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코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도쿠시마현 제2구}}}}}}'''[br]{{{-1 {{{#ffffff 徳島県第2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Tokushima2.svg|width=100%]]}}}|| ||<-2><:>'''선거인 수'''||<-2><:>263,940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도쿠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나루토시]], [[요시노가와시]], [[아와시]], [[미마시]], [[미요시시(도쿠시마)|미요시시]], [[이타노군]], [[미마군]], [[미요시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야마구치 슌이치]]||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쿠시마현]]의 [[나루토시]], [[요시노가와시]], [[아와시]], [[미마시]], [[미요시시(도쿠시마)|미요시시]], [[이타노군]], [[미마군]], [[미요시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이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야마구치 슌이치]](山口俊一). 2013년 도쿠시마 3구가 폐지되면서 기존 선거구[* 나루토시, 마츠시게초, 키타지마초, 이타노초, 아이즈미초, 카미이타초, 히가시미요시초, 미마시 일부(당시에는 와키마치, 미마초로서 존속)]에 아와시, 츠루기초, 미요시시, 미마시 전체가 합쳐지게 되었다. 첫 소선거구제였던 41회 중원선에는 무난하게 자유민주당 야마구치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42회 중원선부터는 야당 후보도 석패율제 구제로 당선되는 등 접전지역이었고, 민주당의 우세였던 45회 총원선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다. 그러나 46회 선거부터는 자민당의 강세 지역이 되어서 여태까지 야마구치 의원이 당선되고 있다. == 역대 국회의원 ==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4><:>야마구치 슌이치||<|4><:>[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다카이 미호||<:>[include(틀:민주당(일본))]||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4><:>야마구치 슌이치||<|4><:>[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 역대 선거 결과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도쿠시마현 제2구|{{{#fff 도쿠시마현 제2구}}}]]}}}'''[br]{{{#fff 나루토시, 요시노가와시, 아와시, 미마시, 미요시시,[br]이타노군, 미마군, 미요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구치 슌이치''' || '''81,6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70.96%'''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구보 다카유키 || 25,726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2.37%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45]]]] || 후쿠야마 마사토시 || 7,671표 || 3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6.6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15,013표 ||<|2> '''투표율'''[br]50.99% || || 선거인 수 || 260,655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도쿠시마현 제2구|{{{#fff 도쿠시마현 제2구}}}]]}}}'''[br]{{{#fff 나루토시, 요시노가와시, 아와시, 미마시, 미요시시, 이타노군, 미마군, 미요시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마구치 슌이치''' || '''76,87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9.5%'''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나카노 마유미 || 43,473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33.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구보 다카유키 || 8,85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9%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260,655인 ||<|2> '''투표율'''[br]50.99% || || 유효표 || 129,203표 || ||<-10> {{{#ffffff '''49회 중원선 도쿠시마현 제2구 개표 결과'''}}} || || '''정당''' ||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입헌민주당(일본)|[[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45]]]]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fff 야마구치 슌이치}}}''' || '''{{{#fff 나카노 마유미}}}''' || '''{{{#fff 쿠보 타카유키}}}'''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 76,879[br] (59.50%)}}}''' || '''43,473[br] (33.64%)''' || '''8,851 [br] (6.85%)''' || '''+ 33,406 [br] (△25.86)''' || '''129,203 [br] (50.99%)''' || || '''나루토시''' || {{{#D7003A 58.93%}}} || 33.23% || 7.84% || △25.70 || 47.59 || || '''요시노가와시''' || {{{#D9009A 52.46%}}} || 39.60% || 7.93% || △12.86 || 52.46 || || '''아와시''' || {{{#D7003A 59.93%}}} || 33.87% || 6.21% || △26.06 || 47.09 || || '''미마시''' || {{{#D7003A 64.20%}}} || 32.13% || 3.67% || △32.07 || 54.89 || || '''미요시시'''[* 야마구치 슌이치 의원의 고향] || {{{#D7003A '''71.54%'''}}} || 24.17% || 4.30% || △47.37 || 58.95 || || '''마츠시게초''' || {{{#D7003A 61.17%}}} || 32.62% || 6.20% || △4.54 || 47.89 || || '''키타지마초''' || {{{#D7003A 52.63%}}} || '''40.53%''' || 6.86% || △12.10 || 51.26 || || '''아이즈미초''' || {{{#D7003A 53.56%}}} || 37.19% || 9.25% || △16.37 || 48.14 || || '''이타노초''' || {{{#D7003A 52.85%}}} || 34.97% || '''12.19%''' || △17.88 || 48.87 || || '''카미이타초''' || {{{#D7003A 56.65%}}} || 34.67% || 8.66% || △21.98 || 47.08 || || '''츠루기초''' || {{{#D7003A 70.90%}}} || 24.00% || 5.10% || △46.9 || '''61.61''' || || '''히가시미요시초''' || {{{#D7003A 67.37%}}} || 28.31% || 4.32% || △39.06 || 56.58 || ||<-10> '''비례대표 결과'''[* [[https://www.soumu.go.jp/senkyo/senkyo_s/data/shugiin49/shikuchouson_32.html|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 || || '''정당'''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NHK당)] || || '''득표수[br](득표율)''' || '''4,983.07[br] (3.89%)''' || '''7,867[br] (6.15%)''' || {{{#ffffff '''46,197[br](36.09%)'''}}} || '''4,909[br] (3.84%)''' || '''18,660[br] (14.58%)''' || '''1,480[br] (1.16%)''' || '''22,170.918[br] (17.74%)''' || '''19,465[br] (15.21%)''' || '''1,731[br](1.35%)''' || ||<-10> '''시 지역''' || || '''나루토시''' || 4.22% || 5.91% || {{{#D7003A 35.09%}}} || 3.94% || 17.54% || 1.11% || 16.99% || 13.69% || 1.50% || || '''요시노가와시''' || 3.76% || 7.06% || {{{#D7003A 33.21%}}} || 3.66% || 14.18% || 1.20% || '''20.41%''' || 15.22% || 1.29% || || '''아와시''' || 4.01% || 6.23% || {{{#D7003A 35.30%}}} || 3.82% || 14.62% || 1.07% || 18.38% || 15.31% || 1.26% || || '''미마시''' || 3.60% || 3.85% || {{{#D7003A 37.78%}}} || 3.41% || 12.07% || 1.38% || 18.54% || 18.32% || 1.05% || || '''미요시시'''[* 공명당은 2,084표를 받았고 입민당은 안분표로 인한 2,084.098표를 받았다.] || 3.82% || 5.46% || {{{#D7003A 42.91%}}} || 3.51% || 7.57% || 1.43% || 17.10% || 17.10% || 1.09% || ||<-10> '''정 지역''' || || '''마츠시게초''' || 3.36% || 5.29% || {{{#D7003A 37.67%}}} || 3.67% || 17.54% || 1.15% || 15.69% || 13.74% || '''1.88%''' || || '''키타지마초''' || 4.40% || 5.18% || {{{#D7003A 34.69%}}} || 3.85% || '''18.28%''' || 0.89% || 18.29% || 13.05% || 1.36% || || '''아이즈미초''' || '''4.43%''' || 7.23% || {{{#D9009A 31.77%}}} || '''5.03%''' || 17.92% || 0.98% || 16.42% || 14.37% || 1.84% || || '''이타노초''' || 3.58% || '''11.35%''' || {{{#D7003A 32.29%}}} || 4.33% || 15.35% || 1.16% || 16.76% || 13.38% || 1.82% || || '''카미이타초''' || 3.63% || 8.04% || {{{#D7003A 35.05%}}} || 3.48% || 15.27% || 1.12% || 18.34% || 13.92% || 1.15% || || '''츠루기초''' || 2.62% || 5.17% || {{{#D7003A '''44.12%'''}}} || 3.16% || 9.50% || 0.94% || 14.59% || '''19.24%''' || 0.66% || || '''히가시미요시초''' || 3.48% || 5.09% || {{{#D7003A 40.94%}}} || 3.37% || 10.83% || '''1.35%''' || 17.61% || 16.32% || 1.01% || 야권세가 제법 있는 키타지마초, 아이즈미초, 이타노초 등에서도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야마구치 슌이치 후보가 이기면서 그는 이 지역구에서만 8선을 하게 되었다. 입헌민주당 나카노 마유미 후보는 이후 치러진 키타지마초 정의회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서는 야마구치 슌이치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낙선 가능성이 그닥 높진 않으나 2023년 2월 28일 부로 73세가 되었으므로 자민당 당헌에 따라 석패율제 비례대표 부활이 불가능하다.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서는 치과기공업에 종사해 온 호리 사토시 후보가 출마한다. [[일본공산당|공산당]]에서는 하마 교세이 후보가 출마한다. [[분류:선거구/일본]][[분류:도쿠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