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도원극장.jpg]] 2007년 무렵^^[[https://www.frosteye.net/2645|출처]]^^ 현재는 [[다이소]]가 들어서 있다. [[http://kko.to/_dKuFGOW6H|현재 모습]] [목차] == 개요 == [[都]][[園]][[劇]][[場]]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 79-2에 있었던 [[영화관]]이다. == 상세 == [[1967년]] [[8월 1일]] 개관했다. 개관 당시는 삼개봉관(재재개봉관)이었으나 이후 [[재개봉관]]을 거쳐 개봉관으로 승격되었고 2000년대에 와서는 1개관을 3개관으로 나눠 '도원시네마'로 리모델링하면서 [[멀티플렉스]]와 경쟁하는 면모를 갖추기도 했으나, 이 무렵 [[메가박스 상암월드컵경기장|CGV 상암]], [[CGV 불광]] 등이 생기면서 대기업 극장체인과의 경쟁에 밀려 결국 [[2007년]]에 폐관했다. 서울에서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손 그림 간판을 걸던 극장이었다. 2005년 [[그랜드시네마]]와 서울 청계천5가의 바다극장이 [[사진|실사]] 간판으로 바뀌면서 2007년 폐관 때까지 유일한 수제 간판 극장으로 남았다. 당시 간판공은 이금석씨.[[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60302025014|관련 기사]] [[https://archive.is/FCqb0|@]] == 관련 링크 == * [[http://www.e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025|도원극장이 사라진다 - 은평시민신문]] * [[https://www.kmdb.or.kr/story/155/4722|녹번동 도원극장]] * [[https://www.kmdb.or.kr/story/174/4790|아! 도원극장]] == 기타 == [[인천광역시|인천]]에도 도원극장(桃園劇場)이 있었다. 한자 표기는 다르다. 이쪽은 1961년 11월 17일 개관, [[숭의동]] 134번지에 있었으며 1966년 12월 13일에는 화재로 전소되기도 했다. 화재 이후 개축하여 운영하다 1979년에 폐관했다.[[https://blog.naver.com/ykhpd/222493886023|#]] [[분류:은평구의 영화관]][[분류:없어진 영화관]][[분류:1967년 설립]][[분류:2007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