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영 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ffffff 도쿄도 노선버스 토01 (東京都路線バス都01 (T01))}}}||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도쿄토01.jpg|width=100%]]}}} || ||<-2><:>기점||<:>도쿄도 시부야구 시부야2초메[br]'''시부야역앞'''[br]東京都渋谷区渋谷二丁目[br]'''渋谷駅前'''||<-2><:>종점||<:>도쿄도 미나토구 신바시2초메[br]'''신바시역앞'''[br]東京都港区新橋二丁目[br]'''新橋駅前'''|| ||<|2><:>종점행||<:>첫차||<:>신바시행 06:30[br]아카사카 아크힐즈행 07:55[*平] 08:12[*土] 10:36[*休]||<|2><:>기점행||<:>첫차||<:>신바시역발 06:51[*平] 06:55[*土][*休][br]아카사카 아크힐즈발 06:30[*平] 06:40[*土] 06:45[*休]|| ||<:>막차||<:>신바시행 22:23[*平] 21:55[*土] 22:00[*休][* 평일 23:05, 00:05 심야01번 운행.][* 평일 막차와 심야편은 신바시역 '''기타구치'''까지만 간다. 신바시역 '''앞'''으로 가는 평일 막차는 22시 정각.][br]아카사카 아크힐즈행 22:14[*平] 21:14[*土] 21:22[*休][br]타메이케행 22:40[*平] 22:10[*土]||<:>막차||<:>신바시역발 22:41[*平] 22:26[*土]22:30[*休][* 평일 23:05, 23:50, 00:45 심야01번 운행][* 심야편은 신바시역 '''기타구치'''에서 출발한다. 신바시역 '''앞'''에서 출발하는 평일 막차는 22:41.][br]아카사카 아크힐즈발 22:36[*平] 21:35[*土] 21:45[*休]|| ||<-2><:>운수사명||<:>[[도쿄도 교통국]] (시부야영업소)||<-2><:>배차간격||<:>5 ~ 11/14/16분[* 아카사카 아크힐즈 구간반복운행편 포함 시 최소 2분.]|| ||<-2><:>노선||<-4><:>[[시부야역|시부야역앞]] - 아오야마학원 - 니시아자부 - [[롯폰기역|롯폰기역앞]] - 아카사카 아크힐즈 앞[* 일부 운행편은 아카사카 힐즈 지선으로, 아카사카 아크힐즈 구내로 들어가 운행종료. 아카사카 힐즈 지선은 시부야 ~ 아카사카 힐즈만을 운행하며, 신바시 방면은 운행하지 않아 본선을 이용해야 한다.] - 타메이케[* 평일, 토요일 막차는 여기서 운행종료] - [[토라노몬역|토라노몬]] - [[신바시역|신바시역앞]]|| == 개요 == [[도쿄도 교통국]]에서 운행하는 [[도영 버스|도영(都営)]] 노선버스다. 본선 기준 운행 거리는 [[http://toeibus.com/archives/181|5.51km]]. == 역사 == 원래 [[1907년]]에 개통[* 당시 운행 구간은 아오야마 나나쵸메 ~ 아오이바시였다. [[시부야]]와 [[신바시]]까지 연장된 건 1914년. 이후 신바시 방면은 1931년 ~ 1942년 미하라바시 연장과 1950년대 말 시오도메 연장 등 소소한 연장이 있었다가 폐지 직전 신바시 종착으로 환원되었다.]해 [[도쿄 전차]] [[도쿄 전차 6|6번]]으로 운행하던 유서 깊은 노면전차 노선이었다. * [[1967년]] 12월 10일 - 노면전차 6번의 폐지에 따른 대체운송버스 504번으로 개통. * [[1968년]] 02월 25일 - 506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 [[1972년]] 11월 12일 - 橋89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 [[1977년]] 03월 07일 - 아오야마 분차고가 폐지되면서 시부야 영업소로 이관. * [[1984년]] 03월 31일 - 都01번으로 노선번호 변경. 동시에 아오야마 도리, 콧토 도리 경유에서 롯폰기 도리 경유로 변경. * [[1984년]] 06월 21일 - '그린 셔틀'이라는 애칭 지정. * [[1988년]] 12월 05일 - 심야운행 시작. 심야노선의 번호는 深夜01. * 일자 불명 - 심야01번의 신바시역 앞 ~ 신바시역 기타구치 구간이 단축됨. * [[2000년]] 12월 12일 - 급행노선 신설. 急行01이란 번호를 부여받아 경로 상의 일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했다. 당시 급행노선은 [[시부야역]], 미나미아오야마나나초메, [[롯폰기역]], 아카사카 아크힐즈, [[신바시역]]에만 정차했다. * [[2003년]] 04월 25일 - 급행노선 폐지. 동시에 [[시부야]] ~ [[롯폰기 힐스]]만을 반복운행하는 지선인 都01折返[* 折返는 [[오리카에시]](折り返し)를 의미한다.]계통 신설. * [[2003년]] 10월 10일 - 都01折返을 따라가지만 롯폰기케야키자카에만 도중 정차하는 지선급행인 [[도쿄 버스 RH01|RH01번]] 개통. * [[2004년]] 04월 01일 - 신주쿠 지소가 배차에 참여. * [[2007년]] 03월 26일 - 지선이 [[롯폰기역]]으로 연장. * 2007년 04월 21일 - 시부야역 ~ 도쿄 미드타운[* 도심이란 뜻이 아니라 아카사카에 있는 건물 이름이다.]지선구간 개통. * [[2009년]] 04월 01일 - 지선이 시부야 영업소 단독배차로 변경됨. * [[2011년]] 03월 28일 - 시부야 ~ 도쿄 미드타운 지선구간 폐지. * [[2013년]] 12월 20일 - 시부야역[* 니시구치 출발] ~ 롯폰기역 심야 운행 개시. 번호는 본선과 같은 深夜01. * [[2014년]] 10월 31일 - 시부야역 ~ 롯폰기역 심야운행 폐지. * [[2017년]] 04월 01일 - RH01번이 지선을 흡수통합. 동시에 지선급행이었던 RH01번은 완행으로 변경되었다. 참고 자료 - [[http://toden.la.coocan.jp/stop/n_data/data_n06.html]], [[http://toeibus.com/archives/181]], [[https://ja.wikipedia.org/wiki/%E9%83%BD%E5%96%B6%E3%83%90%E3%82%B9%E6%B8%8B%E8%B0%B7%E5%96%B6%E6%A5%AD%E6%89%80#%E9%83%BD01%E7%B3%BB%E7%B5%B1%EF%BC%88%E3%82%B0%E3%83%AA%E3%83%BC%E3%83%B3%E3%82%B7%E3%83%A3%E3%83%88%E3%83%AB%EF%BC%89%E3%83%BBRH01%E3%83%BB%E6%B7%B1%E5%A4%9C01%E7%B3%BB%E7%B5%B1|일본어 위키피디아]] == 특징 == 도영 버스를 대표하는 노선으로, 직선에 가까운 선형과 도영 버스에서 가장 많은 운행횟수[* 평일 기준, 첫・막차를 제외하면 최소한 시간 당 10편 이상, 최대 '''23편=3~4분'''. 도영 버스의 일반적인 배차는 시간 당 2~4회=15~30분인 것을 감안하면 정말 엄청나다고 볼 수 있다.]를 자랑한다. 도에이 교통수단만 탈 수 있는 도에이 마루고토 킷푸를 구매한 경우 시부야를 가기 위해서는 신바시나 롯폰기에서 이 버스를 타면 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도쿄도 교통국 아이콘.svg|width=20]] {{{#ffffff 도쿄도 노선버스 토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5년 || 14,934명 || - || || 2016년 || 15,186명 || {{{#red △ 252}}} || || 2017년 || 13,381명 || {{{#blue ▽ 1,805}}} || || 2018년 || 13,084명 || {{{#blue ▽ 297}}} || || 2019년 || 12,545명 || {{{#blue ▽ 539}}} || || 2020년 || 7,788명 || {{{#blue ▽ 4,757}}} || || 2021년 || 8,494명 || {{{#red △ 70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kotsu.metro.tokyo.jp/about/information/closing/|도쿄도교통국 경영정보 결산]] == 연계 철도역 ==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width=17]] [[야마노테선]] : [[시부야역]], [[신바시역]] * [[파일:JRE-JA.svg|width=17]] [[사이쿄선]] : 시부야역 * [[파일:JRE-JS.svg|width=17]] [[쇼난신주쿠라인]] : 시부야역 * [[파일:JRE-JK.svg|width=17]] [[케이힌토호쿠선]] : 신바시역 * [[파일:JRE-JT.svg|width=17]] [[도카이도 본선/JR 동일본|도카이도선]] : 신바시역 * [[파일:JRE-JO.svg|width=17]] [[요코스카선]] : 신바시역 *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width=17]] [[도쿄메트로 긴자선]] : 시부야역, [[타메이케산노역]][*A 타메이케 하차], [[토라노몬역]][* 토라노몬 하차], 신바시역 *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width=17]] [[도쿄메트로 히비야선]] : [[롯폰기역]] *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width=17]] [[도쿄메트로 한조몬선]] : 시부야역 *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width=17]] [[도쿄메트로 난보쿠선]] : [[롯폰기잇초메역]], 타메이케산노역[*A] *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width=17]] [[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 시부야역 *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width=17]] [[도에이 아사쿠사선]] : 신바시역 *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width=17]] [[도에이 미타선]] : [[우치사이와이초역]][* 니시신바시1초메 하차] *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width=17]] [[도에이 오에도선]] : 롯폰기역 * [[파일:TK-TY.svg|width=17]] [[도큐 도요코선]] : 시부야역 * [[파일:TK-DT.svg|width=17]] [[도큐 덴엔토시선]] : 시부야역 * [[파일:Keio-IN.svg|width=17]] [[케이오 이노카시라선]] : 시부야역 * [[파일:Yurikamome_Logo.svg|width=17]]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 신바시역 [[분류:도쿄도의 노선버스]][[분류:196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도영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