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원작에서의 모습, rd1=사와타리 신고)] [include(틀:유희왕 듀얼링크스/플레이어블 듀얼리스트)] [[파일:SylvioSawatari-DULI.png|width=300]] >'''한국판 소개''' >----- >최대 기업인 듀얼 스쿨 『LDS(레오 듀얼 스쿨)』에 다니는, 유야의 동급생. 시의회 의원인 아버지 밑에서 자란 오만방자한 나르시스트지만, 듀얼의 실력은 나쁘지 않아 『[[요선수]]』나 『[[마계극단]]』 등의 덱을 솜씨 좋게 사용한다. 유야와의 듀얼을 통해, 엔터메 듀얼에 눈을 뜨지만, 관심을 받고 싶어하는 특유의 성격이 있어서인지, 관중으로부터의 호응은 꽤 좋은 편이다. [목차] == 개요 == [youtube(qZWxWpUQuis,width=480,height=270)] * '''한국판 성우''' : [[이동훈(성우)|이동훈]][* 전작인 ZEXAL의 [[료(유희왕 듀얼링크스)|료]]도 맡았다.] * '''일본판 성우''' : [[야노 쇼고]] == 해금 미션 == * '''게이트 출현 조건''' : 듀얼 월드 (ARC-V)에서 총 듀얼 점수 50만점 달성 * '''캐릭터 해금 미션''' : 게이트 출현 조건을 달성한 직후부터 진행 가능 ||
{{{#white '''미션1'''}}}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도진호(유희왕 듀얼링크스)|도진호]]에게 3번 승리한다.|| || {{{#white '''미션2'''}}} ||[[유야(유희왕 듀얼링크스)|유야]]로 플레이하여 [[도진호(유희왕 듀얼링크스)|도진호]]를 상대로 단일 듀얼에서 펜듈럼 소환을 3번 실행한다.|| || {{{#white '''미션3'''}}} ||[[도진호(유희왕 듀얼링크스)|도진호]]와의 단일 듀얼에서 듀얼 점수를 4000 이상 획득한다.||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yugioh&no=1507473&page=1|대사가 나오는 카드]] == ||<-3>
{{{+2 '''{{{#white 대사가 나오는 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jVdPGatow4,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jTRh5Q_h7o,width=480,height=27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jTRh5Q_h7o,width=480,height=270,start=807)]}}}|| || {{{+1 '''{{{#white 한국어}}}'''}}} || {{{+1 '''{{{#white 일본어}}}'''}}} || {{{+1 '''{{{#white 영어}}}'''}}} || * '''몬스터''' : '''[[마계극단-빅 스타]]''', [[마계극단#마계극단-엑스트라|마계극단-엑스트라]], [[마계극단#마계극단-새시 루키|마계극단-새시 루키]], [[마계극단#마계극단-데블 힐|마계극단-데블 힐]], [[마계극단#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 [[마계극단#마계극단-프리티 히로인|마계극단-프리티 히로인]], [[마계극단#마계극단-와일드 호프|마계극단-와일드 호프]], [[마계극단#마계극단-커튼 라이저|마계극단-커튼 라이저]], [[마계극단#마계극단-코믹 릴리프|마계극단-코믹 릴리프]], [[마계극단#마계극단-댄디 바이플레이어|마계극단-댄디 바이플레이어]], [[마계극단#마계극단-트윈클 리틀스타|마계극단-트윈클 리틀스타]], [[마계극단#마계극단-멜로 마돈나|마계극단-멜로 마돈나]], [[요선수#마요선수 대인화시|마요선수 대인화시]], [[요선수#마요선수 독안군주|마요선수 독안군주]], [[요선수#요선수 우겸신주|요선수 우겸신주]], [[요선수#요선수 좌겸신주|요선수 좌겸신주]], [[요선수#요선수 겸일태도|요선수 겸일태도]], [[요선수#요선수 겸이태도|요선수 겸이태도]], [[요선수#요선수 겸삼태도|요선수 겸삼태도]], [[요선수#요선수 흉선람|요선수 흉선람]], [[요선수#요선수 시랑풍|요선수 시랑풍]], [[요선수#요선수 대유곡향|요선수 대유곡향]], [[요선수#요선수 십참풍|요선수 십참풍]], [[요선수#요선수 목매|요선수 목매]], [[요선수#요선수 염라사열|요선수 염라사열]], [[요선수#요선수 반강편|요선수 반강편]], [[빙제 뫼비우스]], [[빙제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 [[제왕(유희왕)#얼음 제왕가신 에셔|얼음 제왕가신 에셔]], [[명 제왕 에레보스]], [[제왕(유희왕)#명 제왕종기 에이도스|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마 제왕 앙그마르]], [[시간을 읽는 마술사]], [[별을 읽는 마술사]], [[블록 스파이더]], [[여섯 무사#여섯 무사-야리자|여섯 무사-야리자]], [[모린팬]], [[헝그리 버거(유희왕)|헝그리 버거]] * '''마법''' : [[마계극단#마계극장 "판타스틱 시어터"|마계극장 "판타스틱 시어터"]], [[마계대본#마계대본 "오프닝 세레모니"|마계대본 "오프닝 세레모니"]], [[마계대본#마계대본 "판타지 매직"|마계대본 "판타지 매직"]], [[마계대본#마계대본 "화룡의 거처"|마계대본 "화룡의 거처"]], [[마계대본#마계대본 "마왕의 강림"|마계대본 "마왕의 강림"]], [[마계대본#마계대본 "마계의 엔터메"|마계대본 "마계의 엔터메"]], [[마계대본#마계대본 "로맨틱 텔러"|마계대본 "로맨틱 텔러"]], [[마계극단#마계대도구 "도주마차"|마계대도구 "도주마차"]], [[요선수#수험의 요사|수험의 요사]], [[요선수#요선대선풍|요선대선풍]], [[요선수#요선수의 신풍|요선수의 신풍]], [[요선수#요선수의 풍제|요선수의 풍제]], [[제왕(유희왕)#제왕의 동기|제왕의 동기]], [[겸허한 파수병]], [[메테오 스트라이크(유희왕)|메테오 스트라이크]], * '''함정''' : [[마계극단#마계극단 대기실 입장|마계극단 대기실 입장]], [[마계극단#마계극단 커튼콜|마계극단 커튼콜]], [[요선수#요선향의 현훈풍|요선향의 현훈풍]], [[요선수#요선수의 비기|요선수의 비기]], [[요선수#요선수 거태도풍|요선수 거태도풍]], [[제왕(유희왕)#제왕의 동지|제왕의 동지]], [[제왕(유희왕)#제왕의 용격|제왕의 용격]], [[다크 어드밴스#OCG|다크 어드밴스]], [[브레이크스루 스킬]], [[방어막(유희왕)#사악한 방어막 거울의 힘|사악한 방어막 거울의 힘]], [[로컬 빅 허리케인]] == 시작 덱 == ||<-5>
{{{+2 '''{{{#white 시작 덱}}}'''}}} || ||<-5>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마계극단의 빅 스타''' || ||<-5> {{{+2 '''{{{#white 메인 덱}}}'''}}} || || R [[네오 물의 조종자]][br]x1 || N [[터틀(유희왕)#거북 너구리|거북 너구리]][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프리즈맨|프리즈맨]][br]x3 || N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바람의 파수꾼 진|바람의 파수꾼 진]][br]x3 || N [[봉인사 메이세이]][br]x3 || || N [[고블린(유희왕)#스카 고블린|스카 고블린]][br]x2 || R [[어둠을 없애는 빛#OCG|어둠을 없애는 빛]][br]x2 || N [[도발#유희왕/OCG의 일반 함정 카드|도발]][br]x1 || N [[돌풍(유희왕)#OCG|돌풍]][br]x2 || ||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레벨 업 보상 == ||
{{{#white '''1'''}}} || 아이콘: 도진호[br][[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마계극단의 빅 스타''' || {{{#white '''16'''}}} || SR [[제왕(유희왕)|제왕의 동지]] || {{{#white '''31'''}}} || [[파일:듀링 골드.png|width=25px]] 100,000 || || {{{#white '''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 || {{{#white '''17'''}}}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60 || {{{#white '''3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3'''}}} || SR [[요선수#요선수 우겸신주|요선수 우겸신주]] || {{{#white '''18'''}}} || SR [[마계극단#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 || {{{#white '''33'''}}}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 || || {{{#white '''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 || {{{#white '''1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75 || {{{#white '''3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5'''}}}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br]카드 슬리브: 도진호 || {{{#white '''20'''}}}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네오 도진호''' || {{{#white '''35'''}}} || UR [[마계극단#마계극단-코믹 릴리프|마계극단-코믹 릴리프]] || || {{{#white '''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 || {{{#white '''21'''}}} || UR [[요선수|마요선수 독안군주]] ||<-2><|10> || || {{{#white '''7'''}}} || SR [[제왕(유희왕)|제왕의 동지]] || {{{#white '''2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00 || || {{{#white '''8'''}}}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white '''23'''}}} || SR [[요선수#요선수 우겸신주|요선수 우겸신주]] || || {{{#white '''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 || {{{#white '''24'''}}}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20 || || {{{#white '''10'''}}} || SR [[마계극단#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br] || {{{#white '''25'''}}} || SR [[제왕(유희왕)|제왕의 동지]] || || {{{#white '''11'''}}} || [[파일:듀링 SR UR 티켓.png|width=30px]] || {{{#white '''26'''}}}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150 || || {{{#white '''12'''}}}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35[br]게임 매트: 도진호 || {{{#white '''27'''}}} || [[파일:듀링 Deck slot.png|width=20px]] || || {{{#white '''13'''}}}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 펜듈럼 엑스트라 차지''' || {{{#white '''28'''}}}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00 || || {{{#white '''14'''}}} || SR [[요선수#요선수 우겸신주|요선수 우겸신주]] || {{{#white '''29'''}}}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250 || || {{{#white '''15'''}}} || [[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br]아이콘: 도진호 (Ver.2) || {{{#white '''30'''}}} || SR [[마계극단#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br][[파일:듀링 보석.png|width=20px]] 50 || == 스킬 == ||<-2>
{{{+2 '''{{{#white 스킬}}}'''}}} || ||<-2><:> {{{+1 '''{{{#white 레벨 업 보상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마계극단의 빅 스타'''[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 외부에서 "[[마계극단-빅 스타]]", "[[마계극단|마계대본 "오프닝 세레모니"]]"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합니다.[br]② : "[[마계극단-빅 스타]]" 1장 이상을 포함한 '[[마계극단]]' 몬스터가 3장 이상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덱 또는 엑스트라 덱에서 "[[마계극단-빅 스타]]"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넣습니다. 그 후, 자신의 패에서 카드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br]③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가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1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엑스트라 차지'''[br]① : 펜듈럼 카드 2장이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카드 1장을 선택하여, 해당 카드를 원래 주인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추가합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하는 턴, 자신은 펜듈럼 소환 이외의 특수 소환을 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13 달성||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네오 도진호'''[br]① : 마법 카드 또는 함정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고,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 있는 마법 카드 또는 함정 카드를 1장 선택합니다. 그 후, 선택한 해당 카드에 대하여 이하의 효과를 적용합니다. * 마법 카드 : 이 스킬의 효과로 선택한 마법 카드를 "[[제왕(유희왕)#제왕의 동기|제왕의 동기]]"로 바꿉니다. * 함정 카드 : 이 스킬의 효과로 선택한 함정 카드를 "[[제왕(유희왕)#제왕의 동지|제왕의 동지]]"로 바꿉니다. 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레벨 20 달성|| ||<-2><:> {{{+1 '''{{{#white 캐릭터 전용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네오 뉴 도진호'''[br]이 스킬은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요선수]]' 카드가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적용됩니다.[br][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 외부에서 [[요선수#요선수 좌겸신주|요선수 좌겸신주]]", "[[요선수#요선수 우겸신주|요선수 우겸신주]]" 1장을 자신의 덱에 추가하여, 자신의 덱의 맨 아래에 놓습니다.[br]② : '[[요선수]]' 카드가 자신의 패에 있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감소한 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요선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합니다. 그 후, 자신의 덱 외부에서 "[[요선수#요선수의 신풍|요선수의 신풍]]" 1장을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②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도진호 극장의 개막''' [br]① :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500 감소한 후에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의 드로우 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드로우 페이즈의 일반 드로우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의 덱에서 '[[마계극단]]' 몬스터 또는 '[[요선수]]'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자신의 패에 추가합니다.[br]②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마계극단]]' 몬스터, '[[요선수]]' 몬스터가 합계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마계극단의 순서 대기''' [br]① : '[[마계극단]]' 몬스터가 자신의 패에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패에서 '[[마계극단]]' 몬스터를 2장까지 선택하여, 해당 카드를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습니다.[br]②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가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요선 로스트 토네이도''' [br]① : "[[요선수#수험의 요사|수험의 요사]]"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요선수]]' 몬스터가 지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요선수#수험의 요사|수험의 요사]]" 1장을 선택합니다. 그 후,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요선수]]' 몬스터의 수만큼 선택한 "[[요선수#수험의 요사|수험의 요사]]"에 요선 카운터를 놓습니다.[br]②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덱에 '[[요선수]]' 몬스터가 9장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발동됩니다.[br]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드래프트''' [br]① : 펜듈럼 몬스터가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고,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2000 감소한 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해당 카드를 패에 넣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후, 상대의 다음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이 스킬의 ②의 효과로 자신의 패에 넣은 카드 및 그 카드와 같은 카드명을 가진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습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부스터''' [br]① : 펜듈럼 카드 2장이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을 경우, 자신의 턴 중,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gray 자신의 펜듈럼 존에 앞면 표시로 있는 펜듈럼 카드의 스케일 중 가장 높은 스케일*5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랜덤 드랍|| ||<-2><:> {{{+1 '''{{{#white 기타 스킬}}}'''}}} ||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LP 부스트 α'''[br]① : 자신의 시작 라이프 포인트가 1000 증가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근성'''[br]① : 턴 시작 시에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4000 이상이었고, 해당 턴에 자신이 받게 될 데미지가 현재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 이상일 경우에 발동됩니다.[br]해당 턴에 단 한 번만, 자신의 라이프 포인트가 1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습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가 발동되었을 경우, 다음 자신의 턴이 끝날 때까지, 자신은 몬스터를 1번만 특수 소환할 수 있습니다.[br]이 스킬은 듀얼 중에 1번만 발동됩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빛의 궤적-펜듈럼 소환'''[br]① : 듀얼 시작 시, 자신의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의 펜듈럼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자신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같은 세로열의 자신의 메인 몬스터 존으로 이동시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어택 버스트'''[br]① : 몬스터가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고, 자신의 턴으로 세어서 3번째 턴까지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br]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몬스터 1장 선택합니다. 그 후, 해당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만큼 추가로 올립니다.[br]② : 이 스킬의 ①의 효과를 사용한 후, 해당 턴의 종료시에 이 스킬의 효과를 적용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0이 됩니다.[br][br]이 스킬의 ①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랜덤 드랍|| ||[[파일:듀링스킬.png|width=15px]] '''펜듈럼 체인지: 노멀'''[br]이 스킬은 덱에 일반 몬스터가 3종류 이상 존재하는 덱을 설정하고 듀얼을 개시했을 경우에 사용 및 적용할 수 있습니다.[br][br]① : 듀얼 개시시에 자신 필드에 펜듈럼 존을 추가합니다.[br]② : 듀얼 중에 1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일반 몬스터 카드 1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무작위로 그 카드와 카드명이 다른 일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습니다.||평생 미션[* [[도진호(유희왕 듀얼링크스)|도진호]]로 플레이하여 펜듈럼 소환을 5번 실행합니다.]|| == CPU == [[파일:SawatariShingo-DECK.png|align=center&width=70%]] ||
<-5>
{{{+2 '''{{{#white CPU (Lv.40)}}}'''}}} || ||<-5> {{{+2 '''{{{#white 메인 덱}}}'''}}} || ||<:>[[빙제 뫼비우스]][br]x1||<:>[[제왕(유희왕)#명 제왕종기 에이도스|명 제왕종기 에이도스]][br]x1||<:>[[마계극단#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마계극단-펑키 코미디언]][br]x1||<:>[[빙제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br]x1||<:>[[제왕(유희왕)#얼음 제왕가신 에셔|얼음 제왕가신 에셔]][br]x1|| ||<:>[[마계극단#마계극단-데블 힐|마계극단-데블 힐]][br]x1||<:>[[마계극단-빅 스타]][br]x1||<:>[[마계극단#마계극단-프리티 히로인|마계극단-프리티 히로인]][br]x1||<:>[[마계극단#마계극단-새시 루키|마계극단-새시 루키]][br]x1||<:>[[마계극단#마계극단-와일드 호프|마계극단-와일드 호프]][br]x1|| ||<:>[[마계극단#마계극단-댄디 바이플레이어|마계극단-댄디 바이플레이어]][br]x1||<:>[[마계극단#마계극단-엑스트라|마계극단-엑스트라]][br]x1||<:>[[마계대본#마계대본 "판타지 매직"|마계대본 "판타지 매직"]][br]x1||<:>[[마계대본#마계대본 "마계의 엔터메"|마계대본 "마계의 엔터메"]][br]x1||<:>[[마계대본#마계대본 "화룡의 거처"|마계대본 "화룡의 거처"]][br]x1|| ||<:>[[마계대본#마계대본 "오프닝 세레모니"|마계대본 "오프닝 세레모니"]][br]x1||<:>[[브레이크스루 스킬]][br]x1||<:>[[다크 어드밴스#OCG|다크 어드밴스]][br]x1||<:>[[마계극단#마계극단 대기실 입장|마계극단 대기실 입장]][br]x1||<:>[[마계극단#마계극단 커튼콜|마계극단 커튼콜]][br]x1|| ||<-5> {{{+2 '''{{{#white 엑스트라 덱}}}'''}}} || ||<:><-5>   || === 듀얼 보상 === ||<-5>
{{{+2 '''{{{#white 듀얼 보상}}}'''}}} || || UR [[요선수#마요선수 독안군주|마요선수 독안군주]] || SR [[요선수#요선수 좌겸신주|요선수 좌겸신주]] || SR [[사악왕 트라카렐]] || SR [[제왕(유희왕)#사 제왕가신 루키우스|사 제왕가신 루키우스]] || SR [[마계대본#마계대본 "판타지 매직"|마계대본 "판타지 매직"]] || || R [[토네이도 버드]] || R [[속성 장착 마법#돌풍의 부채|돌풍의 부채]] || R [[매직 가드너#겁쟁이|겁쟁이]] || N [[돌풍(유희왕)#OCG|돌풍]] || N [[도발#유희왕/OCG의 일반 함정 카드|도발]] || == 평가 == 히든 캐릭터인데, 해금 조건이 '''듀얼 평가 50만점'''이라 너무 극악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아크파이브 계의 구만이라는 비아냥이 없진 않다.] 그래도 비슷한 극악 조건의 구만과 달리 아크파이브 월드의 스테이지를 올리고 캐릭터를 키우는 등 굳이 일찍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면 게임을 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채울만한 조건이고, 쓸만한 스킬들을 그럭저럭 가지고 있어서 보석 셔틀 취급은 면했다. 원작에서도 다양한 테마의 카드군을 사용한 만큼, 제왕과 요선수, 마계극단까지 총 세가지의 테마에 관련된 고유 스킬을 가지고 있다. 제왕을 지원하는 스킬은 바꿀 수 있는 카드 두가지가 전부 능동적이지 못한 카드고 마계극단은 출시 시점에서 나온 카드가 단 두장밖에 없기에, 현재로서는 캐릭터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덱은 요선수 정도. 추후 마계극단의 지원이 나온다면 활용도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마계극단이 지원을 받으면서 처음엔 그저 그런 취급이었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놀랍게도 티어덱에도 등극했다. 그러나 쓰는 덱들이 전부 강탈당하는 신세. 요선수는 데스티니 드로우 스킬을 장착한 어둠의 유희로, 마계극단은 봉인묘를 장착한 이시즈로 굴리는 편이 더 효율적이라는 평이다. == 기타 == 한 가지 의문스러운 점이 있는데 맨 처음 등장한 장소가 5D's 월드라는 점이다. 그냥 장소만 빌려쓴 거라기엔 나머지 세 명은 멀쩡하게 도착한 반면 이쪽은 시큐리티한테 듀얼을 걸고[* 싱크로 차원의 시큐리티로 착각한 듯 하다. 정작 오룡즈의 시큐리티는 싱크로 차원의 것과 달리 개념 잡힌 집단이다. 엉뚱한 곳에 듀얼을 건 셈.] --발린 이후-- 어떻게든 아크파이브 월드로 온 것으로 보이지만. 어찌됐든 자세한 건 현 시점에서는 불명이다. III의 이벤트에서는 다른 차원이라든지 제알 세계관에 없을 [[카이바 코퍼레이션]]을 언급하면서 듀얼링크스 자체 스토리가 진행되기 시작한 시점이라서 떡밥일 가능성이 높았고, 레이지 이후 확실하게 떡밥으로 밝혀진다. 파밍 난이도는 '''매우 높다.''' CPU 40레벨에 놀랍게도 브레이크스루 스킬 등을 사용하므로 파밍이 쉽지 않다. 특유의 설정으로 인해, 나머지 아크파이브 월드 듀얼리스트들은 승패와 관계없이 전작의 캐릭터로 듀얼시 자기가 알고 있던 사람과는 다르다는 걸 인식하지만, 도진호가 승리시에는 전혀 알아차리지 못한다. 이 특징은 이후 레이지 이벤트에서 재현된다. GX 월드 즈음까지만 해도 우스꽝스럽게 패배하는 일러스트가 꽤 많았지만[* 대표적으로 만죠메, 크로노스, 사이오 등이 있겠다.] 5D's 월드 출시 즈음부터 우스꽝스럽게 패배하는 일러스트가 거의 사라졌는데, 칼리, 구만 이후 간만에 패배 시 일러스트가 우스꽝스럽게 연출되었다. [각주] [[분류:유희왕 듀얼링크스/전설의듀얼리스트(ARC-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