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동국대학교/WISE캠퍼스)] [목차] [clearfix] == 개요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이전에는 인문대학에 포함되었으나 스마트시티융합대학에 속한 학과[* 스마트시티융합대학에 속해서 인문대학에 포함되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예전에는 국사학과랑 같이 인문대학에 포함되었다.]. 고고미술사학과는 고고학과 미술사학을 접목된 학과이며, 전국에 몇 안 되는 학과이다.[* 고고학과는 전국에 많지만, [[서울대학교]], [[충북대학교]], [[동아대학교]], [[원광대학교]]를 합쳐 5개 밖에 되지 않는다. 미술사학과도 전국에 사학과, 고고학과만큼은 몇 되지 않는다.] == 개설 과목 == * 한국고고학개론 * 한국미술사개론 * 문화유산의 이해 -유적/유물 * 서양미술사 * 중국미술사 * 인도미술사 * 고고학연구법 * 동북아시아의 고고학 * 선사고고학 1,2 * 역사고고학 1,2 * 원사고고학 * 역사고고학세미나 === 이전 개설 과목 === * 박물관학 == 교수 == * [[강현숙]] * [[송은석(교수)|[[송은석]]]] * 한정호 * [[강동석]] * 안재호 명예 교수 == 답사 == 학생들이 답사지를 작성하고, 답사지를 작성한 학생이 답사지에서 발표한다.[* 2박 3일 답사는 24시간 제공이고, 답사지를 작성해도 답사 시간을 준다.] === 2010년대 === [[2019년]] 이후 [[경상남도]]를 갔다. * [[2017년]] 1학기: [[전라남도]] * [[2017년]] 2학기: [[경상북도]] * [[2018년]] 1학기: [[전라북도]] * [[2018년]] 2학기: [[강원도]] === 2020년대 이후 === [[코로나19]] 기간에 가지 않았지만, [[2022년]] 2학기에 [[경상북도]], [[2023년]] 1학기에 [[경상남도]] [[고령]], 2학기에 [[전라남도]]를 갔다. == 진출 분야 == * 국립박물관,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 학예사[* 국립제주박물관 관장,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사] * 문화재연구원[* 주로 많이 진출함. 영남문화재연구원 원장, 문화재연구원 원장, 대한문화재연구원] * 동국대학교박물관 학예사 == 졸업 == * 외국어 * 답사 시간이나 학과 행사를 합해 180시간을 채워야 한다. * 유물 보고서, 학위 논문 중 1개 택함. * 필수 과목을 들어야 한다. == 여담 ==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와 협약을 맺어서 2020년도부터 2024(현재까지) 경주 대릉원 지구인 쪽샘 K지구 일원에서 수업연계로 실습을 진행한다. * [[국립경주박물관]]과 협약을 맺어서 수업에 [[국립경주박물관]] 직원들이 와서 수업[* 3학년 과목으로, 처음에는 박물관 학예사나 관장이 와서 강연하고, 뒤에는 학생들이 앞에서 발표한다. 전에 박물관학이라는 과목이 있으나 폐강되고, 이 수업이 생겨났다.]을 했다. [[분류:동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