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메트로의 전동차)] ||<-3> [[도쿄메트로|[[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9c5e31 '''도쿄메트로 {{{+1 10000계 전동차}}}'''[br]{{{-1 Tokyo Metro}}} 10000 series[br]東京メトロ 10000系 電車}}} ||}}} || ||<-3> [[파일:Tokyo-Metro-Series10000_10102.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용도''' ||<-2> 도시,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10량 1편성[* 8량으로 운행이 가능하나, 평소에는 10량으로 운행한다. 도요코선에 후쿠토신선 직결 전에 잠시 7000계와 같이 도요코선에서 8량으로 운행했던 적이 있으며, 현재는 전 차량 10량으로 환원.] || ||<|5> '''운행노선''' || [[도쿄메트로]] ||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width=16]]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9c5e31 후쿠토신선}}}]],[br][[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width=16]]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d7c447 유라쿠초선}}}]] || || [[도부 철도]] || [[도부 토죠 본선|[[파일:Tobu-TJ.svg|width=17]] {{{#00428e 토죠 본선}}}]] || || [[세이부 철도]] || [[세이부 유라쿠초선|[[파일:Seibu-SI.svg|width=17]]{{{#ef7a00,#fe8a10 유라쿠초선}}}]],[br][[세이부 이케부쿠로선|[[파일:Seibu-SI.svg|width=17]]{{{#ef7a00,#fe8a10 이케부쿠로선}}}]] || || [[도큐 전철]] || [[도큐 도요코선|[[파일:TK-TY.svg|width=16]]{{{#da0042,#ff2466 도요코선}}}]],[br][[도큐 신요코하마선|[[파일:TK-SH.svg|width=16]]{{{#8e65a9 신요코하마선}}}]][* 도큐/소테츠 경계역인 [[신요코하마역]]까지 운행] || || [[요코하마 고속철도|요코하마[br]고속철도]] ||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파일:MinaMira_SM.svg|width=17]] [[파일:YMRC-MM.svg|width=17]] {{{#00489a 미나토미라이선}}}]] || || '''도입시기''' ||<-2> [[2006년]] ~ [[2010년]] || || '''제작사''' ||<-2> [[히타치 제작소 카사도 사업소|[[파일:히타치 제작소 로고.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도쿄메트로|[[파일:도쿄메트로 로고.svg|width=10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06년]] ~ 현재 || ||<-3> {{{#black,#e5e5e5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선두차 20,470㎜[br]중간차 20,000㎜ || || '''전폭''' ||<-2> 2,850㎜ || || '''전고''' ||<-2> 4,045㎜[br]팬터그래프 부착차량 4,080㎜ || || '''궤간''' ||<-2> 1,067㎜ || || '''차중''' ||<-2> 24.2~34.2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열차자동제어장치|CS-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 --[[CBTC]]--[* [[2023년]] 도입 예정][* [[도쿄메트로]]][br]ATC-P[*도요코선/미나토미라이선][br]세이부식 [[열차자동정지장치|ATS]][*이케부쿠로선][br]TSP[* 도부형 ATS], T-DATC[*토죠본선] || || '''제어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IGBT]] 2레벨 인버터 제어 || ||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기어비''' ||<-2> 14:87 || || '''제동방식''' ||<-2> ATC연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제동 포함] || || '''주전동기 출력''' ||<-2> 165kW || || '''편성출력''' ||<-2> 3,300kW || ||<|2> '''최고속도''' || 영업 || 80㎞/h([[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br]110㎞/h([[도큐 도요코선]],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미나토미라이선]])[br]105㎞/h([[세이부 이케부쿠로선]])[br]100㎞/h([[도부 토죠 본선]]) || || 설계 || 120㎞/h || || '''가속도''' ||<-2> 3.3㎞/h/s || ||<|2>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MT 비''' ||<-2> 5M5T ||}}}}}}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의 운행횟수 증가 및 [[도쿄메트로 7000계 전동차|7000계]]의 개조에 따른 예비차를 확보하고, 노후된 구 7000계를 교체하기 위해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 개통에 맞추어 2006년 9월부터 영업운전을 시작한 차량으로, 구 [[제도고속도교통영단]]이 도쿄메트로로 [[민영화]]된 이후 최초로 도입한 전동차이다. 민영화 직전까지 도입된 차량들은 모두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숫자+계로 불렸으며[* 이 타이틀을 달고 가장 끝물에 도입된 차량은 난보쿠선용의 [[도쿄메트로 9000계 전동차|영단 9000계]]와 [[도쿄메트로 한조몬선|한조몬선]]용 [[도쿄메트로 08계 전동차|영단 08계]]이다.], 이 이후 차량들은 모두 '''[[도쿄메트로|메트로]]'''+숫자+계로 불리게 된다. 2013년 3월부터는 시작된 5자직통용 우등열차 등급 및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 운용에 모두 쓰이고 있다. 총 36편성 360량[* 10101F ~ 10136F]이 재적중. 어떻게 보면 이름만 새로운 규정에 따라 지어졌을 뿐 1983년 01계가 처음 등장한 이래로 0X 시리즈의 개발 계보를 한차원 더 도약시키는 발전체로도 볼 수 있다. N05계 11차차를 베이스로 삼은 08계에서 쌓은 노하우와 N05계의 최종진화형인(...) 13차차를 베이스로 깔고 만들어진 차량이기 때문. 그리고 이 차량과 05계를 싸그리 집대성하여 궁극체화한 [[도쿄메트로 15000계 전동차|15000계]] 전동차가 제작되었다. == 특징 == 본 차량 역시 [[히타치 제작소|히타치]]가 보유한 [[A-train(히타치)|A-train]] 기술의 산물로,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05계]] 13차차를 기반으로 하여 여기에 충돌/추돌에 따른 피해를 경감하는 설계구조를 추가로 적용하여 생산되었다. 또한 전두부는 [[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마루노우치선]]의 옛 [[영단 500형 전동차|300형 전동차]]를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졌는데, 정면에서 보면 납득이 가는 부분이다. 워낙 건설비가 폭등하던 시기에 삽을 뜬 후쿠토신선의 눈물겨운 원가 절감 노력의 일환으로 8량/10량으로 운행하는 대형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열차자동운전장치|ATO]] 및 [[스크린도어|홈도어]]와 연계되는 1인승무 대응 설비가 본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의 건설비 이야기에 대해서는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후쿠토신선]] 문서를 참조.] 한국에서는 기본적으로 ATO와 원맨운전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다지 이상하게 느껴지지 않지만, 일본에서는 단편성 형태의 꼬마열차가 아닌 이상 왠만하면 차장이 반드시 탑승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감시하고 안내방송까지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돋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다[* 한국도 10량편성을 1인승무로 운행하는 사례는 없다.]. --한국에서는 ATO의 특징 중 하나인 출발버튼 하나만 누르면 된다는 걸 들어 버튼기관사라는 비아냥을 사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한국은 서울 1 ~ 4호선을 제외한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 노선에서 출입문 개폐부터 다음 정차역까지 버튼 하나만 누르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일본의 ATO는 O(Operation)에 해당하는 역할을 차장대체용으로만 사용하는 ATC 방식으로 운영하는 노선과 한국에서 볼 수 있는 --버튼기관사 혹은 완전무인운전--Full 혹은 Semi-ATO의 개념 혹은 이를 채용한 노선이 모두 존재한다.[[http://ja.wikipedia.org/wiki/自動列車運転装置|참고.]]] 이후 ATO는 [[도쿄메트로 난보쿠선|난보쿠선]] 등지에도 설치되어 상당히 재미를 보고 있다. [[도큐 전철]]과 직통하는 노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형 T자형 원핸들 마스콘을 채용한 차량이며[* 하지만 꼭 도큐의 영향을 받는 노선에 적용되는 것만은 아니라서, [[도쿄메트로 02계 전동차|02계]]와 같은 예외도 있다. 그러나 도큐와 직통하는 노선의 차량들은 투핸들 형태의 구형차량이 아니면 모두 원핸들 T자 마스콘이다(...).], 운전실의 일부 기기는 한조몬선의 [[도쿄메트로 08계 전동차|08계]]의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도입 당시의 시기를 기준으로 도쿄메트로 차량 중에서는 최초로 LCD 모니터식의 행선표시기를 채용했다. 또한 2023년 3월 개통된 [[도큐 신요코하마선]]과 직통운행을 할 예정이다.[* 소테츠 구간은 [[소테츠 20000계 전동차|소테츠 차량]]과 [[도큐 5000계 전동차|도큐 차량]]만 입선한다.] 1~5편성에 한해서는 8량 편성으로 재조성하기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있으며[* 이 5개 편성에 한해서는 3호차와 4호차, 5호차와 6호차의 연결기가 일반 연결기이다. 그 외 차량들은 모두 반영구 연결기] 따라서 2012년에는 직통에 앞서서 3~5편성이 8량화된 상태로 도큐 도요코선 영업운전을 했었다. 그래서 지상 시부야역에서 이 열차가 보였던 게 바로 이 때문. 이들은 가끔 [[도쿄메트로 7000계 전동차|7000계]]나 [[도쿄메트로 17000계 전동차|17000계]] 8량편성이 검수 등의 이유로 부족해지면 가끔 8량 편성으로 운행을 나올 때가 있는데 몇년에 1번 정도 있는 일이라 보기가 쉽지는 않다. 2016년부터 외부 행선판이 풀컬러 LED로 교체되고 있다. == 여담 == * 본 차량이 등장하면서 원래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용으로 써먹으려고 생산한 [[도쿄메트로 07계 전동차|07계]]가 괴짜스러운 도어 간격 때문에 홈도어 대응이 불가능해지면서 [[도쿄메트로 도자이선|도자이선]]으로 쫓겨나게 된 계기가 되었다. --07계 [[지못미]](...).-- * 온갖 공공시설물을 박살내고 다니는 [[명탐정 코난]]을 [[http://twitpic.com/a0q1ue|피해가지 못 했다.]] [[명탐정 코난: 침묵의 15분|침묵의 15분]]에서 동도선 전동차로 등장, 철도-도로 복합 터널 통과 중 [[범인]]의 의한 터널 폭파로 인해 아래에 있던 도로 터널로 떨어져 돌진한다.[* 이후 폭발로 다른 곳으로 철도차량이 돌진을 하거나 구르는 예는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에서 등장한다.] * [[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유라쿠초선]]을 활용한 기존의 철도 시설을 활용한 화물 수송 실증 실험을 한다. 2016년 9, 10월에 총 10회 정도 운행 계획을 가지고 있다.[[http://news.mynavi.jp/news/2016/08/29/311/|#]] *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후쿠오카시 교통국 3000계 전동차|3000계]]와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의 [[베이징시 지하철 운영 SFM04형 전동차|SFM04형]]과 닮았다. 실제로 세 차량 모두 [[독일]]의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가 디자인하였다. * 이외에도 전면부가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를 묘하게 닯았다 == 기타 == * [[주식회사 관수금속|KATO]]에서 [[철도 모형]]화 되었다. [[https://www.katomodels.com/product/n/metro_10000kei_y_f|#]]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전동차]] * [[도쿄메트로]] * [[A-train(히타치)|A-train]] * [[도쿄메트로 05계·N05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5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6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7000계 전동차]] * [[도쿄메트로 18000계 전동차]] * [[도부 50000계 전동차]] * [[소테츠 20000계 전동차]]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도쿄메트로]][[분류:전동차]][[분류:2006년 출시]][[분류:2010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