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쿄도 교통국의 전동차)] ||<-3> [[도쿄도 교통국|[[파일:도쿄도 교통국 로고.svg|height=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ec6e65 '''도쿄도 교통국 {{{+1 5500형 전동차}}}'''[br]{{{-1 Toei}}} 5500 series[br]東京都交通局 5500形 電車}}} ||}}} || ||<-3> [[파일:Toei-Type5522-1.jpg|width=100%]] || ||<-3>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2> 8량 1편성 || ||<|4> '''운행노선''' || [[도에이 지하철]] ||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width=16]] [[도에이 아사쿠사선|{{{#ec6e65 도에이 아사쿠사선}}}]] || || [[케이큐 전철]] || [[파일:Keikyu-KK.svg|width=16]] [[케이큐 본선|{{{#00bfff 본선}}}]], [[케이큐 쿠리하마선|{{{#00bfff 쿠리하마선}}}]],[br][[케이큐 공항선|{{{#00bfff 공항선}}}]], [[케이큐 즈시선|{{{#00bfff 즈시선}}}]] '''직통운전''' || || [[케이세이 전철]] || [[파일:KS-blue.svg|width=16]] [[케이세이 오시아게선|{{{#005aaa 오시아게선}}}]], [[케이세이 본선|{{{#005aaa 본선}}}]][br][[파일:KS-NAL.svg|width=16]] [[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ff8620 나리타 공항선}}}]] '''직통운전''' || || [[호쿠소 철도]] || [[파일:Hoku-HS.svg|width=16]]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0046b0 호쿠소선}}}]] '''직통운전''' || || '''도입년도''' ||<-2> [[2017년]] ~[[2021년]] || || '''제작회사''' ||<-2> [[종합차량제작소|[[파일:JTREC.svg|width=130]]]] || || '''소유기관''' ||<|2><-2> [[도쿄도 교통국|[[파일:도쿄도 교통국 로고.svg|width=200]]]]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2> [[2018년]] ~ 현재 || ||<-3> {{{#000,#fff '''차량 제원'''}}}[br]{{{#!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2> 18,000㎜ || || '''전폭''' ||<-2> 2,760㎜ || || '''전고''' ||<-2> 4,036㎜ || || '''궤간''' ||<-2> 1,435㎜ || || '''차중''' ||<-2> 28.5~33.6t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2> C-[[열차자동정지장치|ATS]] || || '''제어방식''' ||<-2> [[미쓰비시전기|미쓰비시]]제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Full SiC || || '''동력장치''' ||<-2>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기어비''' ||<-2> 83:14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순전기 제동 포함] || || '''주전동기 출력''' ||<-2> 155kW || ||<|2> '''최고속도''' || 영업 || 120㎞/h || || 설계 || 130㎞/h || || '''가속도''' ||<-2> 3.3㎞/h/s || ||<|2> '''감속도''' || 상용 || 4.0㎞/h/s || || 비상 || 4.5㎞/h/s || || '''MT 비''' ||<-2> 6M2T ||}}}}}} || [목차] || [youtube(31_8LlLrfbI)]|| || {{{#ec6e65 PV}}} || [clearfix] == 개요 == >'''日本らしさとスピード感が伝わる車両''' >'''(일본다움과 스피드감이 전해지는 차량)'''[* 일본다움이라는 컨셉은 전면부에 집중적으로 반영되었다. [[가부키]]에 사용되는 가면에 영감을 얻어 디자인되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kotsu.metro.tokyo.jp/sub_p_20161206_01.jpg|width=800]] 5500형 외부/실내 조감도 [[도쿄도 교통국 5300형 전동차]] 대체용으로 제작된 전동차이다. [[JR 동일본]] [[E235계 전동차]]처럼 [[sustina]]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전체적인 사양은 E235계와 비슷하지만 표준궤 대차를 사용하며 고속 주행을 위해 일부 부품이 개량되었다. 차체 소재는 [[도쿄도 교통국 5300형 전동차|5300형]]의 알루미늄에서 스테인리스 스틸로 변경되었다. 2017년에 시제 1편성이 처음 도입된 이후, 2021년 10월 기준 전 편성(총 27편성)이 도입되어 운행중이다. 2020년이 아사쿠사선 개업 60주년에 [[2020 도쿄 올림픽|도쿄 올림픽]]이 개최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 대대적인 리뉴얼이 예정되어 있다. 2018년 6월 30일부터 니시마고메~센가쿠지 구간만 운행하기 시작했다. 8월 말부터는 케이세이선 입선을 시작했고 9월에는 케이큐선 운용을 시작했다. [[도에이 신주쿠선]] [[도쿄도 교통국 10-300형 전동차|10-300형 전동차]]와 같이 JR 차량을 기반으로 만든 것이라 도어 차임도 기존 차량과 케이큐, 케이세이, 호쿠소와 다르게[* 5500형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아사쿠사선 관련 회사가 모두 같은 도어 차임을 사용했었다.] JR과 같은 것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특이하게도 케이세이선의 차내 방송, 케이큐선의 차내 영어방송 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직통 노선에서도 자동 방송을 사용한다. 이는 케이큐, 도에이, 케이세이, 호쿠소 차량을 통틀어서 두번째이다.[* 과거에 [[치바 뉴타운 철도 9100형 전동차|호쿠소 9100형]]이 호쿠소선, 케이세이선, 도영선, 케이큐선까지 모두 자동방송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사용중지] 특히 액세스특급 안내방송은 최근 사용시작한 타블렛 방송이 아니라 케이세이 3000형처럼 ROM 방송이다. 케이큐선,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세이선 전동차 중 최초로 전기식 도어 엔진[* 기반이 된 E235계와 동일 제품을 사용한다. 이는 도큐 2020/6020계에서도 사용한다.]을 사용한 차량이다. 미쓰비시제 SiC 인버터를 채용했지만 [[E235계 전동차|E235계]]나 [[도큐 2020계 전동차|도큐 2020계]], [[도큐 6020계 전동차|6020계]]처럼 심심한 구동음이 아닌 [[도쿄도 교통국 6300형 전동차|도영 6300형]], [[메이테츠 2200계 전동차|메이테츠 2200계]],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서울교통공사 6000호대]]처럼 단이 급격히 올라가는 일명 '회오리 인버터(竜巻インバータ)'[* 6호선에서 귀신 구동음으로 불리는 그 인버터 맞다.]라 불리는 구동음이 난다. 구동음이 도요전기제 IGBT보다 더 날카로운 듯한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 운전대는 4사 직통 유일의 글래스 콕핏으로 도입되었다.[* 케이큐와 케이세이는 신차도 기존 운전대와 별 차이가 없다.] 마스콘 단수는 P5~B7로, 5300형과 다르다.[* 5300형은 P4~B5, 케이큐와 케이세이의 기존 차량은 P5~B5이다.] 5300형 특유의 P2 정속기능은 그대로 남아있다. 참고로 케이큐와 케이세이도 신차 출고 시 P5~B7 마스콘으로 변경하여 출고하고 있다. 현장에서의 평가가 무척 좋은데, 가속 성능이 무려 [[케이큐 1000형 전동차|케이큐 1000형]]을 '''상회하고''' 제동력도 [[케이세이 3000형 전동차#s-2|케이세이 3000형]][* 기존 4사 직통 차량 중 제동력이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된다.]과 동급 이상으로 뛰어나다. 덕분에 이 차량을 운전할때는 평소보다 역에 빠르게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신형 차량답게 공전도 심하지 않고, 운전대도 높아져 시야도 좋아졌다. 도영 차량답게[* 케이큐, 케이세이와는 달리 운전실 뒤 좌석이 없다.] 승무원실 자체도 꽤 넓은 편. 다만 초기에는 글래스 콕핏 특유의 속도계 움직임이 다소 어색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 운용 == [[케이큐]] 본선, 공항선, 즈시선, 쿠리하마선, 케이세이 전철 본선, 오시아게선, 나리타 공항선, 호쿠소 철도와의 직결 운행에 투입할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초반에는 니시마고메~센가쿠지 보통만 운행하였으나 천천히 운행구간을 늘려 현재는 5300형과 같은 구간을 운행중이다. 쾌특 운용에도 충당은 되지만 아직은 5300형에 맞춘 다이아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110km/h의 속도 제한이 걸려있다. 다만 설계최고속도 130km/h급의 우월한 스펙을 살려서 지연 회복시 110km/h 제한을 풀고 120km/h까지 내곤 한다. 2021년 여름에 [[나리타 공항선]]에서 시운전을 개시했고[* 제작 당시부터 120km/h 운행은 물론, 안내기까지 모두 액세스 특급에 대응되어 있었다.], 운용 개시 3년만인 2022년 2월 26일부터 액세스 특급 운용을 개시했다. 보통 첫 투입은 간보기로 조금씩 투입하지만, 3년간 운용하며 성능이 충분히 검증되었는지 한번에 '''평일 케이큐 차량 운용을 싸그리 갈아버렸다'''. 따라서 케이큐 차량의 액세스 특급 운용은 휴일에만 볼 수 있게 되며, 평일에는 이 차량과 케이세이 차량이 반씩 나눠서 운행하게 되었다. 회송 및 시운전 열차로 [[케이세이우에노역]]에 2회 입선한적 있지만, 영업 운전 계획은 아직 없다.[* 2001년까지는 5300형 및 케이큐 차량도 케이세이우에노 방면 정규 운용이 있었다.] == 여담 == 전면부의 형상이 [[E353계 전동차]], [[플레이스테이션 5]]와 닮았다. 포폰데타(ポポンデッタ)[* 철도모형 매장으로도 유명한 브랜드. 최근에는 철도 모형도 자체적으로 생산한다.]에서 [[철도 모형]]화되었다. 다만 물량이 적어 구하기 매우 힘들다. [[https://maker.popondetta.com/maker/?p=981|#]] == 사건사고 == 2023년 6월 5일 오후 4시 경, 마고메 차량사업소 구내에서 5507호[* 선두차 5507-8]가 탈선했다.[[https://2nd-train.net/topics/article/47786/|#]]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일본의 철도 차량 목록]] * [[도쿄도 교통국]] * [[전동차]] * [[sustina]] * [[E235계 전동차]] * [[도큐 2020계 전동차]] * [[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 - 3152편성부터 제작되는 전동차들은 5500형과 제작사가 J-TREC으로 같다. 그러나 기존 일본차량제조 제작분과 단일화로 인해 E235계 베이스는 아니다. [[분류:일본의 철도차량]][[분류:도에이 지하철]][[분류:전동차]][[분류:2017년 출시]][[분류:2021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