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독소전쟁/전투]][[분류:1944년 전투]]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의 전투 목록(유럽 및 아프리카))] ||<-3> {{{+1 '''도펠코프 작전'''}}}[br]Operation Doppelkopf[br]Операция Двойная голова[br]Unternehmen Doppelkopf || ||<-3>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소전쟁|동부전선]]의 일부 || ||<-3> [[파일:도펠코프 작전.png|width=100%]]|| ||<-3> '''시기''' || ||<-3> [[1944년]] [[8월 16일]] ~ [[8월 27일]] || ||<-3> '''장소''' || ||<-3> 리가 서쪽 리가만 일대[br]샤울라이 근처 리투아니아 서부 || || '''교전국''' ||<^|1>[[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소비에트 연방]] ||<^|1>[[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나치 독일]]|| || '''지휘관''' ||<^|1>[[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width=23]] [[이반 바그라먄]],,(제1 발트 전선군 사령관),,||<^|1>[[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중부 집단군 사령관),,[br][[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에르하르트 라우스]],,(제3기갑군 사령관),, || ||<-3> '''결과''' || ||<-3> 독일군의 전술적 승리 || ||<-3> '''영향''' || ||<-3> 중부집단군과 북부집단군의 전선 연결 성공[br]소련군의 북부집단군 섬멸 실패[br]바그라티온 작전 종료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펠코프 작전은 랴지민 전투와 함께 독일군이 바그라티온 작전기에 소련군을 상대로 진행한 2개의 작전술적 반격 중 하나이다. 목표는 중부집단군과 북부집단군의 연속된 전선을 재구축하는것이었으며 리가에서 전선을 연결하는데는 성공했으나 전과 확대에 실패하며 독일군의 전술적 승리가 되었다.[* 다만, 전과확대는 히틀러가 원한거지 육군최고사령부는 생각도 안했으며 애초에 불가능했으니 전선 연결에 성공한 것 만으로도 엄청난 성과이긴 하다.] 랴지민 전투가 소련군의 폴란드 서부 진출을 막아내면서 중부 전구에서 소련군의 공세를 끝냈다면 도펠코프 작전은 북부집단군을 구해내면서 소련군의 차후 공세를 6주나 늦추는데 성공했다. == 전선의 상황 == == 전투 서열[* 전투에 참가한 부대만 작성함] == === 독일군 === * 중부집단군 ( 사령관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상급대장 ) * 제3기갑군 ( 사령관 : [[에르하르트 라우스]] 기갑대장 ) * 제39기갑군단 ( 사령관 : 디트리히 폰 자켄 기갑대장 ) * 제4기갑사단 * 제5기갑사단 * 제12기갑사단 * 스트라흐비츠 전투단[* 2개 기갑여단으로 구성] * 제40기갑군단 ( 사령관 :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기갑대장 ) * 제7기갑사단 * 제14기갑사단 * 기갑척탄병사단 "그로스도이칠란트" === 소련군[* 8월 1일 기준] === * 제1 발트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바그랴만 대장 ) * 제3근위기계화군단 * 제19전차군단 * 제2근위군 * 제11근위소총군단 * 제13근위소총군단 * 제54소총군단 * 제1전차군단 * 제6근위군 * 제2근위소총군단 * 제23근위소총군단 * 제103소총군단 * 제51군 * 제1근위소총군단 * 제10소총군단 * 제63소총군단 == 공세 준비 == 독일군은 공세를 위해 6개 기갑사단과 1개의 사단급 기갑전투단을 2개 기갑군단에 배속시켜 투입했다. 15일 기준으로 3기갑군이 보유하고 있던 기갑 전력은 다음과 같다. 아래 수치는 가동가능(단기수리/장기수리) 순이며 따라서 독일군은 공세 개시 당시 399대의 가동 가능한 전차/돌격포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추가로 215대의 단기간[* 2주 이내]에 수리 가능한 전차/돌격포를 포함해 총 722대를 보유중이었다. 여기에 해상으로 수송 되고 있던 기갑차량들까지 가세하면서 독일군의 기갑전력은 공세가 진행되면서 오히려 계속 증가했다. * 제4기갑사단 - 4호 전차 32(31/5), 5호 전차 15(23/9) * 제5기갑사단 - 5호 전차 24(10/10) * 제6기갑사단 - 4호 전차 26(18/7) * 제7기갑사단 - 5호 전차 19(25/18), 돌격포 5(0/1) * 제12기갑사단 - 4호 전차 25 * 그로스도이칠란트 기갑연대 1대대 - 5호 전차 30(15/3) * 그로스도이칠란트 기갑척탄병사단 - 4호 전차 7(1/0), 5호 전차 41(13/28), 6호 전차 B형 29(8/0), 돌격포 20(4/1) * "폰 베르터" 기갑척탄병 여단[* 총통 호위 대대에서 차출한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작전 종료후 해산되어 원 부대로 복귀한다. 나중에 총통 호위 여단으로 확대된다.] - 4호 전차 1(2/4), 돌격포 4(4/9) * 제510중전차대대 - 6호 전차 B형 13(27) * 군/군단 직할부대 - 돌격포 108(34/13) == 전개 == ==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