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f,#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ru 도쿄 테디베어.png|width=100%]]}}} || ||<-3>
{{{#ffffff '''{{{+2 [ruby(東京, ruby=とうきょう)]テディベア}}}'''[br]Tokyo Teddy Bear | 도쿄 테디베어}}} || || '''가수''' ||<-2> [[카가미네 린]] || || '''작곡가''' ||<|3><-2> [[Neru]] || || '''작사가'''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2><-2>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시즈(일러스트레이터)|[[파일:시즈로고B.png|width=80]]]]}}} || || '''영상 제작''' || || '''페이지''' ||<-2> [[http://www.nicovideo.jp/watch/sm15308214|[[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watch?v=eSI7RsjZy1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 '''투고일''' ||<-2> 2011년 8월 14일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br][[VOCALOID 전설입성]] || ||<|2> '''노래방'''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 43503 ||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height=21]]]] || 273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생 따위 의자 뺏기 게임.」''''' '''[ruby(도쿄 테디베어, ruby=東京テディベア)]'''는 [[Neru]]가 2011년 8월 14일에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카가미네 린]]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제 203회 [[주간 VOCALOID 랭킹]] 1위를 달성하였다. === 설명 === [[록 음악]] 계열에서 우수한 린의 장점을 잘 이끌어내고 있으며 높은 BPM과 하드한 멜로디, 그리고 중독성 높은 후렴 및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투고 당시 큰 화제를 모은 곡이다. 사실상 Neru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 [[벚꽃의 전야]]와 비슷한 플롯을 가지고 완전 극과 극으로 반대되는 곡을 만들어냈다.[* 벚꽃의 전야가 긍정도 만빵이라면 이 작품은 비관의 극이다.] [[야마하]]의 산하 레코드 회사인 YAMAHA MUSIC COMMUNICATIONS CO., LTD.에서 2012년 6월 27일에 발매한 VOCALOUD 00에 이어 2014년 3월 12일에 발매한 VOCALOUD 01 - Breaking of the Emotion -에 [[우츠P]]가 어레인지한 도쿄 테디베어가 수록되어 있다. 차이점은 1절 후렴이 끝난 후반부에 [[카가미네 린]]의 목소리가 스크리밍 보이스로 되어있다는 점. [[EXIT TUNES PRESENTS Vocalocluster feat. 하츠네 미쿠]]에 수록되었다. 2012년 6월 [[금영엔터테인먼트]]에 [[VOCALOID 오리지널 곡/노래방 수록 목록|등록]]되었다. 번호는 43503번. [[TJ미디어]]에서도 후에 등록. 27324번. 최고음은 '''3옥타브 라♯(A♯5)'''.[* 変われ'''ない'''(3옥솔♯/G♯5)の? 飼われ'''たい'''(3옥솔♯/G♯5)の? 何も無い? '''こん'''(3옥라♯/A♯5)なのボクじゃない! 부분.] 어째선지 일부 언더테일 팬덤 쪽에서 이 곡과 [[메갈로바니아]]를 섞은 '도쿄바니아'가 유명하다. 도쿄바니아는 주로 잉크샌즈의 테마곡으로 엮이기도 한다.[* 잉크샌즈 파이트라는 2차창작 게임에서 잉크샌즈의 테마곡으로 해당 곡이 사용되어서 그렇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장 유튜브만 봐도 잉크샌즈 브금이라는 제목으로 노래만 긁어온 영상들이 다량이다.] === 달성 기록 === || * 2011년 8월 23일에 [[VOCALOID 전당입성]] * 2012년 6월 20일에 [[VOCALOID 전설입성]] * 2014년 5월 24일에 200만 재생 달성 * 2016년 11월 24일에 300만 재생 달성 * 2019년 7월 14일에 400만 재생 달성 * 2022년 6월 22일에 500만 재생 달성||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sm15308214, width=640, height=360)]}}} || || 【카가미네 린】 도쿄 테디베어 【오리지널 곡 PV 포함】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SI7RsjZy1E, width=640, height=360)]}}} || || Neru - 도쿄 테디베어(Tokyo Teddy Bear) feat. Kagamine Rin || == 미디어 믹스 == === 공연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7EZXyqMgtI, width=640, height=360)]}}} || || 【카가미네 린】 도쿄 테디베어 (Tokyo Teddy Bear) 【매지컬 미라이 2013】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3vkaXG08D4, width=640, height=360)]}}} || || 【카가미네 린】 도쿄 테디베어 (Tokyo Teddy Bear) 【매지컬 미라이 2014】 || === [[리듬 게임]] 수록 === ==== [[GROOVE COASTER]] ====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곡목록=보컬로이드™ ,곡명=東京テディベア ,리뉴얼= ,작곡표기=Neru ,작곡링크=Neru ,작곡틈=Neru ,작곡표기2=鏡音リン ,작곡링크2=鏡音リン ,버전3EX= ,폴더명=보컬로이드™ ,BPM=204 ,SIMPLE레벨=3 ,NORMAL레벨=5 ,HARD레벨=8 ,SIMPLE노트수=235 ,NORMAL노트수=419 ,HARD노트수=474 ,SIMPLE애드립= ,NORMAL애드립= ,HARD애드립= ,SIMPLE체인=1\,415 ,NORMAL체인=1\,875 ,HARD체인=2\,392 ,주소=E0XWHxarIck ,퍼펙트= )]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신 태고의 달인]] ==== [include(틀:태고의 달인 8렙 최상위)] ||<-999> 東京テディベア[br]Neru feat.鏡音リン || ||<-3> [[BPM]] ||<-999> 204 || ||<-999> ver. YELLOW 기준 || ||<|2> 난이도 || 간단 || 보통 || 어려움 || 오니 || || {{{#f66f05 4}}} || {{{#green 6}}} || {{{#002040 6}}} || {{{#purple 8}}} || || 노트 수 || {{{#f66f05 226}}} || {{{#green 339}}} || {{{#002040 506}}} || {{{#purple 797}}} || || 수록 버전 ||<-999>NAC · Wii U3 || || 비고 ||<-5>RED [[단위도장]] 7단 (오니) || ===== 오니 ===== [youtube(2HdJrkuZ32E)] 204의 BPM, 797의 물량, 그리고 어려움 이하의 난이도보다 빠른 스크롤 속도가 맞물려서 8레벨 최상위 내지는 지뢰곡 수준. 거의 9레벨 패턴 찍어놓고 8레벨이라고 우기는 정도에 가깝다. RED 버전에서는 일반적으로 9렙이 있어야할 '''7단의 마지막곡'''으로도 채용되었다.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스크롤 속도가 빨라지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2 ||<:>6 ||<:>8 || ||<:>노트 수||<:>136 ||<:>358 ||<:>536 || ||<:>BPM||<-3><:>204 ||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255258> [[유비트 애비뉴|{{{#!html 유비트 애비뉴}}}]] {{{#FFFFFF (2022.08.03)}}} || ||<:>모바일||<-3><:> 미수록 || ||<:>플러스 모드||<-3><:>ニコニコ・ミュージック pack 04 ||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crudLc3RRw)] EXT 채보 영상 [youtube(2H_lIQg03ZQ)] EXT EXC 영상 [[유비트 플러스]]에서 ニコニコ・ミュージック pack 04에 수록. 아케이드에서는 [[유비트 애비뉴]]에 수록되었다. 아케이드로 이식되면서 9레벨에서 8레벨로 강등되었다.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 앨범아트 |
[[파일:mix_ac_052.jpg|width=100%]]||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 시리즈 최초 수록.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Arcade Future Tone]]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Future Tone]] *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디바 MEGA39's]] [youtube(8rC5R5_M7Uo)] *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 MEGA39's+]] ==== [[D4DJ Groovy Mix]] ====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4+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1 {{{#4b0082,#violet 東}}}京テディベア}}}[br]도쿄 테디베어{{{#!wiki style="margin:-9px -10px auto;margin-bottom:-7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20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2:10}}}}}} ||}}}{{{#!wiki style="margin:0px -12px -16px" ||<-4> [[파일:도쿄테디포.png|width=100%]] || ||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7)] 345 [br] (SCR)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0+)] 457 [br] (NTS/DNG)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2+)] 669 [br] (SCR)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4+)] 999 [br] (TEC) ||}}}|| || 수록 || 2020년 10월 25일[* 정식 출시일] || || 유닛 ||<:> [[파일:logo_rondo.png|width=30%]] || || 해금 방법 ||<:> 악곡 숍 || || 카테고리 ||<:> 커버 || || 기타 || 초창기 14+ 곡 커버 카테고리 최초의 14+ [[D4DJ Groovy Mix/단급위인정|단급위인정]] {{{#red '''10단'''}}} 과제곡 || |||| {{{#!folding [ 레이더 차트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 }}} || [youtube(Bq4GREh8k74)] 론도의 커버곡으로 수록되었으며, 츠바키와 히이로의 듀엣 커버곡이다. 히이로의 보컬이 버츄얼 싱어와 비슷하게 오토튠으로 나왔으며, 여담으로 게임이 정식 출시가 되기 전에 이미 풀버전을 라이브로 선보인 바 있다. 현재 공식 유튜브 음원으로 공개된 풀버전 커버곡 중 유일하게 저작권 문제로 들을 수 없게 되었다. ===== 채보 ===== [youtube(fVUd8zxhDzY)] HARD PFC 영상 [youtube(wKX-Wmfv8TU)] EXPERT PFC 영상 ==== [[크로노 서클]] ====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 2023년 9월 1일에 진행된 걸파 스테이션 6.5주년 정보 방송에서 공개되었다. 23년 11월에 [[Roselia(BanG Dream!)|Roselia]]의 커버곡으로 수록 예정. == 가사 == ||
{{{#ffffff 父さん母さん 今までごめん}}} || || 토오상 카아상 이마마데 고멘 || || 아빠, 엄마 지금까지 미안 || || {{{#ffffff 膝を震わせ 親指しゃぶる}}} || || 히자오 후루와세 오야유비 샤부루 || || 무릎을 떨며 엄지 손가락을 빨아 || || {{{#ffffff 兄さん姉さん それじゃあまたね}}} || || 니이상 네에상 소레쟈아 마타네 || || 오빠, 언니 나중에 보자 || || {{{#ffffff 冴えない靴の 踵潰した}}} || || 사에나이 쿠츠노 카카토츠부시타 || || 별 볼 일 없는 구두의 뒤꿈치를 구겼어 || || || || {{{#ffffff 見え張ったサイズで 型紙を取る}}} || || 미에핫타 사이즈데 카타가미오 토루 || || 눈대중한 사이즈로 본을 떠 || || {{{#ffffff 何だっていいのさ 代わりになれば}}} || || 난닷테 이이노사 카와리니 나레바 || || 뭐라도 괜찮아, 대신할 수 있다면 || || {{{#ffffff 愛されたいと 口を零した}}} || || 아이사레타이토 쿠치오 코보시타 || || 사랑받고 싶다고 투덜거렸어 || || {{{#ffffff もっと丈夫な ハサミで}}} || || 못토 죠-부나 하사미데 || || 좀 더 튼튼한 가위로 || || {{{#ffffff 顔を切り取るのさ}}} || || 카오오 키리토루노사 || || 얼굴을 잘라내는 거야 || || {{{#ffffff 全智全能の言葉を ほら聞かせてよ}}} || || 젠치젠노-노 코토바오 호라 키카세테요 || || 전지전능한 말을 자, 들려줘 || || {{{#ffffff 脳みそ以外 もういらないと}}} || || 노-미소 이가이 모- 이라나이토 || || 뇌 말고는 이제 필요 없다며 || || {{{#ffffff why not, I don't know}}} || || {{{#ffffff 近未来創造 明日の傷創 ただ揺らしてよ}}} || || 킨미라이소-조- 아스노쇼-소 타다 유라시테요 || || 근미래 창조, 내일의 상처, 그저 흔들어줘 || || {{{#ffffff 縫い目の隙間を埋めておくれ}}} || || 누이메노 스키마오 우메테오쿠레 || || 바느질 땀의 빈틈을 메워줘 || || || || {{{#ffffff 皆さんさよなら 先生お元気で}}} || || 미나상 사요나라 센세-오겡키데 || || [[자살|{{{#373a3c 여러분 잘 있어요, 선생님 건강하세요}}}]] || || {{{#ffffff 高なった胸に 涎が垂れる}}} || || 타카낫타 무네니 요다레가 타레루 || || 두근거리는 가슴에 침이 떨어져 || || {{{#ffffff 正直者は何を見る? 正直者は馬鹿を見る!}}} || || 쇼-지키몽와 나니오 미루? 쇼-지키몽와 바카오 미루! || || 정직한 사람은 무엇을 봐? 정직한 사람은 바보를 봐![* '자칫 이 세상은 약아빠진 자가 이득을 보는 데 비해, 정직한 사람이 손해를 보고 속상해 하는 경우가 많은 법이다'라는 뜻의 일본 속담.] || || {{{#ffffff 正直者は何を見る? 正直者は馬鹿を見る!}}} || || 쇼-지키몽와 나니오 미루? 쇼-지키몽와 바카오 미루! || || 정직한 사람은 무엇을 봐? 정직한 사람은 바보를 봐! || || {{{#ffffff あー、これじゃまだ足りないよ}}} || || 아-, 코레쟈 마다 타리나이요 || || 아, 이걸론 아직 부족해 || || {{{#ffffff もっと大きな ミシンで 心貫くのさ}}} || || 못토 오오키나 미싱데 코코로 츠라누쿠노사 || || 좀 더 커다란 미싱으로 마음을 꿰뚫는 거야 || || || || {{{#ffffff 全智全能の言葉を ほら聞かせてよ}}} || || 젠치젠노-노 코토바오 호라 키카세테요 || || 전지전능한 말을 자, 들려줘 || || {{{#ffffff 脳みそ以外 もういらないと}}} || || 노-미소 이가이 모- 이라나이토 || || 뇌 말고는 이제 필요 없다며 || || {{{#ffffff why not, I don't know}}} || || {{{#ffffff 近未来創造 明日の傷創 ただ揺らしてよ}}} || || 킨미라이소-조 아스노 쇼-소 타다 유라시테요 || || 근미래 창조, 내일의 상처, 그저 흔들어줘 || || {{{#ffffff 縫い目の隙間を埋めておくれ}}} || || 누이메노 스키마오 우메테오쿠레 || || 바느질 땀의 빈틈을 메워줘 || || || || {{{#ffffff もう何も無いよ 何も無いよ 引き剥がされて}}} || || 모- 나니모 나이요 나니모 나이요 히키하가사레테 || || 이제 아무것도 없어 아무것도 없어 전부 벗겨져서 || || {{{#ffffff 糸屑の 海へと この細胞も}}} || || 이토쿠즈노 우미에토 코노사이보-모 || || 실더미의 바다로 이 세포도 || || {{{#ffffff そうボクいないよ ボクいないよ 投げ捨てられて}}} || || 소-보쿠 이나이요 보쿠 이나이요 나게스테라레테 || || 그래, 나는 없어 나는 없어 내버려져서 || || {{{#ffffff 帰る場所すら何処にも 無いんだよ}}} || || 카에루 바쇼스라 도코니모 나인다요 || || 돌아갈 장소조차 어디에도 없어 || || {{{#ffffff 存在証明。 あー、shut up ウソだらけの体}}} || || 손자이쇼-메이. 아-, shut up 우소다라케노 카라다 || || 존재 증명. 아, shut up 거짓투성이의 몸 || || {{{#ffffff 完成したいよ ズルしたいよ 今、解答を}}} || || 칸세이시타이요 즈루시타이요 이마, 카이토-오 || || 완성하고 싶어, 컨닝하고 싶어 지금, 정답을 || || {{{#ffffff 変われないの? 飼われたいの?}}} || || 카와레나이노? 카와레타이노? || || 변하지 않아? 길러지고 싶어? || || {{{#ffffff 何も無い? こんなのボクじゃない!}}} || || 나니모 나이? 콘나노 보쿠쟈나이! || || 아무것도 없어? 이런 건 내가 아냐! || || {{{#ffffff 縫い目は解けて引き千切れた}}} || || 누이메와 호토케테 히키치기레타 || || 바늘땀은 풀리고 끊겨 조각이 났어 || || {{{#ffffff 煮え立ったデイズで 命火を裁つ}}} || || 니에탓타 데이즈데 이노치비오 타츠 || || 펄펄 끓는 날들로 목숨의 불을 재단해 || || {{{#ffffff 誰だっていいのさ 代わりになれば}}} || || 다레닷테 이이노사 카와리니 나레바 || || 누구라도 상관없어, 대신할 수 있다면 || == 2차 창작 == === [[카가미네 렌]] 커버 어레인지 === * [[http://www.nicovideo.jp/watch/sm17650507|니코니코 동화]] [nicovideo(sm17650507)] 어레인지를 [[스즈무]]가, 원곡 조교를 [[오레바나나P]]가 하여 [[카가미네 렌]]의 커버곡으로서 [[니코니코 동화]]에 2012년 4월 26일 투고되었다. 커버 곡으로서는 드물게 제 239회 주간 VOCALOID 랭킹에서 1위에 입상 및 [[VOCALOID 전당입성]]을 달성 하였다. 커버 곡 전문인 오레바나나P의 수준 높은 렌 조교가 돋보이는 곡으로 해당 프로듀서가 작업한 작품 중에선 최상위권의 작품 중 하나이다. 원곡이 화려한 기타 연주로 사람들을 사로잡았다면 해당 곡은 매력적인 피아노 연주로 사람들을 사로잡았다고 말할 수 있다. == 관련 문서 == * [[벚꽃의 전야]]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11년]][[분류:VOCALOID 전당입성]][[분류:VOCALOID 전설입성]][[분류:자살을 소재로 한 노래#blur]][[분류: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수록곡]][[분류:D4DJ/음악]][[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분류:유비트 애비뉴의 수록곡]][[분류:크로노 서클의 수록곡]][[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