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신분증)] [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2> {{{#fff {{{+2 '''독일 신분증'''}}}}}}[br]{{{+2 {{{#fff Personalausweis[br]German identity card[br][[파일:EPassport_logoWhite.svg|width=28]]}}}}}}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eIDcard.jpg|width=100%]][br][[파일:deIDcard_back.jpg|width=100%]]}}} || || '''{{{#fff 발급 국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독일]] || || '''{{{#fff 발급 기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독일|독일 내무부]] (BMI) || || '''{{{#fff 제작 기관}}}''' ||Bundesdruckerei || || '''{{{#fff 독일어}}}''' ||'''Der Personalauswei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br]Personalausweis || || '''{{{#fff 영어}}}''' ||'''German identity card''' || || '''{{{#fff 한국어}}}''' ||'''독일연방공화국 신분증'''[br]독일 신분증 || || '''{{{#fff 유효 국가}}}'''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독일]] (국내 신분증[* 재외공관의 투표 등을 포함한다.], 여행 문서로서)[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8]] [[유럽연합]] (신분증, 여행 문서로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프랑스|프랑스 해외령]] (여행 문서로서)[br][[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8]] [[세르비아]] (여행 문서로서)[br][[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8]] [[몬테네그로]] (여행 문서로서)[br][[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8]] [[북마케도니아]] (여행 문서로서)[br][[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8]] [[알바니아]] (여행 문서로서)[br][[파일:몰도바 국기.svg|width=28]] [[몰도바]] (여행 문서로서)[br][[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8]] [[터키]] (여행 문서로서)[br][[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8]] [[조지아]] (여행 문서로서)[br][[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8]] [[이집트]] (여행 문서로서, 사진요)[br][[파일:몬트세랫 기.svg|width=28]] [[몬트세랫]] (여행 문서로서, 14일)[br][[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28]] [[튀니지]] (여행 문서로서, 단체 투어)|| ||<-2> '''{{{#fff 사양 및 제원}}}''' ||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사진 || 성별 || 생년월일 || 주소 || || {{{-2 〇[br]3.5cm×4.5cm}}} || {{{-2 ×[br]미기재. MRZ에도 없다.}}} || {{{-2 〇[br]Geburtstag[br]DD.MM.YYYY}}} || {{{-2 〇[br]Anschrift[br]00000 ...}}} || ||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 문서 번호 || 발행일 || 만료일 || || {{{-2 〇[br]범국가적 개인식별번호가 존재하지 않음}}} || {{{-2 〇[br]L00L00000}}} || {{{-2 〇[br]Datum[br]DD.MM.YY}}} || {{{-2 〇[br]Gültig bis[br]DD.MM.YYYY}}} || || 생체정보보호 || 서명 || 발행국 코드 || 소지자 국적 || || {{{-2 〇[br]'''미출력'''[br]지문 수집 (2021년) / 안면인식 미운용}}} || {{{-2 〇[br]출력}}} || {{{-2 〇[br]DE (EU)}}} || {{{-2 〇[br]DEUTSCH}}} || || {{{-3 ICAO Doc 9303-5[br]기계가독부 (MRZ)}}} || {{{-2 ICAO Doc 9303[br][[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Passport_logoWhite.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14443[br][[파일:컨택리스 표시.svg|height=17.23&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height=17.23&theme=dark]]}}} || {{{-2 ISO/IEC 7816-2[br][[파일:SmartCardPinout.svg|height=17.23]]}}} || || {{{-2 〇[br]IDD<<}}} || {{{-2 〇[br]2021년부터}}} || {{{-2 〇[br]Type A/B}}} || {{{-2 ×[br][br]}}} || || 비고 ||<-3>세례명이나 가명을 기재할 수 있음. 온라인 검증 가능. ||}}}}}}}}} || || [youtube(-aAelpEp7oQ)]|| || 새로운 신분증 || || [youtube(HQrtHOYQkwo)]|| || NFC를 이용하는 신분증의 모바일 온라인 ID 기능 (안드로이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국민 대상으로 발급되는 [[독일연방공화국]]의 신분증이다. == 상세 == * [[독일 여권]]과 동일하게 24세 이상은 10년, 24세 미만은 6년간 유효한 신분증이 발급된다. [[ICAO Doc 9303]]에 완전히 준거한다. 지문 채취가 임의였으나 2021년 8월 1일부터 유럽 신분증 규격 개정으로 의무화되었다. * 최신 규격이 많이 녹아들어 있다. [[디지털 도어락]] 하나 못믿는 보수적인 독일이 내놓는 것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NFC 칩이 내장되었던 초기에는 거부감이 없던 것이 아니라서 [[전자레인지]]에 돌린다거나 하는 식으로 NFC 칩을 무력화하는 방법이 돌기도 했으나, 법적으로 처벌이 가능한데다가 전자파 차단 지갑 등이 출시되면서 잠잠해졌다. * [[여권]]과 [[ICAO Doc 9303|동일한 규격]]인지라 사실 전자여권이 가진 논란과 궤를 같이 한다. 그러나 전자여권과 동일하게 규격상 표면의 '문서번호/YYMMDD 생년월일/YYMMDD 만료일'이 없으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기에 그냥 아무 조치 없이 지갑에 넣고 다녀도 상관 없다. * 표면에 NFC용 카드 접근 번호(CAN)가 기재되어있다. CAN을 3번 틀리면 PUK로 초기화해야 한다. * 예상이 가겠지만 위조 난이도도 여권과 동일하다. BMI가 릴리즈하는 AusweisApp2를 다운로드 받으면 이마저도 검증이 가능하다. * 만약 오프라인에서 나이를 속이고자 한다면 우선 '''앞면 생년월일, MRZ, 전자칩''' 최소 3곳을 변조해야 한다. 물론 온라인 진위확인 기능도 마련되어 있기에 [[포기하면 편해|포기하면 편하다]]. 결과도 전자칩을 활용한 태그 방식이라 바로 나온다.[* 자영업자에게 과중한 책임을 무는 대한민국의 [[주민등록증]]은 이러한 기능이 없어 ARS 걸어서 행정안전부에 조회하는 원시적인 방법을 동원해야 된다. 조금 자동화된 곳은 OCR로 읽어들여 결과물을 행정안전부 전산망에다 조회하는데 이것도 사실 호흡기를 대충 달아놓은 수준이다.] * 유럽식 신분증인 만큼 EU 외에서도 어느 정도 인정받는다. EU 후보국은 물론이고 터키나 조지아, 이집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해외에서 유효한 여행 문서를 이미 소지하고 있어 독일 여권을 발급받을 이유가 없다면 독일 신분증을 이용해 출국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이는 딱히 국외 여권에 한정되지는 않으므로 EU 신분증과 [[우크라이나 신분증]]을 가진 이중국적자가 두 신분증을 병용해서 폴란드-우크라이나 국경을 넘는 것도 가능하다. * 이름을 포함한 모든 인적사항이 [[글꼴#s-4.3.1.2|고정폭 폰트]]다. 사실 옛날에는 유럽 어디서나 다 고정폭으로 작성된 신분증을 발급했었으니 딱히 부자연스러운 건 아니었는데,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는건 상당히 이례적이다. BMI가 [[OCR]]에 안 좋은 기억이 있는건 아닌지 의심갈 정도다. 나머지는 다행히 가변폭이다. * 후면에 특이하게도 안구 색상과 신장도 기재된다. 얼굴과 유효기간 연월이 삽입된 OVD도 있다. === 발급 === * 16세 이상은 여권이나 독일 신분증 중 1종류 이상의 신분증을 의무적으로 발급받아야 한다. 처리에 2주 이상 소요되며, 3개월 유효한 임시 신분증도 [[유로|€]]10.00에 나온다. 시외 발행은 €13.00, 국외 발행은 €30.00 할증된다. * 24세 이상은 €37.00, 미만은 €22.80 부과된다. 조건부 수수료 감면 제도도 있다. [[분류:신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