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름''' ||<(> 도요토미 히데카츠 [br] 豊臣秀勝 || |||| '''생몰년도''' ||<(> [[1569년]] [[5월 2일]] ~ [[1592년]] [[10월 14일]] 23세 || [목차] == 개요 == 센고쿠 시대의 다이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누나 [[닛슈니|도모]](日秀)[* 법명이 즈이류인묘에닛슈니(瑞龍院妙慧日秀尼)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동복 누나이다. 생몰은 1534 ~ 1625]의 아들이자 히데요시의 조카이다. 친형 [[도요토미 히데츠구]](豊臣秀次)와 같이 히데요시의 양자가 되었다. 하시바(羽柴) 성을 받아 하시바 히데카츠라고도 불렸다가 1588년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 오다 노부나가의 4남 등의 인물과 동명이라 도요토미 히데카츠로 주로 통용된다. == 상세 == 1590년에는 오다와라의 정벌에 참가했다. 카이와 시나노 영지를 하사받았으나 미노기후로 전봉되었고[* 히데요시에게 자신의 고쿠다카가 적다고 불평했다가, 히데요시를 노하게 만들어 고쿠다카가 줄어들었다.] 히데요시의 1592년에 히데요시의 측실인 [[요도도노]](淀殿)의 여동생인 아자이 [[스겐인|고우]](浅井江)와 결혼하여 딸 사다코(完子, 1592 ~ 1658)를 두었다. 기후 중납언(岐阜中納言), 기후재상(岐阜宰相)이란 별명으도 불리기도 했다. 1592년 4월 하순 9번대의 대장으로 나가오카 다다오키[* 長岡忠興 또는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忠興)] 등의 8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나 10월 [[거제도]]에서 병사하였다고 한다. 병사의 원인이 부상인지 질병인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기집 재상(岐集宰相) 평수충(平秀忠)이란 자로 등장하며 경상도에서 전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https://sillok.history.go.kr/id/wna_12511011_006] == 대중매체에서 == 2011년 [[NHK 대하드라마]] [[고우 ~공주들의 전국~]]에서 고우의 남편으로 등장한다. [[스겐인|고우]]의 다정다감한 남편으로 나오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우의 극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출전을 감행한다. 전쟁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고 있으며, [[거제도]]에서 징발에 항거하는 조선백성을 베려던 부하를 제지하려다 자신이 칼에 맞아 부상을 입고 회복하지 못해서 병상에서 죽는 것으로 묘사된다. [[분류:센고쿠 시대/인물]] [[분류:임진왜란/군인]][[분류:1569년 출생]][[분류:1592년 사망]][[분류:일본의 객사한 인물]][[분류:도요토미 가문]][[분류:다이묘]][[분류:정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