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어(어류)]] [목차] == 개요 == [[毒]][[魚]] [[독극물|독]]을 품고 있는 [[어류]]를 총칭하는 말. 크게 [[독가시치]]나 [[가오리]]처럼 외부(지느러미 등)에 독을 품고 있는 종과 [[복어]]처럼 내부(내장 등)에 독을 품고 있는 종으로 나뉜다. 물론 [[장어]]처럼 외부, 내부에 둘 다 독을 품은 종도 있다. 단순히 독이 있는 해양생물이라고 전부 독어는 아니다. 바다에 살지만 어류가 아닌 생물도 많기 때문이다. == 종류 == * '''볼드체'''는 맹독성 어류이다. * ''기울임체''는 독의 강도가 약해 인간에게 큰 피해를 주지 못하는 어류이다. === 외부에만 독이 있는 경우 === * [[크라운로치]] * [[독가시치]] * ''[[곱상어]]''[* 독의 강도는 약하지만 인간에게 해로울 수 있다.] * ''[[은상어]]'' * [[코은상어]] * [[남양쥐돔]] * [[퉁소상어]] * [[쥐가오리류]]를 제외한 모든 매가오리목 * [[노랑가오리]] * [[쏠종개]] * [[코리도라스]] * [[자가사리]] * [[갈색횡반무늬돔]] * [[납작돔]] * 청베도라치과 일부 * [[청줄베도라치]] * [[두줄베도라치]] * 대부분의 메이아칸투스속 * 모든 동미리과 * 모든 통구멍과 * [[대서양통구멍]] * [[얼룩통구멍]] * 대부분의 쏨뱅이목 * [[양태]] * [[가시달강어]] * 두꺼비고기과 내 독두꺼비고기아과에 속하는 모든 어류 * 모든 풀미역치과, 붉은미역치과 * 모든 양볼락과 * [[미역치]][* 카라톡신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다. 맹독성 어류로 보기도 하지만, 순간적인 통증이 매우 클 뿐 일반적으로는 자연 해독되며 후유증이 크지 않다.] * [[벌감펭]] * [[주홍감펭]] * [[쭈굴감펭]] * '''[[쏠배감펭]]'''[* 등지느러미의 가시에 맹독이 있다.] * ''[[조피볼락]]''[* 모두가 [[우럭]]이라고 알고 있는 바로 그 생선이다. 다만 독의 강도는 매우 약하다.] * ''[[볼락]]'' * [[탁자볼락]] * [[말락쏠치]] * [[퉁쏠치]][* 얕은 해안에서 살고, 피폭자에게 끔찍한 고통을 선사하는 독가시를 갖고 있으며 굉장한 수준의 위장력을 갖고 있어 매우 위험하다. 다행히 독 자체는 몇 시간 정도 지나면 분해되며 치명적이지는 않다.] * '''[[스톤피쉬]](쑤기미)'''[* [[돌고기]]와 다른 어종이다. 돌고기와는 다르게 이름 그대로 돌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맹독]]을 품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독을 가진 물고기로 유명하다.] * ''[[쏨뱅이]]'' === 내부에만 독이 있는 경우 === * [[꼬치고기속]] * [[대왕바리]] * [[턱자바리]] * [[잉어]][* 쓸개에 독이 있다.] * [[칠성장어]] * [[가아]] * [[강담돔]] * [[양쥐돔]] * 모든 퉁돔과 * [[적백퉁돔]] * 모든 학치목[* 피부 점액에 독이 있다.] * 복어목 어류 대다수[* 대부분의 [[가시복]], [[개복치]]와 [[쥐치]] 상당수는 독이 없다. 또한 복어는 외부에서 독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양식장 복어도 독이 없다.] * '''[[복어]]'''[* [[테트로도톡신]](TTX)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다.] * '''날개쥐치'''[* 펠리톡신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다. 복어의 독인 테트로도톡신보다 '''50배'''나 강력한 독이다.] * 일부 망둑어과 * [[돗돔]] * [[기름치]] * [[큰은대구]] * [[하늘비늘돔]] * [[장갱이]] * [[그린란드상어]] * [[퉁소상어]] * [[꼬리기름상어]] === 외부와 내부 모두 독이 있는 경우 === * 모든 [[장어|뱀장어목]][* 피부에서 분비하는 점액과 혈액에 독이 있다.] * [[뱀장어]] * [[붕장어]] * [[곰치]] * 두줄벤자리족 * [[황줄바리]] * [[두줄벤자리]] * [[거북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