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12842> {{{#white '''{{{+1 도하 지하철}}}'''[br]مترو الدوحة[br]Doha Metro}}} || ||<-3> [[파일:도하 지하철 로고.svg|width=100%]] || ||<-2> '''개통일''' ||2019년 5월 8일 || ||<-2> '''영업 거리''' ||76km || ||<-2> '''노선 수''' ||3개 || ||<-2> '''역 수''' ||51개 || ||<-2> '''궤간''' ||1435㎜ [[표준궤]] || ||<-2> '''전기방식''' ||직류 750V || ||<-2> '''통행방향''' ||[[우측통행]]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B6_QJllEc4)] [[카타르]]의 수도 [[도하]]의 [[도시철도]]. 국영 철도회사인 Qatar Rail의 소유이며, 현재 레드 라인과 그린 라인, 골드 라인의 3개 노선이 있다.[* 노선 구성이 [[대구 도시철도]]와 유사하다.] 사용하는 차량은 일본 긴키차량에서 만들었다고 하며 전 노선에서 [[무인운전]]으로 운영된다. == 역사 == || [youtube(1Ul0n0YoP4I)] || || 카타르 도하 지하철 개통 역사 || == 노선 == [[파일:도하지하철노선도.png]] === 레드 라인 === [[2019년]] [[5월 8일]]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고, 동년 [[12월 10일]]에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으로 가는 지선을 포함한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레드 라인이 완전 개통되었다. [[2020년]] [[9월 2일]]에는 Legtaifiya 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한국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유사하게 하마드 공항행 열차와 Al Wakra 행 열차가 번갈아 다닌다. ||<-2> {{{#ffffff '''레드 라인'''}}} ||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 || || Lusail || || || Qatar University || || || Legtaifiya || || || Katara || || || Al Qassar || || || DECC || || || West Bay || || || Corniche || || || Al Bidda || 그린 라인 || || Msheireb || 그린 라인, 골드 라인 || || Al Doha Al Jadeda || || || Umm Ghuwailina || || || Al Matar Al Qadeem || || || Oqba Ibn Nafie ||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Hamad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1[br](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제1터미널) 방면 || || Free Zone || || || Ras Bu Fontas || || || Al Wakra || || ||<-2> {{{#ffffff '''레드 라인 지선'''}}} ||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 || || Oqba Ibn Nafie || 레드 라인 본선 || || Hamad International Airport Terminal 1[br](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제1터미널) || || === 그린 라인 === 2019년 12월 10일 개통했다. ||<-2> {{{#ffffff '''그린 라인'''}}} ||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 || || Al Riffa || || || Education City || || || Qatar National Library || || || Al Shaqab || || || Al Rayyan Al Qadeem || || || Al Messila || || || Hamad Hospital || || || The White Palace || || || Al Bidda || 레드 라인 || || Msheireb || 레드 라인, 골드 라인 || || Al Mansoura || || === 골드 라인 === 2019년 11월 21일 개통했다. ||<-2> {{{#ffffff '''골드 라인'''}}} ||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 || || Al Aziziya || || || Sport City || || || Al Waab || || || Al Sudan || || || Joaan || || || Al Sadd || || || Bin Mahmoud || || || Msheireb || 레드 라인, 그린 라인 || || Souq Waqif || || || Qatar National Museum || || || Ras Bu Abboud || || == 운임 및 좌석 제도 == [youtube(cH5IymNBxos)] 도하 지하철은 단일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어, 한 역을 가든 아홉 역을 가든 요금이 동일하다. 도하 지하철의 좌석은 한국처럼 자유석 제도이지만 요금에 따라 좌석에 차등을 두고 있다. 스탠더드, 패밀리, 골드로 나뉘고, 이 중 스탠더드는 한국 지하철과 유사하게 입석식 좌석으로 가장 많이 편성된 좌석이며 패밀리는 지하철 객차 맨 앞 또는 맨 뒤 칸에만 존재한다. 골드는 1등석이며 좌석에 팔걸이가 달려있고 시트가 좀 더 편하다. [[파일:도하지하철요금.png]] || 사용 기간 || 사용 기간 제한 있음[* 한국의 1회용 교통카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2> 무제한 사용 가능[* 사실상 교통카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 권종 || Limited Use || Standard[* 스탠더드/패밀리 등급만 탑승 가능] || goldclub[* 골드 등급만 탑승 가능] || || 편도 요금 || 스탠더드/패밀리 3 [[카타르 리얄|QR]][br]골드 15 QR || 2 QR || 10 QR || || 1일 요금 || 스탠더드/패밀리 9 QR[br]골드 45 QR || 6 QR || 30 QR || || 카드 가격 || - || 10 QR || 100 QR || 즉, Limited Use 1일권을 끊고 하루에 세 번 이상 지하철을 타면 본전은 뽑으며, 여행 기간이 길수록 스탠더드 카드가 더 유리할 수 있다. == 여담 == * 한국의 [[SK건설]]이 시공했다. * 차량은 일본에서 들여왔다. [[킨키차량]]에서 납품했고, [[미쓰비시전기]]의 전장품을 탑재했다고 한다. * 지하철 개통 이후 지하철역 주변을 잇는 새로운 형태의 버스 노선인 메트로링크 버스가 신설됐다. [[도하 버스]] 참조. [[분류:카타르의 도시철도]][[분류: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