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화새우과]][[분류:수산물]] ||<-2> '''{{{#fff {{{+1 도화새우}}}[br]Humpback shrimp}}}''' || ||<-2> [[파일:pandalus_hypsinotus.jpg|width=100%]] || || [[학명|'''{{{#000,#fff 학명}}}''']] || ''' ''Pandalus hypsinotus'' ''' Brandt, 1851 || ||<-2> '''{{{#fff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fff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아문''' ||[[갑각아문]](Crustace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연갑강]](Malacostrac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십각목]](Decapoda) || || '''하목''' ||[[생이하목]](Caride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도화새우과(Panda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도화새우속(''Pandal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도화새우'''(''P. hypsinotus'')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도화새우 || || '''[[영어]]''' ||Humpback shrimp[* "곱사등이새우".] || || '''[[일본어]]''' ||トヤマエビ[* "토야마새우".] || [youtube(0t9z6AoxD5o, width=480px, height=270px)] [목차] [clearfix] == 개요 == [[심해]]에 서식하는 도화새우과의 [[새우]]. 이름은 [[도화]], 곧 [[복숭아]]꽃에서 따왔다. [[독도새우]] 중 하나이며, [[울릉도]]에서는 참새우라고 불린다. 일본어로는 토야마에비, 일상에서 부를 땐 보탄에비(모란새우)라고 부른다.[* 정식명칭 모란새우는 nipponensis, 서식해역이 홋카이도~베링해, 밋밋한 배마디에 희고 붉은 점이 있으며, 도화새우는 hypsinotus로 거의 전세계의 심해 대륙붕에 서식하며 배마디에 적갈색의 줄무늬가 있다. 보탄에비로 부르게 된 이유는 편의상 그렇게 된 것이고, 구분해서 부르는 식당에서도 도화새우는 보탄에비, 모란새우는 혼(本)보탄에비라고 부른다.] == 상세 == 갑각길이 30 - 43 mm. 몸길이 130 - 190 mm. 갑각은 주황색의 바탕색에 붉은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이마뿔은 두흉갑보다 길고 위로 휘었으며, 끝자락이 희고 끝이 둘로 갈라져 있다. 이마뿔 뒤로 솓은 부분이 높고 명확하여 두흉갑 끝까지 이어지며 그 위로 작은 가시가 촘촘히 있다. 이마뿔 끝자락에는 가시가 없다. 두흉갑 좌우로 흰 반점이 여럿 나타난다. 자웅이숙이며, 수컷으로 태어나 자라면 암컷이 된다.[* 도화새우속 종들의 공통점이다.] 100 - 300 m 깊이에 서식하며 [[동해]], [[베링 해]], [[오호츠크해]], [[알레스카]] 근해에 분포한다. 다른 독도새우들과 마찬가지로 식용으로 주로 소비되는 고급 새우이다. 신선한 상태라면 회로 먹을 수 있는데, 단단하며 탱글한 절정의 식감을 자랑하며 맛 역시 단맛과 감칠맛이 강해 매우 훌륭한 편이다. 머리는 여타 새우들처럼 조리 전에 분리했다가 튀겨서 먹는다. [[독도새우]] 중에서 어획량이 가장 적고 값이 가장 비싸며 크기 역시 가장 크다. 같은 도화새우속의 [[물렁가시붉은새우]](꽃새우)와는 무늬 방향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몸길이 방향으로 무늬가 흐르면 물렁가시붉은새우, 몸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무늬가 흐르면 도화새우다. [[도널드 트럼프]]의 2017년 방한 당시 대접받은 만찬에 독도새우가 있었는데, 이 독도새우가 바로 도화새우였다. [[https://overseas.mofa.go.kr/us-ko/brd/m_4487/view.do?seq=1337358|#]] [[파일:조선우표_왕새우.jpg]] * 도화새우의 학명이 적힌 [[북한]]의 [[우표]]. 다만 왕새우는 북한에서 [[대하]]를 의미하며, 그림 역시 아무리 봐도 잘 익힌 대하다. 그것도 바닷속을 배경으로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