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동구(광주광역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동구·남구 을)]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동구(광주광역시)|[[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height=25]]]] '''광주광역시 동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 '''국회의원''' || [[동구·남구 을]] ||__동구 전역__ + 남구 일부 || ||<|2> '''시의원''' || 동구1 ||충장동, 동명동, 계림1동, 계림2동, 산수1동, 산수2동 || || 동구2 ||지산1동, 지산2동, 서남동, 학동, 학운동, 지원1동, 지원2동 || === [[동구의회(광주광역시)|구의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구의회(광주광역시))] [include(틀:광주광역시 동구의회의 원내 구성)]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가 서울 정치, 나아가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린다면 [[광주광역시]] [[동구(광주광역시)|동구]]는 광주 정치, 나아가 '''호남 정치 1번지'''[*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다 통틀어서이다. 참고로 전북 정치 1번지는 [[전주시]], 전남 정치 1번지는 [[목포시]]이다.]로 꼽힌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마찬가지로 광주광역시 및 호남 지역 선거 결과 발표 시에 동구가 제일 먼저 나오는 영향 덕분에 상징성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와서는 [[전라남도청]]의 이전과 인구의 급감 등으로 인해 위상이 옛날에 비하면 많이 약해진 편이다. 역대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을 보면 개그맨 [[심현섭]]의 부친이자 [[전두환]]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의 측근이었던 [[심상우]]가 11대 국회의원을 지내다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때 숨졌고, 이후 12대에서 15대까지 [[김대중]]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꼽혔던 [[신기하]]가 재임하다가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때 사망했다. 이후 [[이영일]][* [[민주정의당]] 출신이었으나 1992년 [[민주자유당]]에서 [[김영삼]]이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데에 불만을 품은 [[이종찬(1936)|이종찬]]이 탈당해서 [[새한국당]]을 창당할 때 같이 나왔다. 이후 1995년 정계에 복귀한 [[김대중]]이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이에 합류하였다.]이 재보궐선거에서 '''무투표 당선'''되어 15대 잔여 임기를 채운 후 16대는 [[김경천(1941)|김경천]], 17대는 [[양형일]], 18대와 19대, 20대는 [[박주선]]이 국회의원으로 재임 중이다. 19대까지는 동구 단독 선거구였으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광주광역시가 선거구가 적정수보다 하나 많다는 지적이 있어서 선거구 조정이 필요했고, 결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는 [[남구(광주광역시)|남구]]에서 동 몇 개를 빌려오면서 '''동구·남구 을''' 선거구로 조정되었고, 또다른 일부 지역은 '''동구·남구 갑'''으로 분리되었다. 정치적인 성향으로는 민주당계 정당의 [[텃밭(정치)|텃밭]] 중 상텃밭인 광주광역시 내에서 가장 보수적이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보수라는 것은 우리나라 정치 구도상의 보수 세력인 보수정당 계열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 지역의 터줏대감 역할을 하는 [[동교동계]]를 말한다.[* [[한나라당]] - [[국민의힘]]으로 이어지는 보수정당들이 약세를 보이는 호남 지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보수정당 - 지역 내 여당 역할을 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매우 강했던 지역으로서 [[민주당계 정당]]의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역 평균 지지도보다 높은 편이었으며, 민주당계 정당이 분열했을 땐 동교동계가 주축이었던 [[새천년민주당]], 동교동계와 안철수의 합작품인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지지율이 광주광역시 내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기존 보수 세력인 [[국민의힘]] 계열 지지율 또한 광주광역시 안에서도 가장 높은 편이었다. 최근 20여년간 치러진 거의 대부분의 선거에서 새누리당 계열 정당들 역시 동구에서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반면 진보정당([[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등등) 및 국민의당을 제외한 제3당([[신민주공화당]], [[통일국민당]], [[국민신당(대한민국)|국민신당]], [[자유민주연합]], [[자유선진당]])은 광주광역시 내 다른 지역에 비해 선거에서 낮은 득표율을 보였다. 민주당계 정당이 [[분당(정치)|분당]]돼 있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의 선거에서는 동교동계 중심의 [[새천년민주당]] 지지율은 지역 평균보다 높았던 반면, 친노 성향의 [[열린우리당]] 지지율은 지역 평균보다 낮았다. 또한 [[참여정부|노무현 정부]] 시절 도청이 이전하면서 상권이 상당한 타격을 받았고, 광주광역시 안에서 고령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탓에 반 노무현 정서가 일정 부분 있어왔다.[* 도청 이전이 결정된 것은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부]]였지만, 이전이 실행된 것이 노무현 정부 때였고, 그 자리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세우면서 역사적 상징성이 있는 구 전남도청을 보존해야 한다는 여론과 정면으로 부딪히게 되어 민심이 더욱 이탈하였다.] 광주광역시 내에서는 가장 보수적이지만 [[조선대학교]]를 끼고 있어 적게는 2%~3%, 많게는 5% 이상 차이가 나는 정도로 광주광역시 평균 민심과 괴리감이 느껴질 만큼은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노무현 정부 초기 [[대북송금 특검]] 사태를 기점으로 친노 세력이 [[열린우리당]]을 창당한 이후, 새천년민주당이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를 일으키면서 전국적으로 거센 역풍을 받았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광역시 동구에서는 열린우리당 양형일 후보가 새천년민주당 김대웅 후보를 9.35%차로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비례대표에서도 열린우리당이 14.34%를 앞선 49.44%를 득표해 1위를 차지했다.[* 다만 광주광역시의 다른 4개구들에서는 열린우리당이 과반을 넘은 거와는 다르다.] 이를 봤을 땐 광주광역시의 전체적인 성향을 따라가는 게 맞으나, 광주광역시 다섯개 구 중 가장 낙후된 탓에 고령 유권자의 비중이 많아서 퍼센트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에서 국민의당이 55.61%, 더불어민주당이 26.74%를 차지해 '''무려 28.87%'''의 격차가 벌어졌는데, 각각 광주광역시 내에서 국민의당 득표율 1위, 더불어민주당 득표율 꼴찌를 차지해 가장 크게 격차가 벌어졌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래 더불어민주당의 단독 질주가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당이 [[민주평화당]]과 [[바른미래당]]으로 갈라지면서는 견제할 대상이 아예 사라진 까닭에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 [[광주광역시장]] 선거에서 [[이용섭]] 후보가 83%를 얻었고, 동구청장 선거에서 [[임택]] 후보가 53%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김성환(1961)|김성환]] [[민주평화당]] 후보[* 당시 현직 구청장이었다. 2016년 국민의당 바람이 불었을 때 국민의당 당적으로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의 [[평판#s-1|평판]]이 괜찮았음에도 여당 바람을 이기지 못하고 13.5%p 차로 패배했다. 2년 뒤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4선 현직 의원이었던 [[민생당]] [[박주선]] 후보가 고작 10%에 턱걸이하는 득표율을 올려 무소속 김성환 전 동구청장의 15%보다도 적게 나왔으며, 현직 의원이었음에도 선거비를 고작 반값밖에 받지 못했다. 반면에 4년 전 39.4%로 고배를 마셨던 [[더불어민주당]] [[이병훈(정치인)|이병훈]] 후보는 72.3%를 받아 성공적으로 박주선 후보에 설욕했으며, 정치 세대 교체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극적으로 단일화 이후, 이곳 동구에서만''' 유일하게 선거 보전 득표율인 15%를 넘어''' 민주화 이후 사상 최초로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보수 정당이 제일 높은 득표율'''과 동시에 광주광역시에서 제일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시 박근혜는 9.83% 얻어 10%도 채 안 되었다. 하지만 그 당시에도 보수정당이 광주광역시에선 제일 높은 득표율이었다.] 대통령 선거 9개월 전, [[학동 붕괴 참사]]가 일어났었는데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결정적인 망언으로 인해 아파트 붕괴 사고가 터진 학동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무려 19.31%'''로 제일 높은 득표를 받아 갱신하였다.[* 특히 현역 구청장이 건물 붕괴 사건 당일 너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무책임한 태도로 공사업체한테 [[책임전가]]를 해버리는 치사한 행위를 하였고, 마찬가지로 이 곳이 [[지역구]]인 현역 [[이병훈(정치인)|이병훈]] 의원도 사고 현장에서 대놓고 웃음 논란을 일으켜 크게 한 몫을 하였다.] 물론 서남동에서도 '''무려 18.63%'''를 받아 매우 선전하였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동구 전체 동별로 봤을 때 '''학동과 서남동 딱 두 곳에서만 80%를 넘기지 못했다'''. 특히 고가 아파트들이 위치한 동네들은 [[문재인 정부]]의 종부세 직격탄을 받았는지 그것도 '''더불어민주당의 심장이라 불리는 광주광역시라고 믿기 어려운 수준으로 국민의힘을 제법 높게 밀어줬다'''. [[무등산 아이파크]]에선 윤석열이 '''무려 28.14%'''로 득표하여 '''30% 가까이''' 득표했다. [[두암타운]]과 [[광주 그랜드센트럴]]에서도 윤석열이 각각 '''23.72%''', '''20.84%'''를 기록하였다.[* 사실 종부세로 민감한 고가 아파트 중 무등산 아이파크야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고, 두암타운과 광주 그랜드센트럴에서 20% 넘게 나온 것도 대단한 성과였다.] == 역대 선거 결과 == ||<-4> [[동구(광주광역시)|[[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height=25]]]] '''역대 동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3> [[동구(광주 선거구)|동구]] || || [[제13대 국회의원|13대]] || [[평화민주당|{{{-2 {{{#000000 평화민주당}}}}}}]] ||<|3> [[신기하]] || {{{-2 재선}}} || || [[제14대 국회의원|14대]] || [[민주당|{{{-2 {{{#ffffff 민주당}}}}}}]] || {{{-2 3선}}} || || [[제15대 국회의원|15대]] ||<|2> [[새정치국민회의|{{{-2 {{{#ffffff 새정치국민회의}}}}}}]] || {{{-2 4선}}}[* 1997.8.6. 사망([[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 || [[1997년 재보궐선거|1997]] || [[이영일]] || {{{-2 3선}}} || || [[제16대 국회의원|16대]] || [[새천년민주당|{{{-2 {{{#ffffff 새천년민주당}}}}}}]] || [[김경천(1941)|김경천]] || {{{-2 초선}}} || || [[제17대 국회의원|17대]] || [[열린우리당|{{{-2 {{{#000000 열린우리당}}}}}}]] || [[양형일]] || {{{-2 초선}}} || || [[제18대 국회의원|18대]] || [[통합민주당|{{{-2 {{{#ffffff 통합민주당}}}}}}]] ||<|2> [[박주선]] || {{{-2 재선}}} || || [[제19대 국회의원|19대]] || [[무소속|{{{-2 {{{#ffffff 무소속}}}}}}]] || {{{-2 3선}}} || || ||<-3> [[동구·남구 을]] || || [[제20대 국회의원|20대]] || [[국민의당(2016년)|{{{-2 {{{#ffffff 국민의당}}}}}}]] || [[박주선]] || {{{-2 4선}}} || || [[제21대 국회의원|21대]] || [[더불어민주당|{{{-2 {{{#ffffff 더불어민주당}}}}}}]] || [[이병훈(정치인)|이병훈]] || {{{-2 초선}}} || ---- {{{#!wiki style="min-width:300px" ||<-5> [[동구(광주광역시)|[[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height=25]]]] '''역대 [[동구청장(광주)|{{{#000000,#dddddd 동구청장}}}]]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 [[민주당(1991년)|{{{#ffffff {{{-1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ffffff {{{-1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ffffff {{{-1 새천년민주당}}}}}}]] || [[민주당(2005년)|{{{#ffffff {{{-1 민주당}}}}}}]] || [[민주당(2008년)|{{{#ffffff {{{-1 민주당}}}}}}]] || ||<-2> [[박종철(1935)|박종철]] ||<-3> [[유태명]][* 2012.9.20. 구청장직 사퇴(선거법 위반 혐의로 구속).] || || [[2012년 재보궐선거|{{{#ffffff '''2012''' {{{-2 재보궐}}}}}}]]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2016년 재보궐선거|{{{#ffffff '''2016''' {{{-2 재보궐}}}}}}]]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민주통합당|{{{#3AB34A {{{-1 민주통합당}}}}}}]] || [[새정치민주연합|{{{#ffffff {{{-1 새정치민주연합}}}}}}]] || [[국민의당(2016년)|{{{#ffffff {{{-1 국민의당}}}}}}]] ||<-2>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2> [[노희용]][* 2015.11.27. 구청장직 상실(선거법 위반).] || [[김성환(1961)|김성환]] ||<-2> [[임택]]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박종철(1935)|박종철]] 81.46%'''[br]2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이광현 11.28%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박종철(1935)|박종철]] 100.00%[*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유태명]] 57.45%'''[br]2위: [include(틀:무소속)] 전영복 42.54%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민주당(2005년))] [[유태명]] 53.49%'''[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임택]] 29.72%[br]3위: [include(틀:무소속)] [[양회창]] 16.78%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 [[유태명]] 51.00%'''[br]2위: [include(틀:국민참여당)] [[임택]] 33.27%[br]3위: [include(틀:무소속)] 임홍채 15.71% || ||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2012년]] ||'''1위: [include(틀:민주통합당)] [[노희용]] 61.01%'''[br]2위: [include(틀:무소속)] [[양혜령]] 33.29%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노희용]] 71.19%'''[br]2위: [include(틀:무소속)] 오형근 17.06%[br]3위: [include(틀:통합진보당)] 김미화 11.73% || || [[2016년 재보궐선거|2016년]] ||'''1위: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김성환(1961)|김성환]] 52.29%'''[br]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홍진태 26.01%[br]3위: [include(틀:무소속)] [[양혜령]] 21.68%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임택]] 53.92%'''[br]2위: [include(틀:민주평화당)] [[김성환(1961)|김성환]] 40.40%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임택]] 80.39%'''[br]2위: [include(틀:국민의힘)] [[양혜령]] 19.60% ||}}}}}}}}} ||}}} === 지방선거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구 CI.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광현|{{{#373a3c,#dddddd 이광현}}}]](李侊炫) || 7,682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1.28% || 낙선 || ||<|2> {{{#FFFFFF {{{+5 '''2'''}}}}}} || '''[[박종철(1935)|{{{#373a3c,#dddddd 박종철}}}]](朴種哲)''' || '''55,468'''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81.46%''' || '''당선''' || ||<|2> {{{#FFFFFF {{{+5 '''3'''}}}}}} || [[위인백|{{{#373a3c,#dddddd 위인백}}}]](位人百) || 4,93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7.2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6,854 ||<|3> '''투표율'''[br]64.89% || || '''투표 수''' || 69,343 || || '''무효표 수''' || 1,254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구 CI.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박종철(1935)|{{{#373a3c,#dddddd 박종철}}}]](朴種哲)''' || '''44,654''' || '''1위'''[*주의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0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96,636 ||<|3> '''투표율'''[br]49.01% || || '''투표 수''' || 47,362 || || '''무효표 수''' || 2,708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유태명|{{{#373a3c,#dddddd 유태명}}}]](劉泰明)''' || '''24,020'''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7.45%''' || '''당선''' || ||<|2> {{{#FFFFFF {{{+5 '''3'''}}}}}} || [[전영복|{{{#373a3c,#dddddd 전영복}}}]](全英福) || 17,783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2.5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9,770 ||<|3> '''투표율'''[br]47.81% || || '''투표 수''' || 42,923 || || '''무효표 수''' || 1,12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임택|{{{#373a3c,#dddddd 임택}}}]](林澤) || 12,635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9.72% || 낙선 || ||<|2> {{{#FFFFFF {{{+5 '''3'''}}}}}} || '''[[유태명|{{{#373a3c,#dddddd 유태명}}}]](劉泰明)''' || '''22,738''' || '''1위''' ||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53.49%''' || '''당선''' || ||<|2> {{{#FFFFFF {{{+5 '''6'''}}}}}} || [[양회창|{{{#373a3c,#dddddd 양회창}}}]](梁會昌) || 7,13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7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0,767 ||<|3> '''투표율'''[br]47.63% || || '''투표 수''' || 43,239 || || '''무효표 수''' || 731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유태명|{{{#373a3c,#dddddd 유태명}}}]](劉泰明)''' || '''22,015''' || '''1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51.00%''' || '''당선''' || ||<|2> {{{#000000 {{{+5 '''7'''}}}}}} || [[임택|{{{#373a3c,#dddddd 임택}}}]](林澤) || 14,364 || 2위 || || [include(틀:국민참여당)] || 33.27% || 낙선 || ||<|2> {{{#FFFFFF {{{+5 '''8'''}}}}}} || [[임홍채|{{{#373a3c,#dddddd 임홍채}}}]](林洪債) || 6,78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7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4,206 ||<|3> '''투표율'''[br]52.27% || || '''투표 수''' || 44,020 || || '''무효표 수''' || 857 || ==== [[201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3AB34A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정원|{{{#373a3c,#dddddd 최정원}}}]](崔廷源) || 3,801 || 3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68% || 낙선 || ||<|2> {{{#3AB34A {{{+5 '''2'''}}}}}} || '''[[노희용|{{{#373a3c,#dddddd 노희용}}}]](盧熙鏞)''' || '''40,808'''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61.01%''' || '''당선''' || ||<|2> {{{#FFFFFF {{{+5 '''4'''}}}}}} || [[양혜령|{{{#373a3c,#dddddd 양혜령}}}]](梁惠鈴) || 22,27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3.2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8,756 ||<|3> '''투표율'''[br]76.74% || || '''투표 수''' || 68,107 || || '''무효표 수''' || 1,227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3> [[동구(광주광역시)|{{{#ffffff {{{+1 '''동구'''}}}}}}]][br]{{{#ffffff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윤장현|{{{#ffffff '''윤장현'''}}}]] || [[강운태|{{{#ffffff '''강운태'''}}}]] || || '''득표수''' ||<:> '''28,605''' ||<:> 16,551 || || '''득표율''' ||<:> '''57.25%''' ||<:> 33.12%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86,465 || || '''투표 수''' || 51,253 || || '''무효표 수''' || 1,288 || || '''투표율''' || 59.27%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노희용|{{{#373a3c,#dddddd 노희용}}}]](盧熙鏞)''' || '''34,647''' || '''1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71.19%''' || '''당선''' || ||<|2> {{{#ffffff {{{+5 '''3'''}}}}}} || [[김미화|{{{#373a3c,#dddddd 김미화}}}]](金美花) || 5,711 || 3위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11.73%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조영복}}}(調英福)-- ||<-2><|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2> {{{#ffffff {{{+5 '''5'''}}}}}} || [[오형근|{{{#373a3c,#dddddd 오형근}}}]](吳形勤) || 8,306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7.0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6,465 ||<|3> '''투표율'''[br]59.27% || || '''투표 수''' || 51,247 || || '''무효표 수''' || 2,583 || ==== [[2016년 재보궐선거]]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홍진태|{{{#373a3c,#dddddd 홍진태}}}]](洪鎭台) || 13,526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6.01% || 낙선 || ||<|2> {{{#FFFFFF {{{+5 '''3'''}}}}}} || '''[[김성환(1961)|{{{#373a3c,#dddddd 김성환}}}]](金成宦)''' || '''27,191''' || '''1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52.29%''' || '''당선''' || ||<|2> {{{#FFFFFF {{{+5 '''5'''}}}}}} || [[양혜령|{{{#373a3c,#dddddd 양혜령}}}]](梁惠鈴) || 11,27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4,088 ||<|3> '''투표율'''[br]62.72% || || '''투표 수''' || 52,746 || || '''무효표 수''' || 755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4> [[동구(광주광역시)|{{{#ffffff {{{+1 '''동구'''}}}}}}]][br]{{{#ffffff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이용섭|{{{#ffffff '''이용섭'''}}}]] || [[전덕영|{{{#ffffff '''전덕영'''}}}]] || [[나경채|{{{#000000 '''나경채'''}}}]] || || '''득표수''' || '''42,139''' || 3,489 || 2,688 || || '''득표율''' || '''83.58%''' || 6.92% || 5.33% || || '''순위''' || '''1위''' || 2위 || 3위 || ||<|5> '''계''' || ||<-2> '''선거인 수''' || 82,265 || ||<-2> '''투표 수''' || 51,550 || ||<-2> '''무효표 수''' || 1,133 || ||<-2> '''투표율''' || 62.66%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택|{{{#373a3c,#dddddd 임택}}}]](林澤)''' || '''27,28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3.92%''' || '''당선''' || ||<|2> {{{#FFFFFF {{{+5 '''3'''}}}}}} || [[김영우(1968)|{{{#373a3c,#dddddd 김영우}}}]](金榮宇) || 2,869 || 3위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5.67% || 낙선 || ||<|2> {{{#FFFFFF {{{+5 '''4'''}}}}}} || [[김성환(1961)|{{{#373a3c,#dddddd 김성환}}}]](金成宦) || 20,447 || 2위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40.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82,265 ||<|3> '''투표율'''[br]62.66% || || '''투표 수''' || 51,552 || || '''무효표 수''' || 953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광주광역시장 ===== ||<-3> [[동구(광주광역시)|{{{#ffffff {{{+1 '''동구'''}}}}}}]][br]{{{#ffffff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강기정|{{{#ffffff '''강기정'''}}}]] || [[주기환|{{{#ffffff '''주기환'''}}}]] || || '''득표수''' || '''27,775''' || 6,994 || || '''득표율''' || '''73.60%''' || 18.53%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90,255 || || '''투표 수''' || 38,373 || || '''무효표 수''' || 640 || || '''투표율''' || 42.51% || ---- ||<:><-5> {{{#FFFFFF '''8회 지선 동구 개표 결과'''}}} || ||<:><-5> {{{#FFFFFF '''광주광역시장 선거'''}}}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강기정|{{{#FFFFFF '''강기정'''}}}]] ||<:> [[주기환|{{{#FFFFFF '''주기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27,775[br](73.60%)'''}}} ||<:> '''6,994[br](18.53%)''' ||<:> '''+20,781[br](△55.07)''' ||<:> '''38,373[br](42.51%)''' || || '''충장동''' ||<:> {{{#004ea2 73.45%}}} ||<:> 19.69% ||<:> △53.76 ||<:> {{{#696969 '''27.31%'''}}} || || '''동명동''' ||<:> {{{#004ea2 74.47%}}} ||<:> 17.40% ||<:> △57.07 ||<:> 36.04% || || '''계림1동''' ||<:> {{{#004ea2 71.56%}}} ||<:> 20.72% ||<:> △50.84 ||<:> 35.32% || || '''계림2동''' ||<:> {{{#004ea2 72.99%}}} ||<:> 19.71% ||<:> △53.28 ||<:> 45.91% || || '''산수1동''' ||<:> {{{#004ea2 75.79%}}} ||<:> 16.24% ||<:> △59.55 ||<:> 36.21% || || '''산수2동''' ||<:> {{{#004ea2 76.28%}}} ||<:> 16.47% ||<:> △59.81 ||<:> 39.86% || || '''지산1동''' ||<:> {{{#004ea2 '''78.35%'''}}} ||<:> 16.61% ||<:> △61.74 ||<:> 34.75% || || '''지산2동''' ||<:> {{{#004ea2 74.55%}}} ||<:> 18.81% ||<:> △55.74 ||<:> 37.08% || || '''서남동''' ||<:> {{{#004ea2 74.09%}}} ||<:> 16.96% ||<:> △57.13 ||<:> 32.50% || || '''학동''' ||<:> {{{#004ea2 71.09%}}} ||<:> '''21.37%''' ||<:> {{{#696969 '''△49.72'''}}} ||<:> 44.89% || || '''학운동''' ||<:> {{{#004ea2 72.94%}}} ||<:> 19.85% ||<:> △53.09 ||<:> '''46.10%''' || || '''지원1동''' ||<:> {{{#004ea2 76.62%}}} ||<:> 14.86% ||<:> '''△61.76''' ||<:> 40.10% || || '''지원2동''' ||<:> {{{#004ea2 74.81%}}} ||<:> 16.82% ||<:> △57.99 ||<:> 36.22% || || '''후보''' ||<:> [[강기정|{{{#004ea2 '''강기정'''}}}]] ||<:> [[주기환|{{{#e61e2b '''주기환'''}}}]]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71.32%}}} ||<:> 24.47% ||<:> △46.85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70.41%}}} ||<:> 19.83% ||<:> △50.58 ||<:>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강기정|{{{#ffffff '''강기정'''}}}]] || [[주기환|{{{#ffffff '''주기환'''}}}]]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동구·남구 을|{{{#004ea2 '''동구·남구 을'''[* 동구 일원,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 지역구 국회의원 : [[이병훈(정치인)|이병훈]] (더불어민주당, 초선).]}}}]] || {{{#ffffff '''74.91%'''}}} || 17.42% || △57.49 || 41.33% || ===== 동구청장 ===== ||<-4> [[동구(광주광역시)|{{{+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광주)|{{{#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택|{{{#373a3c,#dddddd 임택}}}]](林澤)''' || '''30,297'''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80.39%''' || '''당선''' || ||<|2> {{{#FFFFFF {{{+5 '''2'''}}}}}} || [[양혜령|{{{#373a3c,#dddddd 양혜령}}}]](梁惠鈴) || 7,386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19.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90,255 ||<|3> '''투표율'''[br]42.51% || || '''투표 수''' || 38,372 || || '''무효표 수''' || 689 || ---- {{{#!folding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보기] ||<:><-5> {{{#ffffff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구청장 동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임택|{{{#ffffff '''임택'''}}}]] ||<:> [[양혜령|{{{#ffffff '''양혜령'''}}}]]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0,297[br](80.39%)'''}}} ||<:> '''7,386[br](19.60%)''' ||<:> '''+22,911[br](△60.79)''' ||<:> '''90,255[br](42.51%)''' || || '''충장동''' ||<:> {{{#004ea2 79.78%}}} ||<:> 20.21% ||<:> △59.57 ||<:> {{{#696969 '''27.31%'''}}} || || '''동명동''' ||<:> {{{#004ea2 80.43%}}} ||<:> 19.56% ||<:> △60.87 ||<:> 36.04% || || '''계림1동''' ||<:> {{{#004ea2 75.59%}}} ||<:> '''24.40%''' ||<:> {{{#696969 '''△51.19'''}}} ||<:> 35.32% || || '''계림2동''' ||<:> {{{#004ea2 79.54%}}} ||<:> 20.45% ||<:> △59.09 ||<:> 45.91% || || '''산수1동''' ||<:> {{{#004ea2 82.04%}}} ||<:> 17.95% ||<:> △64.09 ||<:> 36.21% || || '''산수2동''' ||<:> {{{#004ea2 81.01%}}} ||<:> 18.98% ||<:> △62.03 ||<:> 39.86% || || '''지산1동''' ||<:> {{{#004ea2 '''84.40%'''}}} ||<:> 15.59% ||<:> '''△68.81''' ||<:> 34.75% || || '''지산2동''' ||<:> {{{#004ea2 80.27%}}} ||<:> 19.72% ||<:> △60.55 ||<:> 37.08% || || '''서남동''' ||<:> {{{#004ea2 79.59%}}} ||<:> 20.40% ||<:> △59.19 ||<:> 32.50% || || '''학동''' ||<:> {{{#004ea2 77.30%}}} ||<:> 22.69% ||<:> △54.61 ||<:> 44.89% || || '''학운동''' ||<:> {{{#004ea2 79.29%}}} ||<:> 20.70% ||<:> △58.59 ||<:> '''46.10%''' || || '''지원1동''' ||<:> {{{#004ea2 83.93%}}} ||<:> 16.06% ||<:> △67.87 ||<:> 40.10% || || '''지원2동''' ||<:> {{{#004ea2 82.77%}}} ||<:> 17.22% ||<:> △65.55 ||<:> 36.22% || || '''후보''' ||<:> [[임택|{{{#004ea2 '''임택'''}}}]] ||<:> [[양혜령|{{{#e61e2b '''양혜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73.18%}}} ||<:> 26.81% ||<:> △46.37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81.15%}}} ||<:> 18.84% ||<:> △62.31 ||<:> ||}}} ---- 국민의힘 계열 보수 정당에서 동구청장에 후보를 낸 것은 지자체 선거가 처음 실시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 차례 뿐이었다. 이번이 '''27년 만에''' 처음 이뤄진 후보 공천이다. 비록 낙선했지만 국민의힘 양혜령 후보는 '''20%에 육박한 19.60%'''를 득표하며 상당히 선전한 동시에 '''총 3곳에서 출마한 국민의힘 후보 중 제일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여 차기 선거에서도 공천을 받아 출마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동구에 치과를 개원하여 활동하고 있고 광주광역시의원을 역임한 적도 있는 등 지역에 기반이 어느 정도 있었기에 20% 근방의 득표율이 가능했을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임택 후보는 '''80.39%'''의 높은 득표율로 무난하게 재선에 성공했지만 결국 기대 이상 수치는 이루어내지 못했다. === 대통령 선거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동구(광주광역시)|{{{#3AB34A {{{+1 '''동구'''}}}}}}]][br]{{{#3AB34A 광주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6,693 || '''61,023''' || || '''득표율''' || 9.83% || '''89.71%'''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88,752 || || '''투표 수''' || 68,402 || || '''무효표 수''' || 383 || || '''투표율''' || 77.07% || ---- ||<:><-5> {{{#3AB34A '''18대 대선 광주 동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6,693 [br] (9.83%)''' ||<:> {{{#3AB34A '''61,023 [br] (89.71%)'''}}} ||<:> '''-54,330 [br] (▼79.88)''' ||<:> '''77.07%''' || || '''충장동''' ||<:> 11.02% ||<:> {{{#ffd400 88.77%}}} ||<:> {{{#808080 ▼77.75}}} ||<:> 68.46 || || '''동명동''' ||<:> 10.37% ||<:> {{{#ffd400 89.21%}}} ||<:> {{{#808080 ▼78.84}}} ||<:> 74.06 || || '''계림1동''' ||<:> 9.25% ||<:> {{{#ffd400 90.44%}}} ||<:> {{{#808080 ▼81.19}}} ||<:> 70.24 || || '''계림2동''' ||<:> 8.56% ||<:> {{{#ffd400 91.07%}}} ||<:> {{{#808080 ▼82.51}}} ||<:> 79.38 || || '''산수1동''' ||<:> 7.70% ||<:> {{{#ffd400 91.87%}}} ||<:> {{{#808080 ▼84.17}}} ||<:> 74.41 || || '''산수2동''' ||<:> 9.46% ||<:> {{{#ffd400 90.10%}}} ||<:> {{{#808080 ▼80.64}}} ||<:> 80.76 || || '''지산1동''' ||<:> 8.24% ||<:> {{{#ffd400 91.55%}}} ||<:> {{{#808080 ▼83.31}}} ||<:> 76.37 || || '''지산2동''' ||<:> 10.67% ||<:> {{{#ffd400 88.91%}}} ||<:> {{{#808080 ▼78.24}}} ||<:> 77.37 || || '''서남동''' ||<:> 9.71% ||<:> {{{#ffd400 90.08%}}} ||<:> {{{#808080 ▼80.37}}} ||<:> 66.57 || || '''학동''' ||<:> 8.32% ||<:> {{{#ffd400 91.18%}}} ||<:> {{{#808080 ▼82.86}}} ||<:> 77.23 || || '''학운동''' ||<:> '''13.97%''' ||<:> {{{#ffd400 85.58%}}} ||<:> {{{#808080 ▼71.61}}} ||<:> 81.74 || || '''지원1동''' ||<:> 7.67% ||<:> {{{#ffd400 '''91.89%'''}}} ||<:> {{{#808080 ▼'''84.22'''}}} ||<:> 79.40 || || '''지원2동''' ||<:> 9.01% ||<:> {{{#ffd400 90.08%}}} ||<:> {{{#808080 ▼81.07}}} ||<:> 76.96 || || '''후보''' ||<:> [[박근혜|{{{#c9252b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14.23% ||<:> {{{#ffd400 '''85.77%'''}}} ||<:> {{{#808080 ▼'''71.54'''}}} ||<:> || || '''국내부재자투표''' ||<:> '''14.82%''' ||<:> {{{#ffd400 84.29%}}} ||<:> {{{#808080 ▼69.47}}} ||<:> ||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동구(광주광역시)|{{{#ffffff {{{+1 '''동구'''}}}}}}]][br]{{{#ffffff 광주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37,053''' || 1,308 || 23,438 || 1,372 || 2,665 || || '''득표율''' || '''56.05%''' || 1.97% || 35.45% || 2.07% || 4.03% || || '''순위''' || '''1위''' || 5위 || 2위 || 4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83,378 || ||<-3> '''투표 수''' ||<-2> 66,287 || ||<-3> '''무효표 수''' ||<-2> 184 || ||<-3> '''투표율''' ||<-2> 79.50% || ---- ||<:><-8> {{{#FFFFFF '''19대 대선 광주 동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37,053 [br] (56.05%)'''}}} ||<:> '''1,308 [br] (1.97%)''' ||<:> '''23,438 [br] (35.45%)''' ||<:> '''1,372 [br] (2.07%)''' ||<:> '''2,665 [br] (4.03%)''' ||<:> '''+13,615 [br] (△20.64)''' ||<:> '''79.50%''' || || '''충장동''' ||<:> {{{#004ea2 49.86%}}} ||<:> 2.24% ||<:> 40.83% ||<:> 2.24% ||<:> '''4.63%''' ||<:> △9.03 ||<:> 67.82 || || '''동명동''' ||<:> {{{#004ea2 55.81%}}} ||<:> 2.06% ||<:> 35.42% ||<:> 2.16% ||<:> 4.28% ||<:> △20.39 ||<:> 75.79 || || '''계림1동''' ||<:> {{{#004ea2 51.06%}}} ||<:> 2.37% ||<:> '''41.29%''' ||<:> 1.36% ||<:> 3.43% ||<:> △9.77 ||<:> 68.66 || || '''계림2동''' ||<:> {{{#004ea2 54.69%}}} ||<:> 2.01% ||<:> 38.15% ||<:> 1.69% ||<:> 3.06% ||<:>△16.54 ||<:> 78.70 || || '''산수1동''' ||<:> {{{#004ea2 56.60%}}} ||<:> 1.15% ||<:> 37.12% ||<:> 1.47% ||<:> 3.36% ||<:> △19.48 ||<:> 72.61 || || '''산수2동''' ||<:> {{{#004ea2 54.29%}}} ||<:> 2.27% ||<:> 37.93% ||<:> 1.80% ||<:> 3.40% ||<:> △16.36 ||<:> 79.02 || || '''지산1동''' ||<:> {{{#004ea2 56.54%}}} ||<:> 1.58% ||<:> 35.05% ||<:> '''2.44%''' ||<:> 3.72% ||<:> △21.49 ||<:> 75.70 || || '''지산2동''' ||<:> {{{#004ea2 54.46%}}} ||<:> 2.38% ||<:> 36.47% ||<:> 2.03% ||<:> 4.29% ||<:> △17.99 ||<:> 77.10 || || '''서남동''' ||<:> {{{#004ea2 55.91%}}} ||<:> 2.11% ||<:> 34.73% ||<:> 2.16% ||<:> 4.51% ||<:> △21.18 ||<:> 68.80 || || '''학동''' ||<:> {{{#004ea2 56.08%}}} ||<:> 1.91% ||<:> 35.65% ||<:> 1.94% ||<:> 4.10% ||<:> △20.43 ||<:> 79.80 || || '''학운동''' ||<:> {{{#004ea2 52.70%}}} ||<:> '''2.50%''' ||<:> 38.80% ||<:> 2.25% ||<:> 3.46% ||<:> △13.90 ||<:> 81.36 || || '''지원1동''' ||<:> {{{#004ea2 56.18%}}} ||<:> 1.79% ||<:> 35.85% ||<:> 1.84% ||<:> 3.94% ||<:> △20.33 ||<:> 79.44 || || '''지원2동''' ||<:> {{{#004ea2 '''59.57%'''}}} ||<:> 1.69% ||<:> 32.40% ||<:> 2.01% ||<:> 3.58% ||<:> △27.17 ||<:> 76.55 || || '''후보''' ||<:> [[문재인|{{{#004ea2 '''문재인'''}}}]] ||<:> [[홍준표|{{{#C9151E '''홍준표'''}}}]] ||<:> [[안철수|{{{#006241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ED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 및 선상투표''' ||<:> {{{#004ea2 50.55%}}} ||<:> '''2.75%''' ||<:> '''39.01%''' ||<:> 1.65% ||<:> 3.30% ||<:> △11.5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1.58%}}} ||<:> 1.65% ||<:> 28.04% ||<:> '''2.82%''' ||<:> 5.53% ||<:> △33.54 ||<:> || || '''재외투표''' ||<:> {{{#004ea2 '''69.57%'''}}} ||<:> 2.61% ||<:> 16.23% ||<:> 1.74% ||<:> '''9.57%''' ||<:> △'''53.34''' ||<:>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동구(광주광역시)|{{{#ffffff {{{+1 '''동구'''}}}}}}]][br]{{{#ffffff 광주 동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60,669''' || 11,036 || || '''득표율''' || '''82.69%''' || 15.04%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90,678 || || '''투표 수''' || 73,877 || || '''무효표 수''' || 514 || || '''투표율''' || 81.47% || ---- ||<-4> {{{#ffffff '''제20대 대통령 선거 광주 동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2> '''격차'''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득표수[br](득표율)'''}}} || {{{#fff '''60,669[br](82.69%)'''}}} || '''11,036[br](15.04%)''' || '''49,633[br](▲ 67.6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충장동'''}}} || {{{#004ea2 80.85%}}} || 15.85% || ▲ 65.0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동명동'''}}} || {{{#004ea2 81.04%}}} || 16.32% || ▲ 64.72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계림1동'''}}} || {{{#004ea2 82.33%}}} || 15.65% || ▲ 66.6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계림2동'''}}} || {{{#004ea2 82.98%}}} || 14.81% || ▲ 68.17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산수1동'''}}} || {{{#004ea2 85.58%}}} || 11.97% || ▲ 73.61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산수2동'''}}} || {{{#004ea2 84.73%}}} || 13.45% || ▲ 71.2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지산1동'''}}} || {{{#004ea2 80.38%}}} || 16.53% || ▲ 63.8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지산2동'''}}} || {{{#004ea2 83.01%}}} || 14.65% || ▲ 68.36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서남동'''}}} || {{{#004ea2 78.93%}}} || 18.63% || ▲ 60.3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학동'''}}} || {{{#004ea2 78.75%}}} || '''19.31%''' || ▲ 59.44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학운동'''}}} || {{{#004ea2 81.09%}}} || 16.99% || ▲ 64.1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지원1동'''}}} || {{{#004ea2 '''85.97%'''}}} || 11.82% || ▲ 74.1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지원2동'''}}} || {{{#004ea2 85.74%}}} || 12.31% || ▲ 73.43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거소·선상투표'''}}} || {{{#004ea2 79.73%}}} || 15.32% || ▲ 64.41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관외사전투표'''}}} || {{{#004ea2 '''81.98%'''}}} || '''15.55%''' || ▲ 66.4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81.53%}}} || 14.41% || ▲ 67.12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 '''국회의원[br]선거구별'''}}}}}}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fff '''격차'''}}} || || [[동구·남구 갑|{{{#004ea2 '''동구·남구 갑'''[* 남구 진월동, 노대동, 덕남동, 송암동, 대촌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봉선1동, 봉선2동, 주월1동, 주월2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초선).]}}}]] || {{{#fff '''84.24%'''}}} || 13.64% || ▲70.60 || || [[동구·남구 을|{{{#004ea2 '''동구·남구 을'''[* 동구 일원, 남구 양림동, 사직동, 방림1동, 방림2동, 백운1동, 백운2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이병훈(정치인)|이병훈]] (더불어민주당, 초선).]}}}]] || {{{#fff '''83.94%'''}}} || 13.87% || ▲ 70.07 ||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가 일어난 곳인 학동에서 [[윤석열]]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 국회의원 선거 === ==== [[동구(광주 선거구)|동구]] (13대~19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구(광주 선거구))] ==== [[동구·남구 을|동구·남구 을]] (20대~현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구·남구 을)] ||<-8> {{{#FFFFFF '''21대 총선 동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민생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병훈(정치인)|{{{#FFFFFF '''이병훈'''}}}]] || [[박주선|{{{#FFFFFF '''박주선'''}}}]] || [[김성환(1961)|{{{#FFFFFF '''김성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42,465 [br] (69.63%)'''}}} || '''6,197 [br] (10.16%)''' || '''10,752 [br] (17.63%)''' || '''+ 31,713 [br] (△52.00)''' || '''61,992 [br] (68.69%)''' || || '''충장동''' || {{{#004EA2 69.53%}}} || 11.86% || 14.50% || △55.02 || {{{#696969 54.66%}}} || || '''동명동''' || {{{#004EA2 64.01%}}} || 10.15% || 22.55% || △41.46 || 65.85% || || '''계림1동''' || {{{#004EA2 73.12%}}} || 10.40% || 14.55% || △58.57 || 56.83% || || '''계림2동''' || {{{#004EA2 69.57%}}} || 9.57% || 18.76% || △50.80 || '''72.14%''' || || '''산수1동''' || {{{#004EA2 71.39%}}} || 9.52% || 16.88% || △54.52 || 59.98% || || '''산수2동''' || {{{#004EA2 67.12%}}} || {{{#696969 9.02%}}} || 21.64% || △45.48 || 66.83% || || '''지산1동''' || {{{#004EA2 66.71%}}} || 9.82% || 20.79% || △45.92 || 62.61% || || '''지산2동''' || {{{#004EA2 65.61%}}} || 11.09% || 20.17% || △45.44 || 62.64% || || '''서남동''' || {{{#004EA2 67.92%}}} || 9.29% || 20.29% || △47.63 || 57.29% || || '''학동''' || {{{#004EA2 67.42%}}} || '''12.93%''' || 17.82% || △49.60 || 66.79% || || '''학·운동''' || {{{#4169E1 63.00%}}} || 11.99% || '''23.09%''' || {{{#696969 △39.91}}} || 68.73% || || '''지원1동''' || {{{#004EA2 68.17%}}} || 10.07% || 19.34% || △48.83 || 67.31% || || '''지원2동''' || {{{#004EA2 70.85%}}} || 10.04% || 17.19% || △53.66 || 63.67% || || '''후보''' || [[이병훈(정치인)|{{{#004EA2 '''이병훈'''}}}]] || [[박주선|{{{#0BA95F '''박주선'''}}}]] || [[김성환(1961)|{{{#808080 '''김성환'''}}}]]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62.18%}}} || 18.48% || 13.86% || △43.70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77.40%}}} || 8.51% || 10.20% || △67.20 || || || '''재외투표''' || {{{#004EA2 86.20%}}} || 1.72% || 10.34% || △75.86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2,483 [br] (4.14%)''' || {{{#FFFFFF '''36,035 [br] (60.09%)'''}}} || '''5,262 [br] (8.77%)''' || '''3,432 [br] (5.72%)''' || '''4,961 [br] (8.27%)''' || '''+ 30,773 [br] (△51.32)''' || '''61,994 [br] (68.66%)''' || || '''충장동''' || 6.66% || {{{#006CB7 60.75%}}} || 7.99% || 5.14% || 7.21% || △52.76 || {{{#696969 54.66%}}} || || '''동명동''' || 3.77% || {{{#4169E1 56.11%}}} || 9.62% || 5.46% || 9.32% || {{{#696969 △46.49}}} || 65.85% || || '''계림1동''' || 3.63% || {{{#006CB7 '''63.81%'''}}} || 7.30% || 5.10% || 5.66% || '''△56.36''' || 56.85% || || '''계림2동''' || 3.94% || {{{#006CB7 61.83%}}} || 8.53% || 2.56% || 8.12% || △53.30 || '''72.15%''' || || '''산수1동''' || 2.83% || {{{#006CB7 61.27%}}} || 9.56% || 4.99% || 7.46% || △51.71 || 60.00% || || '''산수2동''' || 4.36% || {{{#006CB7 62.08%}}} || 8.46% || 5.85% || 7.18% || △53.62 || 66.86% || || '''지산1동''' || 4.03% || {{{#006CB7 61.27%}}} || 8.26% || 5.78% || 7.72% || △53.01 || 62.61% || || '''지산2동''' || 4.86% || {{{#006CB7 59.41%}}} || 8.77% || 6.46% || 7.04% || △50.63 || 62.64% || || '''서남동''' || 4.37% || {{{#006CB7 61.18%}}} || 8.93% || 5.42% || 7.27% || △52.25 || 57.29% || || '''학동''' || 4.86% || {{{#006CB7 59.08%}}} || 8.40% || 6.97% || 8.64% || △50.44 || 66.79% || || '''학운동''' || 6.40% || {{{#006CB7 57.39%}}} || 8.15% || 7.51% || 9.11% || △48.28 || 68.73% || || '''지원1동''' || 3.53% || {{{#006cb7 61.01%}}} || 8.49% || 4.98% || 8.26% || △52.52 || 67.31% || || '''지원2동''' || 3.21% || {{{#006CB7 62.46%}}} || 8.95% || 5.31% || 7.55% || △53.51 || 63.65%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5.57% || {{{#006CB7 49.35%}}} || 8.15% || 6.86% || 8.58% || △38.20 || || || '''관외사전투표''' || 3.47% || {{{#006CB7 57.87%}}} || 9.79% || 4.94% || 10.15% || △47.72 || || || '''재외투표''' || 3.38% || {{{#006CB7 52.54%}}} || 3.38% || 6.77% || 20.33% || △32.20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동구·남구 을, version=284)]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동구(광주광역시), version=645)] [[분류:동구(광주광역시)]][[분류:광주광역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