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62MS.png|width=40]] 0962 [[떨구새]] || [[파일:963MS.png|width=40]] '''0963 맨돌핀'''[br][[파일:964MS.png|width=40]] '''0964 돌핀맨''' || [[파일:965MS.png|width=40]] 0965 [[부르롱]]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962MS.png|width=40]] 290 [[떨구새]] || [[파일:963MS.png|width=40]] '''291 맨돌핀''' [br][[파일:964MS.png|width=40]][[파일:964MMS.png|width=40]] '''292 돌핀맨''' || [[파일:965MS.png|width=40]] 293 [[부르롱]]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폼 체인지|폼 체인지]][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2> [[파일:963 맨돌핀.png|width=100%]] || [[파일:964 돌핀맨 나이브폼.png|width=100%]] || [[파일:964 돌핀맨 마이티폼.png|width=100%]] || ||<-2> 맨돌핀 || 돌핀맨[br](나이브폼) || 돌핀맨[br](마이티폼)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이름 ||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963MS.png|width=50]][br]'''맨돌핀''' [br] ナミイルカ(나미이루카) [br] Finizen || 전국: 0963 [br] 팔데아: 291 ||<|2> [include(틀:물타입)] || || [[파일:964MS.png|width=50]][[파일:964MMS.png|width=50]][br]'''돌핀맨''' [br] イルカマン(이루카만) [br] Palafin || 전국: 0964 [br]팔데아: 292 || [anchor(앵커-특성)] ||<-3>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맨돌핀 || [[포켓몬스터/특성/ㅅ#수의베일|수의베일]] || 화상을 입지 않는다. || || 돌핀맨 || [[포켓몬스터/특성/ㅁ#마이티체인지|마이티체인지]] || 지닌 포켓몬으로 돌아오면 마이티폼으로 변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포켓몬 || 분류 || 신장 || 체중 || 포획률 || || 0963 맨돌핀 ||<|2> 돌고래 포켓몬 ||<|2> 1.3m ||<|2> 60.2kg || 200 || || 0964 돌핀맨(나이브폼) ||<|2> 45 || || 0964 돌핀맨(마이티폼) || 히어로 포켓몬 || 1.8m || 97.4kg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걸음수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육상, 수중 2 || 10,240걸음 || 1,250,000 || [anchor(앵커-진화)] ||<-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 {{{#ffffff 진화}}} || [[파일:963.gif|width=60]] [br]0963 맨돌핀 || 38레벨 이상[br]다른 플레이어와 유니온 서클을 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레벨업[br]→ || [[파일:964.gif|width=60]] [br]0964 돌핀맨 || [anchor(앵커-폼 체인지)] ||<#0267c2><-4> [[폼 체인지(포켓몬스터)|{{{#FFFFFF 폼 체인지}}}]] || ||<#0267c2> {{{#FFFFFF 폼 체인지}}} || [[파일:964.gif|width=60]] [br]나이브폼 || 교체하고 다시 나온다[br]→ || [[파일:964마이티폼.gif|width=70]] [br]마이티폼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2배 || 1배 || 0.5배 || ||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포켓몬 || HP || 공격 || 방어 || 특수공격 || 특수방어 || 스피드 || 합계 || || [[파일:963MS.png|width=50]][br]맨돌핀 || 70 || 45 || 40 || 45 || 40 || 75 || 315 || || [[파일:964MS.png|width=50]][br]돌핀맨(나이브 폼) || 100 || 70 || 72 || 53 || 62 || 100 || 457 || || [[파일:964MMS.png|width=50]][br]돌핀맨(마이티 폼) || 100 || '''{{{#red 160}}}''' || 97 || 106 || 87 || 100 || '''{{{#red 65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63MS.png|width=50]][br]{{{#FFFFFF 맨돌핀}}} || ||<#ffffff,#000000><-2><:>{{{#!HTML}}}|| ||<-2> [[파일:964MS.png|width=50]][br]{{{#FFFFFF 돌핀맨^^나이브 폼^^}}} || ||<#ffffff,#000000><-2><:>{{{#!HTML}}}|| ||<-2> [[파일:964MMS.png|width=50]][br]{{{#FFFFFF 돌핀맨^^마이티 폼^^}}}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963MS.png|width=50]][br]{{{#ffffff 0963 맨돌핀}}} || || 스칼렛 ||꼬리지느러미에 있는 물의 고리를 가지고 동료와 노는 것을 좋아한다. 초음파로 생명체의 기분을 감지한다. || || 바이올렛 ||물의 고리는 머리의 구멍에서 나오는 점액질과 바닷물을 섞어서 만들어 낸 것이다. || ||<-2> [[파일:964MS.png|width=50]][br]{{{#ffffff 0964 돌핀맨^^나이브 폼^^}}} || || 스칼렛 ||도움을 구하는 동료의 소리를 들으면 모습을 바꾼다. 그 순간은 누구에게도 보여 주지 않는다. || || 바이올렛 ||신체 능력은 맨돌핀과 차이가 없지만, 동료가 위기에 처하면 변신해서 파워업한다. || ||<-2> [[파일:964MMS.png|width=50]][br]{{{#ffffff 0964 돌핀맨^^마이티 폼^^}}} || || 스칼렛 ||태고의 유전자가 각성했다. 한쪽 지느러미로 크루즈선도 가볍게 들어 올리는 괴력의 소유자. || || 바이올렛 ||50노트의 속도로 헤엄치며 물에 빠진 사람이나 포켓몬을 구해 주는 바다의 히어로.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제트펀치]] || == 개요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신규 포켓몬. 시리즈 최초의 [[돌고래]] 포켓몬으로 진화형은 거기에 [[슈퍼맨]]의 이미지까지 가져왔다. 이름의 어원 역시 둘을 합친 것. == 스토리 및 포획 == 맨돌핀은 바다나 해변에서 떼로 헤엄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어 조우는 쉽지만, 스토리에서도 쓸 수 없을 정도로 형편없는 종족값을 가졌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돌핀맨으로 진화시켜야 한다. 맨돌핀이 38레벨 이상인 상태로, 다른 플레이어와 유니온 서클을 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레벨업 하면 된다. 타 유저를 유니온 서클에 초대를 하거나 초대를 받아서 이상한 사탕이나 경험 사탕으로 레벨업하면 끝난다. [[투텐도]] 등의 로컬이나 인터넷 환경이 없다면 2회차 테라레이드에서도 5성으로 돌핀맨이 나올 때도 있으나, 5성 레이드는 엔딩 크레딧 이후에 나오기 시작하기 때문에 스토리에서 돌핀맨을 쓰고 싶으면 이 방법은 쓸 수 없다. 돌핀맨으로 진화해도 나이브폼의 스탯은 썩 좋지 않기 때문에 마이티폼으로 변신을 해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대신 이렇게 하면 160의 공격 종족값으로 웬만한 상대는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선봉으로 나와서 퀵턴치고 교체, 후속 포켓몬이 적의 선봉을 제거하고 스토리에서만 가능한 적이 꺼낼 포켓몬을 보고 교체가 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해 턴 낭비 없이 나와서 스윕하면 그나마 사용하기 편하다. == 대전 == 스피드는 양쪽 폼 모두 100이라 격전지에 속한다. 폼 체인지 조건은 볼로 돌아갔다 다시 나오는 것. 까다롭지만 성공 시 총합 '''650'''의 마이티 폼으로 돌입한다. 공격 종족값이 물 타입 1위, 비전설 2위인 160에 달하는 [[게을킹]], [[레지기가스]]급 능력치를 별 페널티 없이 사용 가능하며 위력 120의 [[웨이브태클]]을 습득하므로 화력 걱정도 필요 없다. 내구도 100-97-87 정도면 물리내구 49817에 특수내구 45559로 [[우라오스]]나 100족 환포 라인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튼튼한 편. 특공도 아예 못 쓸 정도는 아니어서 구애안경을 끼고 [[하이드로펌프]]와 [[폭음파]]를 채용하여 물리형을 예측하고 내보낸 물리막이들의 뒤통수를 치는 전법도 구사할 수 있다. [[퀵턴(포켓몬스터)|퀵턴]]도 습득하므로[* 참고로 9세대에서는 돌핀맨과 [[무쇠보따리]]만이 퀵턴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실상 준 전용기가 되었다.] 조건으로 인한 패널티가 생각보다 적으며, 여차하면 [[앙코르(포켓몬스터)|앙코르]]로 돌핀맨을 읽고 기점을 잡으려고 하는 상대의 허를 찌를 수도 있다. 더욱이, 스피드가 느려 트릭룸이 필요한 [[약어리]]보다도 쓰기 쉽고 종족값도 더 높다. 기본적으로 [[퀵턴]]을 통해 빠지는 게 가장 흔한 전법이지만, 인파이트+탈출팩 조합을 이용해 빠지기도 한다. 이 경우 특성도 없는 거나 다름 없는 마당에 도구마저 버리는 꼴이긴 하지만, 기술칸 낭비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전용기인 [[제트펀치]]도 우수한 기술. 위력 60의 선공기로 [[아쿠아제트]]의 강화판이다. [[퀵턴]], [[제트펀치]], [[웨이브태클]] 등 쓸만한 물리형 물 기술을 배우며, [[인파이트]], [[냉동펀치]], [[아이언헤드]], [[사념의박치기]]등 다른 쪽 견제기도 출중하다. 기술칸 고민이 될 정도로 기술폭도 좋다. 먼저 나이브 폼이 나오고 교체를 해야 폼이 바뀌기 때문에 읽히기는 쉽지만, 그걸 대비해서 [[막말내뱉기]] [[오롱털]]로 교대해 벽을 깔거나, 정석적인 방식의 가속 바톤 요원을 채용할지, 혹은 탈출팩이나 탈출버튼으로 후내밀기로 다시 나올지 등 여러 가지 전략이 연구되고 있다. 시즌 1에서의 평가는 파훼하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못 막으면 파티가 다 쓸려나가는, 전형적인 [[모르면 맞아야죠|모르면 맞는 포켓몬.]] 읽히기가 쉽지만 그걸 감안하고서라도 스위핑 능력이 좋기 때문에 대체로 강캐의 위치다. 다만 선봉으로 자주 나오는 [[마스카나]]는 돌핀맨의 최악의 천적으로 변신하기 전에 [[트릭플라워]]를 맞고 볼로 돌아가거나 일반 교체 시 후속 포켓몬이 [[탁쳐서떨구기]]를 맞을 확률이 높다. 시즌2에 사용률이 3위까지 오른 머리띠한카리아스도 난적으로, 얍삽하게 2 빠른 스피드로 위에서 역린을 치면 난수에 바로 죽을 수도 있으며 겨우 버티더라도 까칠까칠한 피부에 동귀어진하고, 만약 웨이브태클을 한번이라도 썼으면 아무것도 못 하고 끔살당한다. 패러독스 포켓몬이 풀린 시즌3에서는 사용률이 줄었는데, 초기 사용률 2위까지 올랐던 생구 [[무쇠보따리]]의 [[프리즈드라이]]에 1타로 삭제당하는 것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같은 룰인 시즌4에 [[무쇠보따리]]의 사용률이 급감하고, 제트펀치에 삭제당하는 [[날개치는머리]]와 [[무쇠독나방]]이 늘었으며 시리즈2 메타의 중심 [[드닐레이브|드]][[날개치는머리|날]][[어써러셔|어]]의 대항마로 돌핀[[자포코일|자포]]의 [[퀵턴]][[볼트체인지|볼체]] 사이클이 부상하게 됨으로써 사용률이 크게 올랐다. [[아쿠아제트]]의 상위호환 전용기인 [[제트펀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며 특성 발동을 위한 퀵턴과 강력한 자속기 웨이브태클의 사용률도 높다. 자속 웨이브태클의 결정력이 반감 포켓몬도 2타 내로 처리할 만큼 무시무시하기 때문에[* 구애머리띠를 끼고 물 테라스탈 이후 날리는 고집 풀보정 웨이브태클의 결정력이 무려 83,880에 달한다. 무보정 [[드래펄트]] 정도의 내구라면 반감이더라도 1타로 날려버리는 수준.] 물 기술로만 도배해도 크게 문제될 일이 없다. 덩달아 [[구애머리띠]]와의 궁합도 환상적이다. 남는 칸은 저수 포켓몬이나 웨이브태클 1타를 버티는 포켓몬들을 겨냥해 인파이트나 냉동펀치를 넣는다. 자속기 화력에 올인하기 위해 테라스탈타입까지도 물 타입으로 맞추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폼체인지가 "교대"라는 조건상 테라 레이드 배틀에서는 폼체인지가 불가능해 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이를 바꿔 말하면 돌핀맨 레이드도 마찬가지로 폼체인지 없이 약한 나이브 폼으로 진행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5성 이상의 레이드 중에서 공략 난이도가 가장 낮은 편이다. == 기타 == * 유출되었을 때부터 인간형의 돌고래 캐릭터라는 점에서 유희왕의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과 엮는 사람들이 많았고, 자연스럽게 아쿠아 돌핀의 별명인 '돌핀맨'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는데[* 거기에 아쿠아 돌핀의 작중 대사인 '두근거림을 떠올리는 거야' 짤방도 심심찮게 나오는 편. 이외에 돌고래맨, 돌마이트, 헬창돌고래 등으로도 불렸다.], 정말로 한칭이 돌핀맨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로는 [[아쿠아맨]]과도 [[https://m.dcinside.com/board/game_nintendo/1900486|엮이는 중.]] * 모티브는 [[슈퍼맨]]을 비롯한 서양식 히어로 캐릭터에 대한 레퍼런스 전반인 듯하다. 그래서 슈퍼맨을 비롯한 히어로물의 클리셰를 곳곳에서 많이 담고 있는데 허리에 손을 얹고 있는 특유의 스탠딩 포즈는 슈퍼맨, [[캐럴 댄버스|캡틴 마블]], [[센트리]] 등 히어로 캐릭터의 클리셰 중 하나다. 또한 진화 조건은 대중매체에서 영웅들이 목격담이 있어야 영웅으로 불리는 클리셰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돌핀맨의 변신 조건도 슈퍼맨의 고전 클리셰인 전화박스 들어갔다 나오기를 연상시킨다. 진화전과 나이브폼의 모습의 차이가 별로 없는 이유도 평소에는 일반인으로 살다가 빌런이 등장하면 히어로로 변신하는 히어로물의 전통적인 클리셰를 구현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나이브폼의 돌핀맨은 가슴에 하트가 그려진 것 빼고는 진화 전인 맨돌핀과 차이가 거의 없다. 심지어는 울음소리마저 같다.] * 진화에 온라인 통신이 필수이다 보니 게임 롬 파일이 유출됐을 당시 꽤 오랫동안 명확한 진화 조건이 드러나지 않았었다. 이에 서양에서는 슈퍼 히어로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슈퍼맨처럼 비행한다 등과 관련된 진화 방법일 것이라 추측, 아군 포켓몬이 [[울음소리]] 사용 후 교체로 나와서 쓰러뜨리기, [[스코빌런|스코’빌런’]] 쓰러뜨리기, 히어로 포즈 이모티콘 사용하기, 코라이돈/미라이돈으로 활공하기, 아군이 전멸한 상태로 나와서 쓰러뜨리기, 도감 삽화처럼 맨돌핀 무리가 보는 가운데 레벨업하기 등의 여러 참신한 시도를 했다. * [[마임맨]]과 같은 이유로 이름은 돌핀맨이지만 암컷도 존재한다. * 진화 전인 맨돌핀은 자세히 보면 [[파이아이]]이다. 홍체의 위쪽은 하늘색에 가깝고 홍체의 아래쪽은 연분홍색이다. 이건 돌핀맨의 나이브 폼도 동일하다. 돌핀맨 마이티 폼이 되면 눈동자 없는 하늘색 눈이 된다.[* 눈의 하이라이트는 도감 이미지에서 확인된다.] * 너무 개성적인 마이티폼 이외의 맨돌핀/돌핀맨은 단순하면서도 귀여운 외모로 인기가 많다. [[창파나이트]]처럼 포켓몬 시리즈의 배경 내에서도 인기가 많은지 모란의 방에도 돌핀맨의 포스터가 붙어있다. * [[고래왕]] 이후 오랜만에 등장한 육상/수중 2 그룹 포켓몬이다. == 삽화 == ||<-2>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63 맨돌핀 dex.png|width=100%]] || [[파일:964 돌핀맨 dex.png|width=100%]] || || '''맨돌핀''' || '''돌핀맨'''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맨돌핀 || 접두사 ‘맨-(꾸밈없는 보통의 상태)’ + Dolphin(돌고래) || || 일본어 || ナミイルカ || 並み(평균, 보통) + イルカ(돌고래) || || 영어 || Finizen || '''Fin'''(지느러미) + Cit'''izen'''(시민)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한국어 || 돌핀맨 || Dolphin(돌고래) + 슈퍼맨 || || 일본어 || イルカマン || イルカ(돌고래) + 슈퍼맨 || || 영어 || Palafin || Paladin(팔라딘) + fin(지느러미)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물타입 포켓몬]][[분류:폼 체인지(포켓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