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요 철도의 노선, rd1=마츠야마 시내선)] ||<-2> {{{#!wiki style="margin: 0px -5px" [[도카이 교통사업|[[파일:TKJ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도카이 교통사업|{{{#ffffff 도카이 교통사업}}}]]}}}|| ||<-2> {{{#ff7e1c,#e36100 '''{{{+1 [ruby(城北線, ruby=じょうほくせん)]}}}'''[br]Johoku Line | 죠호쿠선}}} || ||<-2> [[파일:TKJ-Kiha11.png|width=100%]] ---- [[키하 11형 동차]] || ||<-2> '''노선 정보''' || || '''기점''' ||[[카치가와역]] || || '''종점''' ||[[비와지마역]] || || '''역 수''' ||6 || || '''개업일''' ||[[1991년]] [[12월 1일]] || || '''소유자'''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파일:JRTT_logo.svg|width=200]][br]{{{#007bc4,#00a374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 || || '''운영자''' ||[[도카이 교통사업|[[파일:TKJ_logo.png|width=200]][br]{{{#ff7e1c 도카이 교통사업}}}]] || || '''사용차량''' ||[[키하 11형 동차]] || || '''차량기지''' ||미노오타 차량구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1.2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복선 || || '''사용전류''' ||비전화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ATS-ST || || '''최고속도''' ||95km/h || || [youtube(zSe3huKNhMY)] || || {{{#ffffff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 개요 == [[도카이 교통사업]]이 운영하는 유일한 노선으로, 1991년 개업하였다. 전 구간은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가 소유자로서 [[제3종 철도사업자]] 자격을 가지고 있고, [[JR 도카이]]가 제1종 철도사업자 자격을 취득해 놓고 있으나 실제로 차량을 운행하지는 않고, 도카이 교통사업이 제2종 철도사업자로써 운행한다. 노선 전 구간이 비전철화 구간이다. == 상세 == [[나고야시|나고야]] 시내를 달림에도 사실상 로컬선의 분위기가 팍팍 풍긴다. 일단 1량짜리 디젤 동차에, [[1인 승무]]에, 직결노선도 없고, 주간 배차간격은 1시간, 아침저녁 시간대에는 20분, 주말이나 휴일에는 40분 간격이다. 더구나 [[비와지마역]]을 빼고는 모두 무인역이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에도 기반시설은 정말 과분한 수준이어서 전 구간 복선화/고가화가 이루어져 있다. --만약 전철화까지 되어 있었으면....-- 이렇게 보면 정말 뭔가 이해가 되지 않는 미스테리한 노선이지만, 그 이유는 사실 이 노선이 수도권의 [[무사시노선]]처럼 나고야 도심을 피해 멀리 우회하는 '''바이패스 화물 노선의 일부분'''으로서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국철 시절 당초 세토선[* [[메이테츠 세토선]]이 아니며, 당연히 '''[[세토대교선]]'''과도 연관 자체가 없다. 이름이 비슷할 뿐이다.]이라는 이름으로 [[비와지마역]]과 [[세토시역]]을 잇는 노선으로 계획되어 1976년 착공하였다. 그리고 이 노선과 [[아이치 환상철도|오카타선]]을 연결하여 나고야 도심을 우회하는 운송경로를 계획했는데, 공사도중 국철정상화 사업을 거치면서 수요재조사를 통해 계획했던 화물 운송수요에 크게 못미친다는 점이 알려지자 공사가 일부 중단되고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오카타선은 이후 제3섹터화되어 [[아이치 환상철도]]로서 개업했으나, 이 노선은 JR 도카이가 인계받아 개업하게 된다. 하지만 공사당시 들어간 비용이 그대로 운임에 반영되었고, 타 노선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용객이 적으므로 지금과 같은 배차간격이 된것이고, 원래 화물노선으로 계획되었기 때문에 전 구간 복선화/고가화가 된것이다. 이렇게 수요가 적음에도 JR 도카이가 이 노선을 폐선시키지 않는 이유는, 이 노선이 현재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가 소유하고 JR 도카이가 임차를 받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즉 하고 싶어도 못 하는 것. 심지어 지금도 임차료를 내고 있는데, 임차기간이 끝나는 2032년이 돼야 이 노선은 완전히 JR 도카이가 소유하게 된다. 수요를 늘리기 위해 시설이라도 확충하면 좋을 텐데, JR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시설 확충 공사를 한다면 임차료도 거기에 반영되어 더 올라가게 된다. 그래서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만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키하 11형 동차]] 300번대 '''2량'''이다. 그나마 1량만으로도 전 구간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극히 일부 날짜나 시간대를 제외하고 1량은 거의 무조건 카치카와역 유치선에 짱박혀 있다. 이전에 쓰던 200번대 차량은 간토에 있는 [[히타치나카 해안철도]]로 이적했다. == 역 목록 == * 전구간 [[아이치현]]내 소재. ||<-4> {{{#ffffff '''토카이 교통사업 죠호쿠선'''}}} ||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소재지}}} || || [[카치가와역|카치가와]][br](勝川) || 0.0 ||¶[[JR 도카이]] [[파일:JRC-CF.svg|width=17]][[츄오 본선]] (CF06) ||<|2> 카스가이시 || || [[아지요시역(도카이 교통사업)|아지요시]][br](味美) || 1.8 || || || [[히라역(아이치)|히라]][br](比良) || 4.5 || ||<|2> 나고야시[br]니시구 || || [[오타이역|오타이]][br](小田井) || 6.7 || || || [[오와리호시노미야역|오와리호시노미야]][br](尾張星の宮) || 9.3 || ||<|2> 키요스시 || || [[비와지마역|비와지마]][br](枇杷島) || 11.2 ||¶JR 도카이 [[파일:JRC-CA.svg|width=17]][[도카이도 본선/JR 도카이|도카이도 본선]] (CA69)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카이 교통사업, version=32)][[분류:TKJ 죠호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