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도전 골든벨)] [include(틀:도전 골든벨 방영 목록)] [목차] == 설명 == * [[도전 골든벨]]에서 나온 참가한 학교 및 방영된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를 정리한 문서이며,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전 골든벨/지역|이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2015.06.21) 메뉴의 [[2000년]] [[3월 31일]] ~ [[2001년]] [[10월 26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되어 다시보기가 뜨지 않은 이후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2015.06.21) 메뉴의 [[2000년]] [[3월 31일]] ~ [[2015년]] [[6월 21일]] 이전까지 이후 [[2015년]] [[6월 28일]]부터 다시보기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다시보기의 메뉴는 ([[2015년]] [[6월 28일]] ~ , 경기 여주 점동고)부터 예고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미리보기의 메뉴는 ([[2013년]] [[4월 7일]] ~ , 전북 전주 전라고)부터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이전의 [[1999년]] ~ [[2008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 [[2012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된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12년]] [[12월 23일]] 이후 [[2013년]] [[1월 6일]]부터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 명예의 전당 등극자 중 {{{#0000FF 남학생은 '''파란색'''}}}, {{{#FF0000 여학생은 '''빨간색'''}}} 표시이다. * [[도전 골든벨]]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메뉴에서 (~113대) 이후 (114대 골든벨~)에 등극한 리스트가 기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KBS 포토뱅크 홈페이지의 [[2012년]] [[11월 4일]] 이전까지 이후 [[2012년]] [[11월 11일]]부터 촬영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 == *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참가한 학교의 최후의 1인은 선택한 문제의 제시된 분야의 남성 아나운서 MC가 각 색의 통 속의 선택한 제시된 분야의 문제에서 교장선생님께서 전달하여 마지막 문제를 출제한다.(특집편 및 연합 특집인 경우 각 대표하는 사람과 대표자(CEO, 대표자, 회장, 사장님이나 진행하는 KBS 여자 아나운서 님이 문제를 출제한다.) 단, KBS 남자 아나운서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가 공개됐습니다."를 멘트로 한다.)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최후의 1인이 학생이 선택한 제시된 분야의 각 색의 통을 전달하여 교장선생님이 각 색의 통 속의 문제를 출제한다.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여자 아나운서 MC의 마이크를 교장선생님께 전달하여 교장선생님이 통 속의 문제를 출제하여 읽는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정답은 교장선생님께서 발표한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 유형은 선택한 제시된 색깔의 문제 유형이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난이도는 최고수준에 달한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문제 내용 바탕은 노란색으로 노란색 바탕의 검정색 글씨이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최후의 1인의 학생이 풀 때 10초 이내의 여유시간을 준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의 정답 발표 중에 정답 바탕의 노란색과 연필 그림 표시와 중 초록 바탕의 흰색 글씨이다.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여자 아나운서 MC가 "정답 발표해주시죠"의 멘트로 교장선생님의 정답 발표 후 정답은(?) (O)등극 시 - "13?대 골든벨에 등극하여 축하합니다."를 멘트 짓는다.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등극한 골든벨을 울린 학생은 명예의 전당에 그 이름과 등극한 탄생한 영광의 얼굴들로 사진이 영원히 새겨진다. * 수 천명의 학생들이 도전한 결과 탄생한 영광의 얼굴들이다. *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등극 후 방송에서 등극한 영광의 얼굴들이 나온다. * 마지막 멘트에서 여자 아나운서 MC의 "네 오늘 OO고등학교 편에서 최후의 1인 OOO 학생이 등극 시 - 제 13?대 골든벨에 등극했습니다"를 멘트로 진행하여 최후의 1인에서 인터뷰의 소감을 밝힌다. * 마지막 골든벨 문제를 맞힌 최후의 1인의 학생은 폭죽을 터트린다. * 마지막 골든벨에 등극하면 대학입학등록장학금, 골든벨장학금, 해외 배낭여행 연수비를 [[삼성카드]]가 후원하며 해외연수를 [[가천대학교]]에서 주어진다. * 마지막 골든벨에 등극할 경우 축하의 꽃다발과 상패를 전달한다.(상패는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의 대수로 표시) * 다음주 학교 예고의 '다음주에는 <○○고등학교>/<○○여자고등학교>가 제 13?대 골든벨에 도전합니다'를 예고한다. * 다음주 학교 예고의 '다음주에는 <○○고등학교>/<○○여자고등학교> 편이 방송됩니다'를 예고한다. * 명예의 전당에 등극한 출신 학교의 학생이 작성자 강민승 씨는 경우 홈페이지의 시청자 참여 메뉴의 시청자 게시판에서 - 13?대 골든벨 탄생(13?대 등극 기준)을 제목으로 작성하여 "드디어 OOO 학생 13?대 골든벨 탄생!!!"를 게시판에 작성한다.(100대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김희주 당시 3학년) ~ 기준으로부터 함) ==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 == === 과거([[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 * [[1999년]] [[1월 8일]] ~ [[2014년]] [[12월 14일]] : 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의 5개의 통 중 제시된 분야에서 1개 통을 선택한다.[* 2009년 기준에는 골든벨 문제 선택 규칙에서 제시된 분야의 5개의 서로 다른 문제 중 선택한 글자에 해당하는 제시된 문제가 출제된다.] * 26대 골든벨 도전 당시 : 과학(노란색), 문학(초록색), 시사상식(하얀색), 예술(빨간색), 역사(파란색)의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 27대 ~ 32대 골든벨 도전 당시 : 역사(노란색), 과학(파란색), 예술(초록색), 시사상식(빨간색), 문학(하얀색)의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 과거([[2015년]] [[1월 4일]] ~ [[2019년]] [[12월 1일]](106대 ~ 129대)) === *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2019년 12월 1일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의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해리포터]] 폰트~~ === 현재([[2019년]] [[12월 8일]] ~ '''현재'''(130대(2020년 1월 19일) ~ '''현재''')) === * 2019년 12월 8일 ~ '''현재''' : 도(빨간색), 전(파란색), 골(초록색), 든(하얀색), 벨(노란색)의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한다. ||<#FFC0CB><:> 첫 도전 등극 학교(◎) ||<#A6E657><:> 2회 재도전 등극 학교(◇) ||<#E0FFFF><:> 3회 이상 재도전 등극 학교(◆) ||<#FFD700><:> 골든벨 등극 왕중왕전 우승자(☆) ||<#98FB98><:> 골든벨 등극 왕중왕전 준우승자(★) ||<#000080><:> {{{#FFFFFF 골든벨 등극 왕중왕전 각 학교의 참가자}}} ||<#0000ff><:> {{{#ffffff 골든벨 등극 왕중왕전 최후의 1~4인(▣)}}} ||<#308027><:> {{{#ffffff 2학교 이상 출연 학교(□)}}} ||<#25F5F5><:> 3학교 이상 출연 학교(■) ||<#2872B3><:> 골든벨 남학생 등극자 ||<-3><#CC0000><:> 골든벨 여학생 등극자 || == 명예의 전당 등극자 학교 지역과 연도별 골든벨 탄생수 == * [[1998년]] [[10월 16일]]에 접속 신세대를 시작하여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까지 접속! 신세대 코너와 [[도전 골든벨]] 코너의 첫 방송을 시작하여 [[1999년]] [[9월 3일]] 독립 편성한 이래 1999년 9월 3일 독립 편성 이후 약 15년 9개월(5,623일) 만인 [[2014년]] [[7월 13일]] 방송에서 100번째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14&aid=0003172293|탄생했으며]], 현재 131명의 골든벨 수상자가 나왔다.(공식 골든벨 수상자만 인정) * 프로그램 역사가 99년도 접속 신세대 ~ 독립 편성 이후인지라 벌써 서른이 된 골든벨 수상자도 있다. [[일본]] 대학에서 초끈이론 연구하는 사람이나 검사, 사업가, 교사 등등. * 2014년 6월 21일에 역대 골든벨을 울린 100명의 골든벨 수상자들을 위한 축제를 열기도 했다. * 현재까지의 프로그램 횟수를 고려했을 때 골든벨을 울린 학생이 나올 확률은 약 15% 정도이며, 재도전을 하더라도 골든벨을 울릴 확률은 약 10%도 안 된다. * 현재까지 참가학교는 총 769개 학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는 131대 및 131명 학생, 126개 학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는 131대 및 131명 학생(대한민국 130명, 해외의 재중동포 재학생 중 중국 1명)이 등극한 국가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131대 및 131명 학생(접속! 신세대 코너의 5명, 독립 편성의 126명)이 등극한 수상자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131대 및 131명 학생 중 방송채널 중(KBS-1TV - 5명(접속! 신세대 코너), KBS-2TV(금요일은 18명), KBS-1TV(일요일은 101명)의 총 KBS-1TV : 112명, KBS-2TV : 18명)이 등극한 수상자이다.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메뉴에서 (1대(초대 - 접속! 신세대 코너 포함) ~ 122대(독립 편성 이후)) 중 112대 중 113대가 리스트가 기재되어 나왔고, 11명은 리스트가 나오지 않고 있다.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 메뉴에서 ( ~ 113대) 이후 (114대 골든벨 ~ )에 등극한 리스트<2016년 7월 17일 경기 성남 판교고(114대 권민성), 8월 21일 재중동포 골든벨(115대 황미홍), 8월 28일 경기 군포 부곡중앙고(116대 김민철)(현 군포중앙고), 11월 13일 경기 이천양정여고(117대 조한희)(2명 중 1명 등극), 2017년 - 1월 22일 경남 함안고(118대 이익찬), 4월 23일 강원 홍천고(119대 박우선)(2명 중 1명 등극), 5월 7일 경기 남양주 청학고(120대 함태원), 6월 18일 경기 안양고(◇)(121대 윤병희), 2018년 - 6월 3일 충남 계룡고(122대 박지호)>가 기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왕중왕은 총 9명 학생이다. * 현재까지 골든벨 수상자의 준왕중왕은 총 7명 학생이다. * 현재까지 한 해의 골든벨 수상자 중에서 첫 골든벨에 울려 한 해씩 남녀의 먼저 첫 골든벨에 등극 중에서 남학생이 10회, 여학생이 11회가 등극했다. * 현재까지 재도전 학교(◇)는 91개 학교(8학교는 골든벨을 울린 상태에서 재도전)이며,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수상자가 나온 경우는 단 10개 학교 밖에 없다.(대전대신고등학교(◇)는 2명 동시 배출) * 현재까지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는 6개 학교(골든벨을 울리지 않은 상태에서 3번 이상 재도전 한 학교는 없으며)이며,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수상자가 나온 경우는 없다.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한 학생은 단 2회로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에서 46대(김지혜 - 2학년) ~ 47대(김유진 - 1학년) - 여학생 2명 등극[* 정답은 기형도], [[대전대신고등학교]](◇, 재도전)에서 83대 ~ 84대에 등극하여 남학생 2인 동시 등극하여 배출한 학교이다.[* 정답은 칼레] 그러나 남, 녀 공학 및 남학생, 여학생은 한 회에서 2인 동시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도전하여 학생이 2명 중 1명이 등극한 학생은 단 4회로 최후의 2인 중 1명이 등극한 학교이다. * 현재까지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나오지 않은 횟수는 18회이다. *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15회, 2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2회, 300일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1회이다. * 현재까지 대거 탈락 문제(60명 이상 탈락 및 40명 생존 기준, 정답률 40% 이하 오답률 60% 이상 기준, 대거 탈락의 총 5문제의 골든벨 수상자 대거 탈락 5명 기준)의 대거 탈락의 골든벨 수상자의 등극한 횟수는 5회(2006년 1월 15일 53대 박나영 - 광주 정광고(62명 탈락), 2007년 1월 21일 61대 김신해 - 경북 경산 하양여고(78명 탈락), 2008년 10월 26일 71대 김도영 - 부산남고(82명 탈락), 2015년 8월 16일 110대 전진웅 - 경기 하남고 & 2015 역사통일 골든벨(62명 탈락), 2016년 4월 24일 113대 신한비 - 경남 김해가야고(78명 탈락)(2016년 연도별 골든벨 등극으로 늦은 날짜 - 4월 24일))이다. * 현재까지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한 해에서 연도별 늦은 날짜로 등극한 횟수는 4회(2010년 - 3월 21일 서울 동덕여고 76대 송정인, 2016년 - 4월 24일 경남 김해가야고 113대 신한비, 2018년 6월 3일 충남 계룡고 122대 박지호, 2019년 3월 10일 대구 운암고 125대 송명)이다. * 아직까지 한 해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에 등극하여 수상자 중에서(26대 등극 도전 당시 : 과학(노란색), 문학(초록색), 시사상식(하얀색), 예술(빨간색), 역사(파란색) 중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 (27대 ~ 32대 등극 당시 : 역사(노란색), 과학(파란색), 예술(초록색), 시사상식(빨간색), 문학(하얀색) 중 제시된 분야에서 5개의 통 중 1개 통을 선택), (33대 ~ 105대 등극 도전 당시 : 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 중 제시된 5개의 통 중 1개의 통을 선택), 현재(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106대 등극 ~ 현재)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을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하여 현재까지 아직 한 해에서 각 선택의 5개 통(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 전, 골, 든, 벨)의 모두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106대 백승호(경기 파주 운정고) 이후 & 도(남색), 전(빨간색), 골(회색), 든(보라색), 벨(진한 보라색) 중 5개의 제시된 분야에서 통 중 1개 통을 선택) * 현재까지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 전, 골, 든, 벨)의 모든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 * 그동안 [[충청남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의 선택에서 [[충청남도]]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5개의 각 색의 통을 선택하여 '''[[충청남도]]'''의 각 통의 모두 선택하여 등극한 학교(2004년 3월 28일 38대 이윤수 - 서산 서일고, 2006년 5월 7일 55대 - 석정완(◎) - 예산고(◎), 2006년 9월 17일 57대 손명균 - 공주사대부고, 2007년 8월 26일 64대 김성환 - 보령 대천고, 2012년 2월 5일 86대 - 이건희(2명 중 1명 등극)) - 충남외고)의 5개를 모두 등극하였다. * 그동안 [[경기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현재(2015년 1월 4일 ~ 현재, 106대 ~ 현재)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에서 경기도(2004년 11월 7일 43대 지관순 - 파주 문산여고(현 문산수억고), 2005년 7월 17일 50대 이덕원 - 광명 진성고, 2005년 10월 23일 51대 최원녕(◎)(★) - 경기 군포고(◎), 2006년 10월 1일 58대 오동환 - 수원고, 2008년 8월 24일 69대 임윤진 - 수원 태장고, 2014년 1월 5일 98대 이지수(◇, 재도전) - 성남 태원고(◇, 재도전), 2014년 9월 14일 102대 신명규 - 이천 효양고, 2014년 9월 14일 105대 권대규(★) - 김포 장기고 ~ 2015년 2월 1일 106대 백승호 - 파주 운정고, 2015년 8월 16일 110대 전진웅 - 하남고 & 2015년 광복절 특집 1부 역사통일 골든벨, 2015년 9월 7일 112대 서민석 - 안양 부흥고, 2016년 7월 17일 114대 권민성 - 성남 판교고, 2016년 8월 28일 116대 김민철 - 군포 부곡중앙고(현 군포중앙고) ~ 2016년 11월 13일 117대 조한희 - 이천양정여고(2명 중 1명 등극), 2017년 5월 7일 120대 함태원 - 남양주 청학고, 2017년 6월 18일 121대 윤병희(◇, 재도전) - 안양고(◇, 재도전)) 지역은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16개 통을 모두 5개를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였다. * 현재까지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성씨 중에서 9개([[강(성씨)|강씨]], [[차(성씨)|차씨]], [[하(성씨)|하씨]], [[마(성씨)|마씨]], [[원(성씨)|원씨]], [[성(성씨)|성씨]], [[나(성씨)|나씨]], [[왕(성씨)|왕씨]], [[홍(성씨)|홍씨]])의 성씨가 아직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남학생이 골든벨에 도전할 때 한 해(2018년)씩 1번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여학생이 골든벨에 도전할 때 한 해(2009년, 2012년, 2017년)씩 3번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2019년)의 여학생이 1번(2019년 8월 25일 강원 춘천 봉의고(재도전) - 127대 이휘리(당시 2학년, 현재 3학년)) 학생이 등극자가 있었으나, 아직 2019년 한 해의 여학생이 학교체에 참가한 고등학교에 여학생의 여학교, 남녀공학의 학교 성별이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2020년)의 여학생이 1번(2020년 3월 22일 충북 청주여고(재도전) - 131대 류한나(당시 2학년) 현재 3학년)) 학생이 등극자가 있었으나, 아직 2020년 한 해의 여학생이 학교체에 참가한 고등학교에 여학생의 여학교, 남녀공학의 학교 성별이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고 있다. * 현재 2020년에서 남녀공학 학생(남학생, 여학생 공통)이 골든벨에 도전할 때 한 해(2020년)씩 남녀공학(남학생, 여학생 공통) 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 * 역대 MC 중 남자, 여자 MC 아나운서의 역대 MC 이 씨 중에서 남자 MC가 진행하지 않았으며, 아직 이 씨가 중에서 남자 MC가 진행하지 않아 아직 명예의 전당 등극자를 기록하지 않고 있다. * 역대 MC 중 여자 MC 아나운서의 역대 여자 MC 12명 중에서 5명(前 [[손미나]], [[최원정]], [[김보민]], [[전주리]],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이 진행할 때 10명 이상 등극하여 기록을 하였다. * 역대 MC 중 여자 MC 아나운서의 역대 여자 MC 12명 중에서 5명(前 [[손미나]], [[최원정]], [[김보민]], [[전주리]],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이 진행할 때 아직 명예의 전당의 아직 역대 여자 MC의 10명 이상의 기록을 했다. * 역대 MC 중 여자 MC 아나운서의 역대 여자 MC 15명 중에서 12명(前 [[손미나]], [[최원정]], [[김보민]], 前 [[오정연]], [[정다은]],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전주리]],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이혜성]], [[강서은]],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이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하여 아직 역대 아나운서의 여자 MC의 12명 이상의 기록을 했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前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前 [[차다혜]], [[가애란]]) 3명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09년, 2012년)씩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2년 [[차다혜]], [[가애란]]의 2명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2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차다혜]], [[가애란]]) 2명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2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2년 [[차다혜]], [[가애란]]의 2명의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07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前 [[오정연]])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07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08년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4회 울렸다.(66대, 67대, 69대 ~ 70대, 2008년 - 2월 17일, 4월 20일, 8월 24일, 9월 21일)(2007년 [[오정연]] 前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3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전주리]])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3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4년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4회 울렸다.(참고 - 2015년 107대 등극, 3월 29일)(98대 ~ '''100대(금자탑)''', 2014년 - 1월 5일, 3월 23일, 7월 13일) * 현재까지 2017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7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8년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1회 울렸다.(122대, 2018년 6월 3일))(2017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여자 아나운서로 진행하여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8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총 2회 울렸다.(이후 다음 해인 2019년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8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의 남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8년, 2019년)의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2018년의 [[KBS]] 아나운서([[강성규]])의 남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한 해(2018년)의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2019년 남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이후 3회 울리고 있다.(125대, 2019년 3월 10일 ~ 126대(6월 9일(재도전)), 9월 8일, 10월 27일, 2020년 1월 19일) * 현재까지 2019년의 [[KBS]] 아나운서의 여자 MC([[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의 여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진행하는 중 한 해(2019년)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여학생은 2009년(4회 실패), 2012년(0회 없음), 2017년(2회 실패) 3회의 한 해씩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남학생은 2018년(3회 실패)의 1회의 한 해씩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남학생은 2009년(4회), 2012년(7회 - 2인 동시 등극 포함), 2017년(4회) 3회의 한 해씩 남학생이 등극하여 여학생 등극 없이 한 해에서 모두 남학생이 등극했다. * 현재까지 한 해에서 여학생은 2018년(3회) 3회의 한 해씩 여학생이 등극하여 남학생 등극 없이 한 해에서 모두 여학생이 등극했다. * 아직 지금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는 첫 방송 ~ 지금까지 공식 골든벨 등극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다. * 한 해에서 9명([[1999년]], [[2005년]])이 등극한지 등극한 학교의 아직 한 해에 10명 이상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남학생 1명, 여학생 4명 중 남학생이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으며, 남학생은 특집 편에서만 1명(101대) 밖에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남학생 2명, 여학생 5명 중 골든벨에 등극하였으나, 아직 남학교가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울산광역시]] 지역에서는 남학생 1명, 여학생 0명 중 골든벨에 등극하였으나 아직 남학생은 남학교, 여학생의 남학교, 여학교가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대전광역시]] 지역에서는 3명이 골든벨(2인 동시 등극 포함)에 등극하였으나, 아직 남녀공학이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충청북도]] 지역에서는 4명이 골든벨에 등극하였으나, 아직 남녀공학이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경상북도]] 지역에서는 10명이 골든벨(2인 동시 등극 포함)에 등극하였으나, 아직 남녀공학 남학생이 등극하지 못하고 있다. * 현재까지 단독으로 골든벨 수상자에 등극한 횟수는 4명 및 4개 학교인데 이 중 단 2명(18대, 128대)이 학교체에 등극하였고, 단 2명(95대, 103대)이 특집편에서만 2명이 나왔다. * 현재까지 과학고가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고 있으며, 단 한 번도 없으며, 특집 편에서만 단 2명(54대, 96대) 밖에 없다. * 현재까지 체육고가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고 있으며, 단 한 번도 없다. * 현재까지 역대 특집편에서 참가한 학생의 출신 학교의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은 도전자가 골든벨을 울린 횟수는 총 3개 학교 소속이며, 총 3회(52대, 54대, 96대)이며, 수상자일 경우 총 3개 학교가 참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 현재까지 같은 학교에서 골든벨에 2번 이상 등극한 경우는 4개 학교이다.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첫 도전/재도전)하여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는 3개 학교이다. * 한 방송일에서 같은 날짜의 두 번 이상 (첫 도전/재도전/3번 이상 재도전) 포함하여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는 12회(각 24개 학교)이다. * 매 학교에 참가할 때마다 출연 학교의 벽걸이를 걸어 최근 10회 이상 등극한 학생의 얼굴의 사진을 게시하여 제13?대 - 골든벨? 등극한 학교(예시 제13?대 골든벨 - ㅁㅁ고등학교 ㅁㅁㅁ)를 게시하고 있다. * 아직 두 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 아직 세 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에서 세 번 이상 골든벨에 등극한 학생을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12년 12월 23일 이후 2013년 1월 6일부터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KBS 포토뱅크의 홈페이지의 2012년 11월 4일 이전까지 이후 2012년 11월 11일부터 촬영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서 등극한 도전자의 113대 ~ 이후 114대 골든벨에 등극한 리스트가 기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 50번을 달고 등극한 학생은 4명이 유일하다.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 최후의 99번을 달고 등극한 24대 골든벨 서수연([[백석고등학교|경기 고양 백석고등학교]] 3학년, ◇)이 유일하다.(재도전 학교에서만 99번을 달고 24대 등극)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는 100번을 달고 등극한 55대 골든벨 석정완([[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2학년, ◎)이 유일하다. * 참고로 골든벨 수상자 가운데서는 패자부활전으로 올라온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으면 30개를 풀거나, 40개 ~ 49개 가량을 풀고 골든벨을 울린 경우도 있다. 실제로 101번을 달고 골든벨을 울린 경우는 19대 골든벨 조형규([[대원외국어고등학교|서울 대원외국어고등학교]] 스페인어과 3학년 - [[2001년]] [[5월 4일]] [[KBS 2TV]])가 유일하여 단 1명 뿐이다.(통과 전의 각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후 101번 달고 통과) * 50번 골든벨 문제 유형(색) 선택의 등극한 학교에서 누락된 부분은 기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 독립 편성 ~ 2000년 ~ 2001년) * 현재까지 한 회에서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 ~ 2인이 도전하여 학생이 2명 중 1명이 등극한 학생은 단 4회로 최후의 2인 중 1명이 등극하여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고 있는 누락된 학교이다. == 역대 명예의 전당 등극자(131대 및 131명 수상자 기준) == === [[도전 골든벨/명예의 전당/1990년대|1990년대]] === === [[도전 골든벨/명예의 전당/2000년대|2000년대]] === === [[도전 골든벨/명예의 전당/2010년대|2010년대]] === === [[도전 골든벨/명예의 전당/2020년대|2020년대]] === == 명예의 전당 등극자 분포(131대 및 131명 등극 학생 기준, 126개 등극 학교 기준) == === 지역별[* 두 명 이상의 골든벨에 등극한 지역은 (2)로 표시한다.][* 아직 현재까지 과학고등학교가 단독으로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는 단 한 번도 없다.] === ||<:> 지역 ||<:> 남자 ||<:> 여자 ||<:> 등극자 ||<:> 비고 || ||<:> '''[[서울특별시]]''' ||<:> 14 ||<:> 7 ||<:> 21 ||<:> [* 1999년 9월 10일 독립 편성에서 최초로 골든벨을 울린 서울 상명여고(現 상명고)의 5대 변보영][* 서울에서는 같은 학교 중산고(서울) - 5대 장태진, 75대 김주송(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에서 등극] || ||<:> [[부산광역시]] ||<:> 3 ||<:> 4 ||<:> 7 ||<:> || ||<:> [[인천광역시]] ||<:> 4 ||<:> 1 ||<:> 5 ||<:> || ||<:> '''[[대구광역시]]''' ||<:> 6 ||<:> 3 ||<:> 9 ||<:> [* 대구광역시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9명이 울렸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광주광역시]] ||<:> 2 ||<:> 2 ||<:> 4 ||<:> [* 현재까지 광주광역시 지역에서는 통산 4회 중 여학생 2회(53대, 66대), 남학생 2회(79대, 97대)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모두 남녀공학,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광주광역시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4명이 울렸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대전광역시]](2) ||<:> 2 ||<:> 1 ||<:> 3 ||<:> [* 역대 2번째로 2012년 1월 15일 2인 동시 등극으로 대전대신고등학교(◇) 재도전으로 역대 재도전 학교가 2번째 골든벨 탄생][* 현재까지 대전에서는 이 두 개의 고등학교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다.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와 여고이며, 모두 서구에 있다는 게 특징.][* 대전광역시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3명이 울렸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울산광역시]] ||<:> 1 ||<:> 0 ||<:> 1 ||<:> [* 현재까지 2003년 9월 7일 - 34대의 울산에서는 이 한 개의 고등학교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다.] || ||<:> [[세종특별자치시]] ||<:> 2 ||<:> 0 ||<:> 2 ||<:> [* 교명 변경 전(2008년 7월 20일, 조치원고 - 68대) 이후 모두 등극한 횟수 2회로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기 전의 [[충청남도]] [[연기군]]이었다.][* 세종특별자치시(구 충남 연기군 지역)은 같은 학교 현 세종고(구 조치원고) - 68대 정경식(구 조치원고), 93대 김진욱(현 세종시 - 팔도최강전 세종시 편)] || ||<:> '''[[경기도]]''' ||<:> 17 ||<:> 8 ||<:> 25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1999년 2월 19일 초대 골든벨을 울린 경기 성남 분당고 이병렬][* 경기에서는 2016년 11월 13일 2명 중 1명 등극한 117대 조한희(이천양정여고)][* 그동안 [[경기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현재(2015년 1월 4일 ~ 현재,106대 ~ 현재)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에서 경기도(43대, 50대, 51대, 58대, 69대, 98대, 102대,105대 ~ 106대, 110대, 112대, 114대, 116대 ~ 117대, 120대 ~ 121대) 지역은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16개 통을 모두 5개를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 경기에서는 같은 학교 하남고 - 110대 전진웅(2015 광복절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28대 김민석(특집편 110대 등극의 같은 학교 이후 참가)에서 등극] || ||<:> '''[[강원도]]''' ||<:> 6 ||<:> 2 ||<:> 8 ||<:> [* 강원에서는 같은 학교 춘천고 - 37대 박진, 59대 문형범(2006년 독서 골든벨)에서 등극][* 강원도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8명이 울렸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충청북도]] ||<:> 2 ||<:> 2 ||<:> 4 ||<:> [* 현재까지 충북에서는 통산 4회 중 남학생 2회, 여학생 2회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으며, 청주, 충주, 제천 3개의 시 지역 이외의 군 지역은 없다.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남고와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충청북도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4명이 울렸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충청남도]]''' ||<:> 5 ||<:> 3 ||<:> 8 ||<:> [* 충남에서는 2012년 2월 5일 2명 중 1명 등극 - 86대 이건희(충남외고)][* 충청남도 지역은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의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각 통의 선택(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에서 충청남도의 모두 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선택하여 모두 등극함] || ||<:> [[전라북도]] ||<:> 1 ||<:> 4 ||<:> 5 ||<:> [* [[2014년]] [[7월 13일]]에 방송된 전주 [[전북여자고등학교]] 편에서 100대 골든벨 김희주 양 학생이 등극하여 100대 골든벨 금자탑으로 첫 골든벨을 울린지 5,623일 만에 금자탑을 달성해 전북지역은 최장 공백기로 4,895일 만에 등극함][* 현재까지 전북에서는 통산 5회 중 여학생 4회(4대, 18대, 100대, 109대), 남학생 1회(101대 - 특집편) 밖에 골든벨을 울리지 못했으며, 전주(18대, 100대 ~ 101대, 109대)와 익산(4대) 이외의 지역은 없다. 재미있게도 남자(101대는 특집에서만 등극, 단독 등극 없음)가 아닌 모두 여자이며, 재미있게도 남녀공학이 아닌 여고(4대, 18대, 100대, 109대)가 있다는 게 특징이고, 특집편에서만 남학생이 등극한 게 특징이고, 남학생은 특집편 밖에 단독으로 전북지역이 참가 학교의 남학생이 등극한 적이 없다.][* 전북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5명이 울렸으나,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전라남도]] ||<:> 2 ||<:> 5 ||<:> 7 ||<:> [* 현재까지 전남에서는 통산 7회 중 여학생 5회(9대, 32대, 60대, 77대, 92대), 남학생 2회(87대, 95대) 밖에 골든벨을 울린 후 재미있게도 남고가 아닌 아닌 모두 남녀공학, 여고가 있다는 게 특징.][* 전남지역은 골든벨 수상자 7명이 울렸으나,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경상북도]](2) ||<:> 4 ||<:> 6 ||<:> 10 ||<:> [* 2005년 3월 6일 KBS 공사창립 특집의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가 역대 최초로 한 회의 한 학교에서 2명 동시 명예의 전당에 등극하였다.][* 경북에서는 2006년 6월 11일 2명 중 1명 등극 - 56대 윤문열(칠곡 순심고)][* 아직까지 경북지역에서는 남학생이 출신 공학에서는 등극하지 않고 있다.] || ||<:> '''[[경상남도]]''' ||<:> 8 ||<:> 3 ||<:> 11 ||<:> [* 경남지역은 골든벨 수상자의 11명이 울렸으나,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0 ||<:> [* 참고로 지금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에서는 2000년 1월 7일의 첫 방송부터 지금까지 공식 골든벨 등극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지역은 골든벨 수상자가 단 한 번도 없으며, 아직 참가한 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여자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하지 않고 있다.] || ||<#CC0000><:> {{{#gold [[중국]]}}} ||<#CC0000><:> {{{#gold 0}}} ||<#CC0000><:> {{{#gold 1}}} ||<#CC0000><:> {{{#gold 1}}} ||<#CC0000><:> {{{#gold [* 2016년 8월 21일 재중동포 특집 편에서 골든벨을 울린 여학생은 115대 황미홍]}}} || ||<:> 합계 ||<:> 79 ||<:> 52 ||<:> 131 ||<:> || === 순위별 === ||<:> 순위 ||<:> 지역 ||<:> 남 ||<:> 여 ||<:> 등극자 || ||<:> 1 ||<:> '''[[경기도]]''' ||<:> 17 ||<:> 8 ||<:> 25 || ||<:> 2 ||<:> '''[[서울특별시]]''' ||<:> 14 ||<:> 7 ||<:> 21 || ||<:> 3 ||<:> '''[[경상남도]]''' ||<:> 8 ||<:> 3 ||<:> 11 || ||<:> 4 ||<:> [[경상북도]](2) ||<:> 4 ||<:> 6 ||<:> 10 || ||<:> 5 ||<:> '''[[대구광역시]]''' ||<:> 6 ||<:> 3 ||<:> 9 || ||<|2><:> 6 ||<:> '''[[충청남도]]''' ||<:> 5 ||<:> 3 ||<|2><:> 8 || ||<:> '''[[강원도]]''' ||<:> 6 ||<:> 2 || ||<|2><:> 7 ||<:> [[전라남도]] ||<:> 2 ||<:> 5 ||<|2><:> 7 || ||<:> [[부산광역시]] ||<:> 3 ||<:> 4 || ||<|2><:> 8 ||<:> [[인천광역시]] ||<:> 4 ||<:> 1 ||<|2><:> 5 || ||<:> [[전라북도]] ||<:> 1 ||<:> 4 || ||<|2><:> 9 ||<:> [[광주광역시]] ||<:> 2 ||<:> 2 ||<|2><:> 4 || ||<:> [[충청북도]] ||<:> 2 ||<:> 2 || ||<:> 10 ||<:> [[대전광역시]] ||<:> 2 ||<:> 1 ||<:> 3 || ||<:> 11 ||<:> [[세종특별자치시]] ||<:> 2 ||<:> 0 ||<:> 2 || ||<|2><:> 12 ||<:> [[울산광역시]] ||<:> 1 ||<:> 0 ||<|2><:> 1 || ||<#CC0000><:> {{{#gold [[중국]]}}} ||<#CC0000><:> {{{#gold 0}}} ||<#CC0000><:> {{{#gold 1}}} || ||<:> -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0 || ||<:> 합계 ||<:> 17개 지역 [br] 중국 ||<:> 79 ||<:> 52 ||<:> 131 || === 연도별[* 한 해에서 9명([[1999년]], [[2005년]])의 아홉수에 걸렸는지 아직 한 해에 10명 이상을 등극하지 않고 있다.][* 한 해에 10명 이상이면 최대 11명에서 20명까지 등극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 해에서 각 모든 5개(도, 전, 골, 든, 벨)의 모두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하지 않고 있다.][* 역대 MC 중 여자 MC 아나운서의 역대 여자 진행자 12명 중에서 9명이 걸렸는지(前 [[손미나]], [[최원정]], [[김보민]], 前 [[오정연]], [[정다은]],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전주리]],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강서은]])이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한지, 역대 여자 MC의 11명 이상의 기록을 했다.][* 2명 동시 등극한 학생은 (2)로 표시한다.][* 2명 중 1명이 등극한 학생은 (1)로 표시한다.][* 현재까지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나오지 않은 횟수는 16회이다.][* 1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12회, 200일 이후 넘게 수상자가 등극한 횟수는 2회이다.][* 지금까지 제주지역에서는 공식 골든벨 수상자가 배출하지 않고 기록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전북에서는 공식 골든벨 수상자 중 남학생이 단독으로 1명이 특집편에서 등극했으나,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고, 남학교, 공학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광주, 전남에서는 공식 골든벨 수상자 중 남학생이 단독으로 등극하지 않아 남학교가 등극하지 않고 있다.] === ||<:> 연도 ||<:> 남자 ||<:> 여자 ||<:> 등극자 ||<:> 누적 등극자 ||<:> 비고 || ||<|3> 1999 || 3 || 2 || 5 ||<|3> 9 || 접속! 신세대 코너 [br] [* 접속! 신세대에서 5명 배출][* 1999년 상반기 왕중왕전의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명예의 전당 등극자 5명의 대거 전원 탈락('''1대(초대)''' ~ 5대)] || || 1 || 3 || 4 || 독립 편성 [br] [* 1999년 준왕중왕 - 9대 김수영(전남 여수정보과학고)][* 독립 편성에서 4명 배출] || || 4 || 5 || 9 || [* 1999년 10회 이상 등극 실패] || || 2000 || 5 || 2 || 7 || 16 || [* 2000년 경기지역 3번째 등극(10대 조아라(의정부여고), 14대 김보석(성남 이매고), 15대 이창순(이천고(◎)((☆)상반기)), 인천지역 2번째(12대 이동섭(인항고), 16대 박진우(대인고(★)) 등극][* 역대 최초로 2000년 7명 등극][* [[KBS 2TV]]에서만 2000년 7회 골든벨 등극][* 2000년 13대 권보원(대구 경북고)의 상반기 준왕중왕, 하반기 및 연말 왕중왕][* 2000년 15대 이창순(경기 이천고(◎))의 상반기 왕중왕 등극][* 2000년 하반기 및 연말 준왕중왕 - 인천 대인고(◎)(2000년 10월 6일), 16대 박진우)] || || 2001 || 4 || 4 || 8 || 24 || [*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최초로 골든벨 등극(18대), 여학생에서만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18대 골든벨 등극][* 100회 특집은 2001년 왕중왕전 대체로 2001년 왕중왕 등극 - 17대 박장미(서울 진명여고)][* 최초로 3주 연속 등극(2001년, 21대 ~ 23대)][* 역대 최초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등극(24대 서수연(◇)][* [[KBS 2TV]]에서만 7회 골든벨 등극][* [[KBS 1TV]]에서 일요일 방송시간대의 1회 골든벨 등극][* 서울(17대 박장미(진명여고(☆)), 19대 조형규(대원외고)), 부산(21대 선지원(한국테크노과학고), 22대 이정호(동아고)), 경기(23대 한성식(구리고), 24대 서수연 고양 백석고(◇))는 3개 지역은 각각 2회 등극][* 2001년의 22대 이정호(당시 부산 동아고 3학년)가 2002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에 참가했다.] || || 2002 || 2 || 4 ||<|2> 6 || 30 || [* 남학생은 303일 만에 등극 - 27대 김동원(서울 선정고 당시 3학년)][* 2002년 서울지역 3번째 골든벨 등극 및 3관왕][* 2002년 왕중왕 등극 - 25대 유은영(강원 춘천여고 졸업생)][* 30대 윤슬기(서울 진선여고) - 2002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 2003 || 3 || 3 || 36 || [* [[2013년]] [[제주특별자치도]] 지역 골든벨 도전 2회 실패][* 2003년 경남지역 2회 및 2관왕 등극(34대 안경필(진주동명고), 36대 송영석(창원중앙고))][* 2002년 ~ 2003년 2년 연속 6명][* 2년 연속 성별의 남 3명, 여 3명 등극][* 2003년 왕중왕전의 2003년 명예의 전당 등극자 대거 전원 탈락(31대 ~ 36대)] || || 2004 || 5 || 2 || 7 || 43 || [* 2000년 이후 4년 만에 역대 2번째로 2004년 7명 등극][* 2004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이윤수(38대, 충남 서산 서일고)][* 2004 왕중왕 - 박진(강원 춘천고, 37대)][* 박진의 37대 등극(2004 왕중왕(☆) 등극 포함)하여 2018년 900회 특집(1부 ~ 2부 포함) - 역대 골든벨 최강자전에서 우승] || || 2005(2) || 5 || 4(2) || 9 || 52 || [* 역대 최초로 2005년 3월 6일 경북 구미여고의 2인 동시 배출(46대(김지혜) ~ 47대(김유진))][* 구미지역은 구미여고의 2인 동시 배출(46대(김지혜) ~ 47대(김유진))에 이어 48대 박정애(오상고)가 3번째 구미지역 3번째 골든벨 등극 및 3관왕 등극][* 1대 ~ 50대 골든벨 등극으로 6년 6개월여(2,340일) 만에 등극][* 300회 특집 도전! 독서 골든벨에서 52대 김은정(경북 안동여고)의 등극으로 경북지역 4번째 골든벨 등극 및 4관왕 등극][* 2005년 경기지역 2번째 및 2관왕 등극(50대 이덕원(광명 진성고), 52대 최원녕(군포고(★)(◎)))][* 1999년 이후 7년 만에 역대 2번째로 9회 기록][* 2005년 2번째로 10회 이상 등극 실패][* 2005년 준왕중왕 - 경기 군포고(◎)(2005년 10월 23일), 51대 최원녕)] || || 2006(1) || 5(1) || 3 || 8 || 60 || [* 역대 최초로 최후의 2인 도전중 1명(56대 윤문열(경북 칠곡 순심고)) 등극][* 같은 학교([[춘천고등학교]])에서 등극(25대에 이어 등극)][* 2006년 충남지역 2회 및 2관왕 등극(55대 석정완(예산고(◎), 57대 손명균(공주사대부고))][* 2006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1회 실패][* 2006 왕중왕(경북 칠곡 순심고 윤문열(2006년 6월 11일 - 56대)][* 2년 연속 준왕중왕 - 54대 표하림(서울과학고 졸업생, 와이즈 골든벨 2006년 2월 5일)] || || 2007 || 3 || 2 || 5 || 65 || [* 2007년 경북지역 2회 등극 및 2관왕(61대 김신해(경산 하양여고),65대 이규인(김천고))][* 2007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1회 실패][* 역대 최소 5명][* 2007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이민주(63대 - 강원 평창고 당시 2학년)][* 2007년 [[오정연]] 前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 || 2008 || 2 || 4 || 6 || 71 || [* 2008년 대구지역 2회 골든벨 등극 및 2관왕(67대 이선화(정화여고), 70대 최수진(현풍고))][* 2008년 여학생 4명 등극 최고 기록 - 최초][* 2008년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1번 실패했다.][* 역대 [[2008년]] 66대 ~ 71대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의 주인공들 전원 탈락] || || 2009 || 4 || 0 ||<|2> 4 || 75 || [* 2009년 11월 8일 500회 특집 - 전국 고교 최강전의 같은 학교(서울 [[중산고등학교(서울)|중산고등학교]])에서 등극(5대에 이어 75대에 등극)][* 2009년 서울지역 3번째 골든벨 등극(72대 이수홍(중앙고), 73대 김주헌(고대부고), 75대 김주송(중산고) - 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2009년 남학생 4명 등극][* 2009년 방송할 때 여학생이 한 번도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2009년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아 4번 도전 실패][* 2007년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역대 2009년 72대 ~ 75대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 4명의 주인공들 전원 탈락][* 2년 연속 2008년(66대 ~ 70대) ~ 2009년(72대 ~ 75대) 명예의 전당 총 10명의 주인공들 2년 연속 전원 탈락] || || 2010 || 2 || 2 || 79 || [* [[정다은]]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010년(2명) ~ 2011년(1명)에 여학생이 3회 등극했다.][* [[정다은]]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010년에도 골든벨 명예의 전당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여학생은 1년 6개월 만에 등극][* 역대 최초로 [[2010년]] 첫 골든벨은 3월 21일에서야 나옴][* 2010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2회 실패][* 2년 연속 4회에 그침][* 2010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송정인(76대 서울 동덕여고 당시 2학년)][* 김새롬(78대 전남 순천매산여고 당시 3학년, 졸업생) 양이 2011년 600회 특집 - 1부 역대 출연자에서 우승] || || 2011 || 2 || 1 || 3 || 82 || [* 70대 ~ 80대에 등극한지 1,066일 만에 등극][* 70대 ~ 80대에 등극하여 거의 1,00일 이후 넘게 등극][* 2011년 경북지역 2회 등극(80대 염동호(포항 영신고), 82대 김태우(예천 대창고)][* 2010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3회 실패][* 역대 최소 3명 - 2011년][* 2011년 [[차다혜]] 前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각 여학생, 남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각 1번 실패했다.][* 2011년 왕중왕 등극 82대 김태우(경북 예천고 - 2011년 7월 31일)] || || 2012(2)(1) || 7(1) || 0 || 7 || 89 || [* 역대 2번째로 2인 동시(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 재도전)에서 83대(서문규) ~ 84대(김덕호))가 2인 동시 배출함][* 재도전 학교(◇)(대전대신고)에서 2인 동시 배출함][* 대전지역은 2인 동시 배출로 2회 및 2관왕 등극(재도전 학교 기준에서 2인 동시 배출함)][* 역대 2번째로 최후의 2인 도전 중 1명 등극][* 충남지역은 2012년 2월 5일 충남외국어고 편의 86대 이건희 군(충남외고 - 2명 중 1명 등극) 학생이 등극하여 그동안 '''[[충청남도]]''' 지역이 도, 전, 골, 든, 벨의 각 색(도(빨간색), 전(노란색), 골(파란색), 든(하얀색), 벨(초록색))을 모두 선택하여 5개 선택을 모두 등극하여 금자탑 달성][* 충남지역이 도, 전, 골, 든, 벨을 모두 선택하여 등극한지 2004년 3월 28일 38대 이윤수(서산 서일고) ~ 2012년 2월 5일 86대 이건희(충남외고 - 2명 중 1명 등극)가 2,870일 만에 달성으로 금자탑][* 2012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3회 실패][* 2002년 2, 3번째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대전대신고(◇, 재도전)에서 83대(서문규) ~ 84대(김덕호))가 2인 동시 배출, 88대 유은식(서울 배재고(◇))][* 서울지역 2관왕 등극(88대 유은식(배재고(◇)), 89대 김태준(한서고))][* 2012년 방송할 때 여학생이 한 번도 골든벨에 등극한 적이 없었다.][* 2012년 前 [[차다혜]], [[가애란]] 아나운서의 2명이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도전하지 않고 등극하지 않았다.][* 역대 3번째로 2004년 이후 7명(남학생 기준) 등극][* 2012년 남학생 7명 등극][* 2012년 왕중왕전의 2012년 명예의 전당 등극한 수상자의 대거 전원 탈락(83대 ~ 89대)][* 12월 16일 서울 한서고 김태준의 89대 등극하여 2018년 900회 특집(1부 ~ 2부 포함) - 역대 최강자전에서 준우승] || || 2013 || 6 || 2 ||<|2> 8 || 97 || [* 2013년 1월 6일 서울 대광고(90대 - 한종현 당시 1학년)가 새해 최초로 골든벨 등극][* 2년여(735일) 만에 여학생 등극 - 92대 최정서(전남 완도고 당시 3학년)][* 2013년 명예의 전당 왕중왕 이후 마지막 2013년 왕중왕 등극자 - 현재 침묵한 상태][*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새 MC일 때 2013년에 2013년 1월 6일 서울 대광고(90대 - 한종현 당시 1학년) 새해 최초로 골든벨에 등극했다.][*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013년에 여학생이 2회 등극했다.][* 같은 학교(경기 [[이천고등학교]])에서 첫 도전(15대 이창순 등극)과 재도전(15대에 이어 아쉽게 탈락)하여 최초로 같은 학교의 골든벨 2번 이상 등극 실패][* 같은 학교(경기 [[군포고등학교]]에서 첫 도전(51대 최원녕 등극)과 재도전(51대에 이어 아쉽게 탈락)하여 2번째로 같은 학교의 골든벨 2번 이상 등극 실패][* 2013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3회 실패][* 2년 연속 서울지역 2관왕 등극(90대 한종현(대광고), 96대 김주훈(세종과학고 - 2013 과학 골든벨))][* 같은 학교([[세종고등학교]], 구 조치원고등학교)에서 등극(68대에 이어 등극)하여 2013 왕중왕 등극][* 2013년 [[전주리]]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2번째로 골든벨 등극(95대, 추석 특집 편의 기준에 한 함), 남학생에서만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특집 편에서만 95대 골든벨 등극] || || 2014 || 5 || 3 || 105 || [* 2년 연속(2014년 1월 5일 경기 성남 태원고 - 98대 이지수 당시 3학년) 새해 첫 골든벨 등극][* 재도전 학교(◇)(경기 성남 태원고)에서 새해 첫 배출함][* 전북에서는 역대 최장 공백기로 4,895일 만에 탄생, 역대 지역 최장 공백기 - 전북여고 100대 김희주(당시 3학년)][* 100대 골든벨은 첫 골든벨 이후 5,623일여(약 15년 9개월) 만에 금자탑][* 2년 연속 8명 등극][* 전북지역 최초로 남학생 등극(특집편에서 등극한 지역에 한함)][* 51대 ~ 100대의 사이에 등극하지 3,284일여(약 9년) 만에 등극][* 2014년 역대 4, 5번째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98대 이지수(경기 성남 태원고(◇)), 104대 문성호(인천 동산고(◇))][* 전북지역 2관왕 등극(100대 김희주(전북여고(금자탑)), 101대 송현서(전주 상산고 - 2014 특집 수학 골든벨)][* 100대 김희주(전북여고) ~ 101대 송현서(전주 상산고 - 2014 특집 수학 골든벨)의 연속 전북지역 2관왕 및 2회 등극][*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3번째로 골든벨 등극(103대, 관광 골든벨 특집편의 기준에 한 함), 남학생에서만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특집편에서만 2번째 등극하면서 103대 골든벨 등극][* 2014년 경기지역 2회 등극 102대 신명규(이천 효양고),105대 권대규(김포 장기고)][* 2014 준왕중왕 - 105대 권대규(경기 김포 장기고)][* 특이한 점은 [[2014년]] 상반기 때에는 여학생이 골든벨을 3번 울렸고, [[2014년]] 하반기 때에는 남학생이 골든벨을 5번 울렸다.][* 남학생은 골든벨에 실패하지 않았다.][* [[전주리]] 아나운서가 재도전 학교에서 2번 동안 골든벨에 등극했다.] || || 2015 || 4 || 3 || 7 || 112 || [* 3년 연속 새해 첫 골든벨 등극 실패][* 2015년 첫 골든벨 등극은 2월 1일(106대 백승호 - 파주 운정고)에 나옴][* 2015년 역대 6번째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107대 전해청(경남 마산고(◇))][* 2015년 [[전주리]] 아나운서가 재도전 학교에서 1번 울려 재도전에서 통산 재도전 3회 등극했다.][* 2015년 [[전주리]] 아나운서가 여학생 통산 1회로 등극,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가 여학생 2명 등극했다.][* 경기지역 3관왕 등극(106대 백승호(파주 운정고), 110대 전진웅(하남고 - 2015년 역사통일 골든벨), 112대 서민석(안양 부흥고))][* 경남지역 2관왕 등극(108대 류지윤(창녕옥야고), 111대 최준희(밀양고))][* 3년 연속 8회 등극 실패(2013년 ~ 2014년)][* 2015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3회 실패][* 역대 4번째로 2004년 이후 7명 등극][* 2년 연속 골든벨 수상자의 준왕중왕(109대 이예지(전북 전주중앙여고))] || || 2016(1) || 2 || 3(1) || 5 || 117 || [* [[2016년]] 실업계 골든벨 도전 실패 2회][* [[2016년]]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에서 실패][* 역대 2번째로 [[2016년]] 첫 골든벨은 가장 늦은 [[4월 24일]]에서야 나옴(113대 신한비(경남 김해가야고 당시 3학년)][* [[2016년]] 남학생은 315일 만에 등극(114대 골든벨 권민성(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 2학년)][* 2016년 5명(남자 2명, 여자 3명) 등극자 중 재중동포 여학생 1명이 등극함][* 2016년 골든벨 수상자의 6명 ~ 7명 등극 실패][* 역대 2번째로 2016년 최소 5명(2007년 이후 8년 만에 2번째로 5명이 골든벨 수상자를 기록][* 2년 연속 7회 및 6 ~ 7회 등극 실패(2016년)][* 중국이 재중동포 특집 편에서 골든벨을 최초로 울림 - 115대 황미홍][* 2016년 현재까지 남학교가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 등극하지 않았다.][* 2006년 경기지역 3회 및 3관왕 등극(114대 권민성(성남 판교고), 116대 김민철(군포 부곡중앙고 - 현 군포중앙고), 117대 조한희(이천양정여고 - 2명 중 1명 등극)][* 2016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실패][* 2년 연속 2016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등극 도전 3회 실패][* 역대 2번째로 2007년 이후 2016년 5명 등극][* 2016년 왕중왕전의 2016년 명예의전당 등극자 5명 대거 전원 탈락(5명, 113대 ~ 117대)으로 왕중왕 도전의 등극 실패][*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년 연속(2015년 12월 27일, 2016년 왕중왕전 1, 2부 포함 12월 18일 ~ 12월 25일)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2015년 7회 등극, 2016년 5회 등극)가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의 2016년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서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역대 3번째로 2명 동시 등극 실패로 최후의 2인 도전 중 1명 등극][* 역대 3번째로 최후의 2인 도전 중 1명 등극 - 117대 조한희(경기 이천양정여고, 최후의 2인 중 1명 등극)][* [[2016년]] [[12월 11일]] 송년 및 결산 특집 방송에서는 2016년 골든벨 어워즈 편에서 아주 특별한 시상식의 2016년 골든벨 수상자(2016년 5명)에서 방송됨][* 오승원 아나운서가 2016년 ~ 2017년까지의 기준에서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서 왕중왕에 등극하지 않았다.][* 2016년 전북지역 등극 실패(2월 28일 군산동고 - 남학생)][* 전북지역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마지막(2016년 2월 28일 군산동고 - 남학생, 김동원)][* 2016년 왕중왕전의 2016년 명예의 전당 등극한 수상자의 대거 전원 탈락(113대 ~ 117대)] || || 2017 || 4 || 0 || 4 || 121 || [* 2017년 첫 골든벨 등극은 1월 22일(118대 이익찬 - 경남 함안고)에 나옴][* 역대 4번째로 최후의 2인 도전 중 1명 등극 - 119대 박우선(강원 홍천고, 최후의 2인 중 1명 등극)][* 역대 4번째로 2명 동시 등극 실패로 최후의 2인 도전 중 1명 등극][* 2년 3개월 만에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배출][* 재도전 학교가 2년 만에 812일 만에 등극][* 2017년 역대 7번째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121대 윤병희(경기 안양고(◇)][* 2017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이후 재도전(121대 윤병희 - 경기 안양고(◇)) 외 단독 및 일반(여학생, 남학생 - 여고, 남고, 공학)으로 등극하지 않았다.][* 2007년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1번 실패했다.][* 2017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고 있어 1번 도전 실패했다.][* 2017년 여학생이 단 한 번도 등극하지 않았다.][* 2017년 여학교가 4학교 참가할 때 여학생이 울리지 못했다.][* 역대 3번째로 2009 ~ 2010년 이후 2017년 4명 등극][* 역대 3번째로 2009년, 2012년 이후 2017년 여학생 등극 없음][* 2017년 남학생 4명 등극(역대 2번째로 2009년에 이어 2번째로 남학생 4명 등극)][* 역대 최소 4명 - 역대 3번째로 4명][* 2년 연속로 5회 등극 실패(2017년)][* 2017년 전북지역 골든벨 도전 실패 및 없음(그 외 8월 20일 정읍고(최종문제 : 49번) - 남학생)][* 2017년 골든벨 수상자의 4명(118대 ~ 121대, 남학생 4명 등극 기준) 중 2017년 왕중왕전 편성 취소로 KBS 노조 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았음][* 2017년 왕중왕전의 결방으로 편성 취소와 다음 해인 2018년 왕중왕전의 2017년 명예의 전당 등극한 수상 4명의 대거 전원 탈락(118대 ~ 121대)] || || 2018 || 0 || 3 || 3 || 124 || [* 2018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1번 등극하였으며, 여학생이 1번 도전 실패하여 총 2회 실패하였다.][* 2018년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최초로 골든벨에 1번 등극하였다.][* 2018년 여학생이 567일 만에 등극하였다.][* 2018년 여학교가 1학교 참가할 때 여학생이 울렸다.][* 역대 3번째로 2018년 첫 골든벨은 가장 늦은 [[6월 3일]]에 나옴(122대 박지호(충남 계룡고 당시 3학년))][* 2018년 [[이혜성]]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골든벨에 2번 등극했다.][* [[2018년]] 기준으로 역대 골든벨 등극자의 이혜성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이 씨 최초로 골든벨에 등극했다.(여학생에서만 최초로 이 씨 진행자([[이혜성]] 아나운서)의 골든벨 등극)][* 2018년 전북지역 골든벨 등극 없음][* 2018년 [[강성규]] 아나운서의 남자 MC가 진행할 때 남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2018년 [[강성규]] 아나운서의 남자 MC가 진행할 때 등극하지 않고 있어 3번 도전 실패했다.][* 2018년 남학교가 단독 없음 재도전 학교에서만 참가할 때 남학생이 울리지 못했다.][* 역대 최초로 2018년 남학생 등극 없음][* 2018년 [[이혜성]]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남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지 않았다.][* 2018년 왕중왕전의 2018년 명예의 전당 등극한 수상자 3명의 대거 전원 탈락(122대 ~ 123대)][* 여자 MC [[이혜성]]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2018년 10월 7일 새 MC 이후 이 씨 최초로 진행(여성 진행자 기준), 2018년 왕중왕전 12월 30일 방송분)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2018년 3회 등극)가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여자 MC [[이혜성]] 아나운서의 2018년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서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남자 MC [[강성규]] 아나운서의 2018년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서 왕중왕에 등극하지 못했다.][* 124대 등극 후 마지막 여학생 등극자 - 현재 238일째 침묵(2019년 7월 14일, 고등학교 미확정 기준)] || || 2019 || 4 || 1 || 5 || 129 || [* 2019년 [[강성규]] 아나운서의 남자 MC가 진행할 때 남학생이 최초로 등극했다.(125대)][* 2019년 남학생 등극(2019년 3월 10일 - 대구 운암고, 125대)][* 2019년 [[이혜성]]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2019년 [[이혜성]]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다.][* 2019년 [[강서은]] 아나운서의 여자 MC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했다.(127대, 8월 25일(재도전, ◇) 등극에 한 함)][* 2019년 남학생 등극(2019년 3월 10일 - 대구 운암고, 125대)][* 2019년 이후 121대(2017년 6월 18일, 경기 안양고(◇, 재도전) 남학생이 이후 630일 만에 등극하였다.][* 역대 4번째로 2019년 첫 골든벨은 가장 늦은 [[3월 10일]] 나옴(125대 송명(대구 운암고 당시 학년)][* 같은 학교([[하남고등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에서 등극(2015년 역사통일 골든벨 최후의 1인 같은 학교 소속 110대에 이어 등극)하여 128대 등극] || || 2020 || 1 || 1 || 2 || 131 || [* 2020년 전북지역 골든벨 등극 예정(132대 등극 이후 추후 예정, 4월 12일 방송일 예상 이후 참가 예정(최종문제 : 번)] || || 2021 || || || || || || === 등극횟수별 === 아직까지 각 한 해의 두 자리수의 횟수를 10명 이상 배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순위 ||<:> 연도 ||<:> 남자 ||<:> 여자 ||<:> 등극자 || ||<|2><:> 1 ||<:> [[1999년]] ||<:> 4 ||<:> 5 ||<|2><:> 9 || ||<:> [[2005년]](2) ||<:> 5 ||<:> 4 || ||<|4><:> 2 ||<:> [[2001년]] ||<:> 4 ||<:> 4 ||<|4><:> 8 || ||<:> [[2006년]] ||<:> 6 ||<:> 2 || ||<:> [[2013년]] ||<:> 2 ||<:> 6 || ||<:> [[2014년]] ||<:> 5 ||<:> 3 || ||<|4><:> 3 ||<:> [[2000년]] ||<:> 2 ||<:> 5 ||<|4><:> 7 || ||<:> [[2004년]] ||<:> 5 ||<:> 2 || ||<:> [[2012년]](2) ||<:> 7 ||<:> 0 || ||<:> [[2015년]] ||<:> 4 ||<:> 3 || ||<|3><:> 4 ||<:> [[2002년]] ||<:> 3 ||<:> 3 ||<|3><:> 6 || ||<:> [[2003년]] ||<:> 3 ||<:> 3 || ||<:> [[2008년]] ||<:> 2 ||<:> 4 || ||<|3><:> 5 ||<:> [[2007년]] ||<:> 3 ||<:> 2 ||<|3><:> 5 || ||<:> [[2016년]] ||<:> 2 ||<:> 3 || ||<:> [[2019년]] ||<:> 4 ||<:> 1 || ||<|3><:> 6 ||<:> [[2009년]] ||<:> 4 ||<:> 0 ||<|3><:> 4 || ||<:> [[2010년]] ||<:> 2 ||<:> 2 || ||<:> [[2017년]] ||<:> 4 ||<:> 0 || ||<|2><:> 7 ||<:> [[2011년]] ||<:> 2 ||<:> 1 ||<|2><:> 3 || ||<:> [[2018년]] ||<:> 0 ||<:> 3 || ||<:> 8 ||<:> [[2020년]] ||<:> 1 ||<:> 1 ||<:> 2 || ||<:> 합계 ||<:> 20년 ||<:> 79 ||<:> 52 ||<:> 131 || === 등극자 선택(색) 별 === ==== 2002년 2월 3일 ~ 2003년 7월 27일(26대 ~ 32대)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등극자 수 || ||<#CC0000><:> {{{#ffffff 예술 분야(빨간색)}}} ||<:> 0 ||<:> 1 ||<:> 1 || ||<#FFD700><:> 역사 분야(노란색) ||<:> 1 ||<:> 3 ||<:> 4 || ||<#2872B3><:> {{{#ffffff 과학 분야(파란색)}}} ||<:> 1 ||<:> 1 ||<:> 2 || ||<#FFFFFF><:> 시사상식 분야(하얀색) ||<:> 0 ||<:> 0 ||<:> 0 || ||<#008000><:> {{{#ffffff 문학 분야(초록색)}}} ||<:> 0 ||<:> 1 ||<:> 1 || ||<:> 합계 ||<:> 2 ||<:> 6 ||<:> 8 || ==== 2003년 7월 13일 ~ 2014년 12월 14일(33대 ~ 105대)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등극자 수 || ||<#CC0000><:> {{{#ffffff 도(빨간색)}}} ||<:> 5 ||<:> 4 ||<:> 9 || ||<#FFD700><:> 전(노란색) ||<:> 8 ||<:> 4 ||<:> 12 || ||<#2872B3><:> {{{#ffffff 골(파란색)}}} ||<:> 12 ||<:> 4 ||<:> 16 || ||<#FFFFFF><:> 든(하얀색) ||<:> 11 ||<:> 9 ||<:> 20 || ||<#008000><:> {{{#ffffff 벨(초록색)}}} ||<:> 9 ||<:> 6 ||<:> 15 || ||<:> 합계 ||<:> 44 ||<:> 27 ||<:> 72 || ==== [[2015년]] [[1월 4일]] 대개편 이후 ~ [[2019년]] [[12월 1일]](106대 ~ 129대)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등극자 수 || ||<#000080><:> {{{#ffcc00 도(남색)}}} ||<:> 1 ||<:> 1 ||<:> 2 || ||<#CC0000><:> {{{#ffcc00 전(빨간색)}}} ||<:> 3 ||<:> 3 ||<:> 6 || ||<#808080><:> {{{#ffcc00 골(회색)}}} ||<:> 5 ||<:> 2 ||<:> 7 || ||<#7F00FF><:> {{{#ffcc00 든(보라색)}}} ||<:> 2 ||<:> 1 ||<:> 3 || ||<#800080><:> {{{#ffcc00 벨(진한 보라색)}}} ||<:> 3 ||<:> 3 ||<:> 6 || ||<:> 합계 ||<:> 14 ||<:> 10 ||<:> 24 || ==== 현재([[2019년]] [[12월 8일]] 이후 ~ '''현재'''(130대 ~ '''현재''')) ==== ||<:> 선택(색) ||<:> 남자 ||<:> 여자 ||<:> 등극자 수 || ||<#CC0000><:> {{{#ffffff 도(빨간색)}}} ||<:> 0 ||<:> 0 ||<:> 0 || ||<#2872B3><:> {{{#ffffff 전(파란색)}}} ||<:> 0 ||<:> 0 ||<:> 0 || ||<#008000><:> {{{#ffffff 골(초록색)}}} ||<:> 0 ||<:> 0 ||<:> 0 || ||<#FFFFFF><:> 든(하얀색) ||<:> 1 ||<:> 1 ||<:> 2 || ||<#FFD700><:> 벨(노란색) ||<:> 0 ||<:> 0 ||<:> 0 || ||<:> 합계 ||<:> 1 ||<:> 1 ||<:> 2 || === 등극자 선택별 === ||<:> 선택 ||<:> 남자 ||<:> 여자 ||<:> 등극자 수 || ||<:> 도 ||<:> 6 ||<:> 5 ||<:> 11 || ||<:> 전 ||<:> 11 ||<:> 7 ||<:> 18 || ||<:> 골 ||<:> 15 ||<:> 6 ||<:> 21 || ||<:> 든 ||<:> 13 ||<:> 10 ||<:> 23 || ||<:> 벨 ||<:> 12 ||<:> 7 ||<:> 19 || ||<:> 합계 ||<:> 60(?) ||<:> 37(?) ||<:> 97 || === 등극자 성별 === ||<:> 성별 ||<:> 등극자 수 || ||<:> 남자 ||<:> 79 || ||<:> 여자 ||<:> 52 || ||<:> 합계 ||<:> 131 || === 등극자 학교 성별 === ||<:> 지역 ||<:> 남고 ||<:> 여고 ||<:> 남녀공학 ||<:> 등극자 학교 수 || || [[서울특별시]] || 7 || 5 || 9 || 21 || || [[부산광역시]] || 3 || 4 || 0 || 7 || || [[인천광역시]] || 3 || 1 || 1 || 5 || || [[대구광역시]] || 4 || 2 || 3 || 9 || || [[광주광역시]] || 0 || 1 || 3 || 4 || || [[대전광역시]] || 2 || 1 || 0 || 3(2) || || [[울산광역시]] || 0 || 0 || 1 || 1 || || [[세종특별자치시]] || 2 || 0 || 0 || 2 || || [[경기도]] || 3 || 4 || 18 || 25 || || [[강원도]] || 5 || 1 || 2 || 8 || || [[충청북도]] || 2 || 2 || 0 || 4 || || [[충청남도]] || 3 || 1 || 4 || 8 || || [[전라북도]] || 0 || 4 || 1 || 5 || || [[전라남도]] || 0 || 2 || 5 || 7 || || [[경상북도]] || 4 || 5 || 1 || 10 || || [[경상남도]] || 7 || 1 || 3 || 11 ||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0 || 0 || || [[중국]](해외) || 0 || 0 || 1 || 1 || ||<:> 합계 ||<:> 42[* [[2020년]] [[1월 19일]] 130대 류승현([[동천고등학교(부산)|부산 동천고등학교]](◇, 재도전) 1학년) 현재 남학교 마지막 등극자] ||<:> 32[* [[2020년]] [[3월 22일]] 131대 류한나([[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 재도전) 2학년) 현재 여학교 마지막 등극자] ||<:> 53[* [[2019년]] [[10월 27일]] 129대 이재창(([[창원 마산삼진고등학교|경남 창원 마산삼진고등학교]](재도전) 학년) 현재 남녀공학 학교 마지막 등극자] ||<:> 125[*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울린 경우는 1회로 처리] || === 등극자 학교 유형 === ||<:> 학교 유형 ||<:> 등극 학교 수 || ||<:> 일반고 ||<:> 122 || ||<:> 전문계고 ||<:> 3 || ||<:> 해외 소재 고교 ||<:> 1 || ||<:> 합계 ||<:> 126 || === 등극자 학년별 === ||<:> 학년 ||<:> 등극자 수 || ||<:> 1학년 ||<:> 27 || ||<:> 2학년 ||<:> 36 || ||<:> 3학년 ||<:> 68 || ||<:> 합계 ||<:> 131 || === 등극자 유형별 === ||<:> 유형 ||<:> 등극자 수 || ||<:> 정규 ||<:> 121 || ||<:> 특집 ||<:> 10 || ||<:> 합계 ||<:> 131 || === 등극자 성씨별 === ||<:> 성씨 ||<:> 남 ||<:> 여 ||<:> 등극자 수 || || 김 씨 || 22 || 11 || 34 || || 이 씨 || 13 || 9 || 22 || || 박 씨 || 7 || 6 || 13 || || 장 씨 || 1 || 0 || 1 || || 변 씨 || 0 || 1 || 1 || || 차 씨 || 0 || 0 || 0 || || 하 씨 || 0 || 0 || 0 || || 마 씨 || 0 || 0 || 0 || || 원 씨 || 0 || 0 || 0 || || 성 씨 || 0 || 0 || 0 || || 나 씨 || 0 || 0 || 0 || || 왕 씨 || 0 || 0 || 0 || || 남 씨 || 1 || 0 || 1 || || 양 씨 || 0 || 1 || 1 || || 강 씨 || 0 || 0 || 0 || || 방 씨 || 0 || 0 || 0 || || 홍 씨 || 0 || 0 || 0 || || 조 씨 || 2 || 2 || 4 || || 최 씨 || 2 || 4 || 6 || || 권 씨 || 3 || 0 || 3 || || 선 씨 || 0 || 1 || 1 || || 한 씨 || 2 || 0 || 2 || || 서 씨 || 2 || 1 || 3 || || 유 씨 || 1 || 1 || 1 || || 윤 씨 || 2 || 1 || 3 || || 안 씨 || 1 || 0 || 1 || || 황 씨 || 1 || 1 || 2 || || 지 씨 || 0 || 1 || 1 || || 배 씨 || 1 || 0 || 1 || || 표 씨 || 0 || 1 || 1 || || 석 씨 || 1 || 0 || 1 || || 손 씨 || 1 || 0 || 2 || || 오 씨 || 1 || 0 || 1 || || 문 씨 || 2 || 0 || 2 || || 빙 씨 || 0 || 1 || 1 || || 정 씨 || 2 || 0 || 2 || || 임 씨 || 1 || 1 || 1 || || 송 씨 || 2 || 1 || 3 || || 고 씨 || 1 || 0 || 1 || || 염 씨 || 1 || 0 || 1 || || 진 씨 || 1 || 0 || 1 || || 신 씨 || 1 || 1 || 2 || || 백 씨 || 1 || 0 || 1 || || 전 씨 || 1 || 1 || 2 || || 류 씨 || 1 || 2 || 3 || || 함 씨 || 1 || 0 || 1 || ||<:> 합계 ||<:> 79 ||<:> 52 ||<:> 131 || === 등극자 정규, 특집 별 === ||<:> 정규, 특집 ||<:> 등극자 수 || ||<:> 정규 편성 ||<:> 119 || ||<:> 특집편 ||<:> 12 || ||<:> 합계 ||<:> 131 || === 아나운서 MC 등극자 별 === ==== 남자 MC(131대 및 131명 등극 학생 기준, 남자 MC 7명 진행 등극자 기준) ==== ||<:> 남자 MC ||<:> 남자 ||<:> 여자 ||<:> 등극자 ||<:> 비고 || || [[김홍성]] 아나운서(2) || 22 || 16(2) || 38(2)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만 남자 진행자 김홍성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남학생 3명, 여학생 2명 등극, 독립 편성에서만 남학생 1명, 여학생 3명 등극][* 남자 진행자 김홍성 아나운서의 첫 진행에서만 남학생 9명, 여학생 9명 총 18명 등극, 재진행에서만 남학생 13회, 여학생 9명 등극함] || || [[윤인구]] 아나운서 || 5 || 5 || 10 || || || [[김현욱]] 前 아나운서 || 18 || 12 || 30 || || || [[김승휘]] 아나운서(2) || 5(2) || 1 || 6(3) || || || [[박태원]] 아나운서 || 18 || 8 || 26 || || ||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 || 6 || 4 || 10 || || || [[강성규]] 아나운서 || 5 || 4 || 9 || || ||<:> 합계 ||<:> 79 ||<:> 52 ||<:> 131 ||<:> || ==== 여자 MC(131대 및 131명 등극 학생 기준, 여자 MC 11명 진행 등극자 기준) ==== ||<:> 여자 MC ||<:> 남자 ||<:> 여자 ||<:> 등극자 ||<:> 비고 || || '''[[손미나]] 前 아나운서''' || 9 || 9 || 18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만 여자 진행자 손미나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남학생 3명, 여학생 2명 등극, 독립 편성에서만 남학생 1명, 여학생 3명 등극] || || [[신성원]] 아나운서 || X || X || X || 여성 임시 MC[* 여성 임시 MC(접속! 신세대 코너에서만 임시 MC 기준)] || || '''[[최원정]] 아나운서''' || 12 || 9 || 21 || || || '''[[김보민]] 아나운서(2)''' || 12 || 11 || 23 || || || '''[[오정연]] 前 아나운서''' || 5 || 4 || 9 || [* 여자 MC의 오정연 前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9명이 등극하였으나, 10명 이상 등극하지 않았음] || ||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 || 4 || 0 || 4 || [* 여자 MC의 박은영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음] || ||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 아나운서''' || 4 || 3 || 7 || [* 여자 MC의 정다은 아나운서는 2년 동안 진행] || || [[차다혜]] 前 아나운서(2) || 6(2) || 0 || 6(2) || [* 여자 MC의 차다혜 前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음] || || [[가애란]] 아나운서 || 1 || 0 || 1 || [* 여자 MC의 가애란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음] ||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 || 4 || 2 || 6 || || || '''[[전주리]] 아나운서''' || 8 || 4 || 12 || || ||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 || 8 || 5 || 13 || || ||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 || 1 || 1 || 2 || [* 여자 MC의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2017년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으나, 2018년 여학생이 첫 골든벨을 울렸다.] || || [[김성은(아나운서)|김성은]] 아나운서 || x || x || x || 여성 임시 MC[* 2017 KBS 노조 파업으로 인하여 여성 임시 MC(2017년 10월 8일 방송일 기준의 진행)] ||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 0 || 2 || 2 || || || [[강서은]] 아나운서 || 3 || 1 || 4 || || ||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 || 3 || 1 || 4 || 여성 임시 MC[* 여자 MC의 이혜성 아나운서의 해외 출장으로 인하여 여성 임시 MC('''현재 진행 중''')(2019년 1월 13일 방송일 기준의 진행)] || ||<:> 합계 ||<:> 79 ||<:> 52 ||<:> 131 ||<:> || === MC 2명(남, 여) 등극자 별 === ||<:> 남자 MC ||<:> 여자 MC ||<:> 남 ||<:> 여 ||<:> 등극자 ||<:> 비고 || ||<#FFC0CB> [[김홍성]] 아나운서[* 첫 진행(◎)] ||<|2> [[손미나]] 前 아나운서 || 9 || 9 || 18 || || ||<|2> [[윤인구(아나운서)|윤인구]] 아나운서 || 1 || 0 || 1 || || ||<|2> [[최원정]] 아나운서 || 4 || 5 || 9 || || ||<|2><#A6E657> [[김홍성]] 아나운서[* 재진행(◇)] || 7 || 4 || 11 || || ||<|2> [[김보민]] 아나운서 || 6 || 5 || 11 || || ||<|4> [[김현욱]] 前 아나운서 || 7 || 6 || 13 || || || [[오정연]] 前 아나운서 || 5 || 4 || 9 || || ||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 || 4 || 0 || 4 || || ||<|2>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 아나운서 || 3 || 2 || 5 || || ||<|2> [[김승휘]] 아나운서 || 1 || 1 || 2 || || ||<|2> [[차다혜]] 前 아나운서 || 4(2) || 0 || 4(2) || || ||<|5> [[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 아나운서 || 2 || 0 || 2 || || || [[가애란]] 아나운서 || 1 || 0 || 1 || ||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 || 4 || 2 || 6 || || || [[전주리]] 아나운서 || 8 || 4 || 12 || || ||<|2>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 || 3 || 2 || 5 || || ||<|2>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 || 5 || 3 || 8 || || ||<|2>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 || 1 || 1 || 2 || || ||<|4> [[강성규]] 아나운서 || 0 || 0 || 0 || ||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 0 || 2 || 2 || || || [[강서은]] 아나운서 || 3 || 1 || 4 || || ||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 || 3 || 1 || 4 || || ||||<:> 합계 ||<:> 79 ||<:> 52 ||<:> 131 ||<:> || === 참고사항 === * 특집 방송분, 고등학교만을 대상으로 한다. * 교명 변경 전 및 교명 변경 후에 참가하여 등극한 경우에만 처리한다. * 2인 및 2명 동시 등극한 회차는 1학교로 처리한다. * 2~3회 연속 등극(2~3인 동시 포함)한 포함되며, 회차만 처리된다. * 같은 지역에서 2학교 이상/3학교 이상이 등극한 회차는 1회로 처리한다. * 2번 이상 재도전(◇) 및 3번 이상 재도전(◆)하여 등극한 학교는 첫 번째(첫 도전 포함(◎))로 참가한 경우만 들어간다. * 지역 연합은 1학교로 처리한다.(과학고 특집, 독서 골든벨이 연합해서 한 특집 제외)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도전 골든벨/각종 기록들,version=567)] [[분류:도전 골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