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목이 같은 드라마, rd1=일지매(드라마))] [Include(틀:MBC 수목 미니시리즈(2006~201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3F424B, #15332B, #3F424B)" {{{#FFFFFF '''MBC 수목 미니시리즈''' }}} [br] {{{#FFFFFF {{{+2 '''돌아온 일지매''' }}} (2009)[br] ''Moon River''}}}}}}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돌아온 일지매_포스터.jpg|width=100%]]}}}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FFF ''' 시청 등급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5세 이상 시청가}}}]]''' || ||<-2> {{{#FFFFFF '''방영 시간''' }}} ||<(> 수 · 목 / 오후 09:55 ~ 오후 11:05 || ||<-2> {{{#FFFFFF '''방영 기간''' }}} ||<(> [[2009년]] [[1월 21일]][* 상단의 포스터에도 적혔듯이, 원래 2009년 1월 14일에 첫방송 예정이었으나, [[종합병원 2|전작]]이 방영 도중 노조 파업으로 한 주에 1회만 드라마를 내보내면서 종영이 일주일 늦어졌고, 이에 '일지매' 측도 영향을 받은 것이다.] ~ [[2009년]] [[4월 9일]] || ||<-2> {{{#FFFFFF '''방영 횟수''' }}} ||<(> 24부작 || ||<-2> {{{#FFFFFF '''제작사''' }}} ||<(> 지피워크샵, 로이워크스 || ||<-2> {{{#FFFFFF '''채널''' }}} ||<(> [[MBC]] || ||<|3> {{{#FFFFFF '''제[br]작[br]진''' }}} ||<#3F424B> {{{#FFFFFF '''연출''' }}} ||<(> 황인뢰[* 대표 연출작으로 [[궁(드라마)|궁]], [[궁S]], [[장난스런 키스(드라마)|장난스런 키스]] 등이 있다.], 김수영 || ||<#3F424B> {{{#FFFFFF '''각본''' }}} ||<(> 김광식, 도영명 || ||<#3F424B> {{{#FFFFFF '''원작''' }}} ||<(> [[고우영]]의 만화 〈[[고우영 일지매]]〉 || ||<-2> {{{#FFFFFF '''출연''' }}} ||<(> [[정일우]], [[윤진서]], [[김민종]], [[정혜영]] 外 || ||<-2> {{{#FFFFFF '''링크''' }}} ||<(> [[http://www.imbc.com/broad/tv/drama/iljima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우영 일지매]]를 원작으로 한 [[MBC]] [[수목 드라마]]로, 속칭 '돌지매'로 불린다. [[2009년]] [[1월 21일]]부터 동년 [[4월 9일]]까지 방영했다.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 [[정일우]] - 일지매 역 * [[윤진서]] - 달이 / 월희 역 * [[김민종]] - 구자명 역 * [[정혜영]] - 백매 역 === 주변 인물 === * [[박근형]] - [[김자점]] 역 * [[이계인]] - 걸치 역 * [[오영수]] - 열공 역 * [[강남길]] - 배선달 역 * [[이기영(배우)|이기영]] - 박비수 역 * [[박철민]] - 왕횡보 역 * [[이정용(배우)|이정용]] - 양포 역 * 전수연 - 수련 역 * 정유찬 - 백정태 역 * 윤범준 === 그 외 === * [[박찬환]] (특별출연) * [[윤유선]] (특별출연) * [[맹상훈]] (특별출연) * [[이영후]] (특별출연) * [[산다라박]] - 리에 역 (특별출연) * [[황정리]] (특별출연) * [[천호진]] - [[숭덕제|홍타이지]] 역 * [[이현우(배우)|이현우]] - 차돌이 역 * 강지후 - [[아이신기오로 호오거|호오거]] 역 * [[강신일]] - 강세욱 역 * [[여민주]] - 경옥 역 * [[백인철(배우)|백인철]] - 손석주 역 * [[정희태]] - 우돌 역 * [[권성덕]] - [[타쿠앙 소호|택암]] 역 * [[황정리]] - [[미야모토 무사시]] 역 * [[윤종훈]] * [[김민하(1997)|김민하]] * [[이호재]] - 김중환 역 * [[정준(배우)|정준]] - 김준서 역 * [[차준환]] - 일지매(아역) / 영이 역 * [[하리수]] - 기선녀 역 * [[곽민석]] - 김자점의 참모 역 == 평가 == 여러 캐스팅 잡음 끝에 정일우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황인뢰가 연출을 맡았으나 한 자리수 시청률을 보여주며 망했다. 개성 넘치는 조연들에 비해 주연 4인방의 연기나 배역이 어울리지 않았다는 평. 주연 4인방이 죄다 [[발연기]], [[미스캐스팅]] 급이었고, 특히 김민종(구자명)이나 윤진서(달이/월희) 등은 대사 처리나 표정 연기가 답답하기 짝이 없었다. 시종일관 무표정에, 감정없이 대본을 그대로 읽는 티가 팍팍 난다. [[일지매(2008년 드라마)|SBS 일지매]]가 주조연 가리지 않고 대체로 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한 것 때문에 더더욱 비교되었다. 연출도 미흡했다. 대사의 경우도 원작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가 많으나 원작 자체가 1970년대 성인 만화 감성이기 때문에 젊은층이 보는 미니시리즈에는 어울리지 않았다. 드라마 외적으로도 SBS 일지매의 유명세에 위축되어 프로모션의 측면에서도 전체적으로 맥이 빠진 모양세를 보여주었다. 과거 장동건 주연의 자사 드라마 [[일지매(드라마)|일지매]]의 후속을 의도했으나 '돌아온'이라는 표현 때문에 불과 몇달 전에 종영한 SBS 일지매의 후속작 내지는 아류작처럼 비춰졌다. 내레이션을 맡은 성우 [[김상현(성우)|김상현]]은 나쁘지 않았고 일반적인 대하 사극의 경우 내레이션 삽입이 흔한 일이지만, 대하 사극 시청층이 아닌 젊은층이 주로 보는 미니시리즈에 내레이션이 들어간 것은 드문 일이라 반응이 좋지 않았다. 내레이션 섭외가 2화부터 시청률을 대폭 하락시켰다는 평가. == 여담 == * [[이승기]]를 주연으로 하려 했지만, [[SBS]] [[일지매(2008년 드라마)|일지매]]의 예상 못한 흥행에 거절하였고[* 그러나 애초부터 이승기를 캐스팅할 계획은 없었다는 말도 있으나, 이 설은 완전히 말은 안 되는 게 KBS [[1박 2일]]에서 '일지매'와 관련한 언급이 있었기 때문이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7&aid=0001956121|#]] 그리고 1박 2일 촬영장에서 이루어진 기자 간담회에서 작품을 포기한 속내를 밝혔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20&aid=0002002029|#]] 다만 돌아온 일지매의 흥행 실패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화위복이 되기는 했다.], 대신 [[정일우]]가 주연이 되었다. 또한 원래 2008년 후반기에 《[[베토벤 바이러스(드라마)|베토벤 바이러스]]》 후속작으로 방영할 예정이었지만, 본래 [[주말 드라마|주말 특별기획드라마]]로 방영할 예정의 [[종합병원 2]]가 가을 개편으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가 폐지[* 하지만 6개월만에 [[2009 외인구단]]의 시작으로 [[주말 드라마|주말 특별기획드라마]]를 다시 재편성했다.]되어 대신 수목극으로 편성하면서 한 차례 방영이 연기되었고, 또한 당시 인기를 끌은 [[최진실]] 주연의 드라마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 시즌 2 편성이 결정되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110991|동년 11월에서 2009년 2월]] 사이로 방영이 잡히자 2009년 3월 이후로 방영이 연기되었다. 하지만 최진실의 죽음으로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 시즌 2 편성은 영구히 무산되면서 종합병원 2 후속으로 방영하였다. * 당시 [[2NE1]]으로 데뷔 직전의 [[산다라박|산다라박]]이 닌자의 딸 리에 역으로[* 부모 닌자는 각각 [[박찬환]]과 [[윤유선]].] 특별출연했다. * [[MBC]] 프로그램의 출연금지 처분을 받은 [[이경영(1960)|이경영]]이 특별출연으로 복귀하려 했지만, MBC의 큰 반발로 결국 무산되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000554|#]] [[강신일]]이 대신 출연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000554|#]] * 1993년 자사에서 방영한, 같은 연도에 앞서 출간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았지만 고우영의 일지매 설정을 무단으로 차용해 만든 장동건 주연의 MBC [[일지매(드라마)|일지매]]의 후속작 개념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번에는 제대로 고우영의 판권을 구입해 정식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불과 몇개월 먼저 방영해 큰 인기를 얻은 SBS 일지매 덕분에 아류작이 되어버렸다. "원조"라는 점을 부각하려고 했으나 이미 고우영의 만화를 기억하는 시청자들이 적은 상황이고 SBS 일지매가 '일지매' 캐릭터를 한국에서 재정립해버리자 대놓고 일본 닌자술을 쓰는 한국 기준 원조 일지매에 오히려 거부감을 느끼는 시청자들이 많았다. 그러다보니 '어떻게 일지매가 감히 일본의 닌자술을 쓰냐'며 지적하는 기사가 나오는 웃지 못할 상황이 펼쳐졌다. [[https://entertain.v.daum.net/v/20090122152906462|(기사) "일지매에 닌자 칼이 웬 말이냐"]][* 격투기 전문 웹진 무진의 칼럼 기사를 헤럴드경제가 받아서 2차 배포한 칼럼 기사다. 무단으로 설정을 베낀 소년일지매나 장동건 주연의 일지매부터 언급하는 것만 봐도 칼럼을 쓴 기자가 정확한 자료 조사 없이 개인적인 기억에만 의존해 기사를 쓴게 티가 난다. 해당 기자는 본인의 블로그 댓글로는 잘못을 시인했지만 정식으로 기사를 수정 보완하거나 내리는 식으로 바로 잡지는 않았고 결국 본인이 추억이라며 내세운 한국 원조 일지매 이미지인 '고우영 버전 일지매'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 인식에 일조하고 말았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지매, version=86)] [[분류:2009년 드라마]][[분류:2009년 종영]][[분류:MBC 수목 드라마]][[분류:한국 사극]][[분류:조선/창작물]][[분류:한국 만화 원작 드라마]][[분류:DVD 출시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