 무기의 정체성.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발사키로 직접 에너지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최대로 충전해서 발사하는 레이저의 순간 피해량만큼은 게임 내 최고. 보스가 패턴을 모두 쓸 때까지 충전하면서 기회를 보다가, 보스가 무방비 상태일 때 한 방 씩 먹이면 된다. 게다가 레이저가 적을 관통하기도 하고, 적이 지나가는 레이저에 뒤늦게 닿아도 피해를 입기 때문에 기대 피해량도 높다. 특히 성역에서 수 많은 잔챙이들이 몰려올 때 화면을 가로질러 몇 초간 남아있는 레이저는 큰 도움이 된다. 종합하자면 변수를 최소화하면서 적이든 보스든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명실상부 동굴 이야기 최고의 무기 중 하나이다. 직접적인 문제점은 아니지만, [[동굴 이야기/에디션|PC가 아닌 에디션]]으로 동굴 이야기를 즐길 경우 [[컨트롤러]]에 따라 충전하면서 점프하는 조작이 조금 어려울 수 있다. PC에서는 손가락 두 개로 이게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컨트롤러는 기종마다 버튼의 크기와 배치가 다르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 하나로 발사키를 누른 상태에서 점프키를 같이 누르기가 불편할 수 있기 때문. 물리적인 버튼이 없는 에뮬레이터로 게임을 즐길 때 특히 불편한, 게임 외적인 문제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