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분절 문자의 계보)] [목차] == 개요 == [[돌궐]] 제2제국기와 [[위구르 제국]]기를 거쳐 10세기의 키르기스에서도 쓰인 표음문자. 중앙아시아 유목세계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문자이며 후대 유목민들의 문자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 모양이 게르만 룬 문자를 닮아, 이 문자가 처음 발견된 <빌게 카간 비문>과 <퀼 테긴 비문>이 위치한 오르콘 강의 이름을 따 오르콘 룬 문자라고도 부른다. [[아람 문자]]에서 기원하고,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읽는다. == 역사 == [[돌궐]] 제2제국의 킹 메이커로 활동했던 빌게 톤유쿠크([[아사덕돈욕곡]])가 세운 것으로 추정되는 <초이렌 명문>과 <톤유쿠크 비문>이 돌궐 문자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사료이다. 이에 따라 톤유쿠크가 돌궐 문자의 창제자일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도 존재한다. 몽골 초원을 위시한 유목세계는 고유한 문자가 없어 그간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하지 못했다. [[돌궐]] 제1제국조차도 <마한 테긴 비문>[*1 현재까지 확인되는 돌궐제국의 가장 오래된 비문이다.]에서 소그드 문자를 차용하여 기록하였을 뿐, 고유한 문자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돌궐 문자의 등장으로 인해 유목 세계는 자신들의 문자로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이른바 문명화의 효시가 되었다고 평가된다. 실제로 돌궐의 문자 창제에 영향을 받아 훗날 [[위구르 제국]] 패망 이후 서쪽으로 이주한 서위구르 왕국은 소그드 문자를 변형하여 위구르 문자를 만들었고, [[위구르 제국]] 이후 북아시아의 패권을 가져간 [[요]]와 [[금]], 하서 지방의 [[서하]] 등도 각자 한자의 자형을 참고한 [[거란 문자]], [[여진 문자]], [[서하문자]] 등의 음절문자를 만들었으며, 훗날 [[몽골문자]]와 [[만주문자]]의 탄생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돌궐문자로 기록된 대표적인 비문 자료는 [[돌궐]] 제2제국 시기의 <톤유쿠크 비문>, <빌게 카간 비문>, <퀼 테긴 비문>, [[위구르 제국]] 시기의 <테스 비문>, <시네 우수 비문>, <타리아트 비문>, <구성회골가한비문>[*2 혹은 <구성 비문>, <카라발가순 비문>. 정식 명칭은 ''''<구성회골애등리라골몰밀시합비가가한성문신무비'''(九姓回鶻愛登里囉汨沒蜜施合毗伽可汗聖文神武碑)'''>''''이다. [[위구르 제국]] 제 12대 소례(昭禮) 카간의 정식 명칭인 [[아이 텡그리데 쿠트 볼미쉬 알프 빌게 카간]]의 음차이다. --길다--] 등이 있으며, 한족 입장의 다소 편파적이고 착종된 부분이 많은 한문사료를 보충하여 고대 유목제국 세계의 역사를 복원하는 데에 아주 귀중한 자료로서 기능하고 있다. == 특징 == 돌궐 문자는 [[아랍 문자]]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문자이다. 끊어 읽어야 하는 부분에 : 표시를 하였고, 자음이 모음을 머금을 수 있는 돌궐 문자의 특성상[*3 이러한 특징을 가진 음소문자를 [[아부기다]]라고 부른다.] 모음 자모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관용적으로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 비문을 읽다 보면 자음들의 향연을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𐰴𐰍𐰣(QGHN)은 q(a)gh(a)n[*4 카간. 유목제국의 우두머리, 즉 임금, 황제의 뜻.]이라고 읽는 식이다. 따라서 비문을 알파벳으로 전사할 때 단순히 자음만 쓰여 있으면 그 앞뒤로 모음이 올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자음이 전설 모음과 결합하는 것과 후설 모음과 결합하는 것이 따로 있어 생략된 모음이 어떤 것인지를 어느 정도 유추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 문자 일람에서 같은 발음의 문자가 2개씩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또한 같은 알파벳이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서체로 쓰인 글자들이 존재하나 아래의 문자 일람에는 기술하지 않았다. == 문자 일람 == ||<-99> 모음 || ||𐰇||||𐰆||||𐰃||||𐰀|| ||ö/ü||||o/u||||ɨ/i||||a/e|| ||<-99> 후설모음과 결합하는 자음 || ||𐰖||||𐰽||||𐰺||||𐰣||||𐰞||||𐱃||||𐰸||||𐰴||||𐰍||||𐰑||||𐰉|| ||y||||s||||r||||n||||l||||t||||oq/uq/qo/qu||||q/k||||γ/g||||d||||b|| ||<-99> 전설모음과 결합하는 자음 || ||𐰘||||𐰾||||𐰼||||𐰤||||𐰠||||𐱅||||𐰜||||𐰚||||𐰏||||𐰓||||𐰋|| ||y||||s/š||||r||||n||||l||||t||||ök/ük/kö/kü||||k||||g||||d||||b|| ||<-99> 기타 자음 || ||𐰦||||𐰪||||𐰨||||𐰔||||𐱁||||𐰭||||𐰢||||𐰯||||𐰱||||𐰲||||𐰶|| ||nt||||ń/ny||||nč||||z||||š||||ṅ/ng/ŋ||||m||||p||||ič/či||||č||||ik/ki|| ||<-99> 기타 자음 || ||𐱈||||𐱇||||𐰡|| ||rt||||ot/ut||||lt|| [[분류:돌궐]][[분류:음소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