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요과]] ||<-2> '''{{{#fff {{{+1 도요새}}}(도요)[br]Snip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linago gallinago.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Scolopacidae'''[br]Rafinesque, 1815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 ^^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새|조강]] ^^Av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도요목]] ^^Charadriiformes^^||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분류:도요아목|도요아목]] ^^Scolopaci^^||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도요과 ^^Scolopacidae^^'''|| ||<-2> {{{#000 '''하위 분류'''}}} ||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깝작도요속 ^^''Actitis''^^[br][[:분류:흑꼬리도요속|흑꼬리도요속]] ^^''Limosa''^^[br][[:분류:마도요속|마도요속]] ^^''Numenius''^^[br]꼬까도요속 ^^''Arenaria''^^[br][[:분류:종달도요속|종달도요속]] ^^''Calidris''^^[br][[:분류:멧도요속|멧도요속]] ^^''Scolopax''^^[br]삑삑도요속 ^^''Tringa''^^[br][[:분류:짧은부리도요속|짧은부리도요속]] ^^''Limnodromus''^^[br]폴리네시아도요속 ^^''Prosobonia''^^[br]바르트라미아속 ^^''Bartramia''^^[br]꼬마도요속 ^^''Lymnocryptes''^^[br][[:분류:꺅도요속|꺅도요속]] ^^''Gallinago''^^[br]뉴질랜드도요속[* 또는 투투키위속.] ^^''Coenocorypha''^^[br]뒷부리도요속 ^^''Xenus''^^[br]지느러미발도요속 ^^''Phalaropu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알락꼬리마도요.jpg|width=100%]]}}} || || {{{#fff '''[[알락꼬리마도요|{{{#fff 알락꼬리마도요}}}]] (''Numenius madagascariensis'')'''}}}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요목 도요과 [[새|조류]]의 총칭. 몸길이는 12~61 cm로 다양하다. 날개는 길지만 꼬리는 짧은 편이다. 부리는 길고 곧거나 위 또는 아래로 굽었다. 종류에 따라 다리와 목은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하다. 위쪽은 갈색이나 회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며 몸 전체에 줄무늬 또는 점무늬가 있다. 갯벌이나 습지 등에 서식하면서 주로 갑각류, 조개 등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다. 둥지는 땅 위에 지으며 알 2~4개를 낳는다. 도요과는 전 세계에 흔하게 서식하며 알려진 바로는 13속 85종이 있다. 한국에는 36종이 알려졌는데, 겨울철새 또는 나그네새이다. 고사성어 [[어부지리]]의 고사에서 조개와 싸우다가 어부에게 함께 잡히는 것으로 등장한다. 영명이 snipe인 데서 알 수 있듯이 저격수(Sniper)의 유래가 된 새이다. [[저격수#어원|저격수]] 참조. 둠칫새라는 별명을 가진 새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둠칫새라는 새는 미국[[멧도요]]이다.[* 물론 멧도요도 도요새의 일종이긴 하다.] [[멧도요]]와 헷갈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멧도요는 도요새의 종류 중 하나로 꼬리가 짧고 부리가 길지만, 도요새는 도요과에 속하는 모든 종류의 새를 가리키므로, 멧도요처럼 목이 짧은 종도, 반대로 목이 긴 종도, 부리가 긴 종도 짧은 종도 있는 등 종마다 갖가지 특징을 지녔다. 친척으로는 [[갈매기]]와 [[바다오리]]가 있다. == 종류 == * 긴부리도요 * 긴부리마도요 * 긴부리참도요 * 깝작도요 * [[꺅도요]] * 꺅도요사촌 * 꼬까도요 * 꼬마도요 * [[넓적부리도요]] * 노랑발도요 * 누른도요 * 뒷부리도요 * [[마도요]] * 메추라기도요 * [[멧도요]] * 목도리도요 * 목장도요 * 민물도요 [* 이름은 민물도요이나, 해안가에서 무리지어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배에 검은 무늬가 있는게 동정 포인트로 탐조인들 사이에선 김으로 부르기도 한다.] * 바늘꼬리도요 * 바위도요 * 북미노랑발도요 * 붉은가슴도요 * 붉은갯도요 * 붉은발도요 * 붉은어깨도요 * 붉은배지느러미발도요 * 삑삑도요 * 세가락도요 * 송곳부리도요 * 쇠부리도요 * 쇠청다리도요 * 쇠청다리도요사촌 * [[숲꺅도요]] * 아메리카도요 *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 * 알락꼬리마도요 * 알락도요 * [[에스키모쇠부리도요]] * 옅은가슴삑삑도요 * 작은도요 * 좀도요 * [[종달도요]] * 중부리도요 * [[주홍도요]] * 지느러미발도요 * [[짧은부리도요]] * 청다리도요 * 청다리도요사촌 * 청도요 * [[캐나다흑꼬리도요]] * 큰꺅도요 * 큰노랑발도요 * 큰뒷부리도요 * 큰부리도요 * 큰지느러미발도요 * [[푸에고꺅도요]] * 학도요 * [[흑꼬리도요]] * 흰꼬리좀도요 * [[흰배중부리도요]] * [[흰허리도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넓적부리도요, version=1, title2=민물도요, version2=1, title3=흑꼬리도요, version3=1)] == 여담 == * [[김원일]]의 소설 도요새에 관한 명상은 도요새를 중심 소재로 한 작품이다. * 2021년 9월 23일, 삼성 라이온즈와 LG 트윈스의 잠실 경기에서 7회초 외야에 깜짝 등장해 화제가 되었다. * 도요새들은 암컷, 수컷, 여름, 겨울, 성체, 유체 별로 몸의 깃색이 다른데다 서로 다른 종끼리도 깃 패턴이 매우매우 흡사한 경우가 많아서 도요 밀집지에서 탐조하는 동호인들끼리는 이들을 동정하는 것을 도요지옥이라고 할 정도이다. 전문가들도 일단 촬영을 하고 이들의 덩치차이나 세부 패턴차이, 움직임 등으로 다시 동정을 하는 것이 흔하다. * [[장삐쭈]]의 연재 애니메이션 중 [[장삐쭈/작품 목록#s-4.2|메추리 5남매]]에서 노란색으로 등장한다. [[크낙새]]가 [[멸종]]으로 공백이 생기자 그 자리에 알락꼬리꼬마도요가 들어오게 되었다. 하지만 이름을 제대로 부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정작 본인도 '''알락꼬리마도요'''를 틀리게 부르고 있는 것이 킬포. * 대기관측위성 프로젝트인 [[도요샛]]의 유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