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1 [[稻]][[熱]][[病]], rice blast}}} [[벼]]나 [[밀]], [[보리]], [[옥수수]] 등에 주로 나타나는 식물 [[전염병]]으로 농사에 큰 악영향을 끼치는 전염병이다. [[진균]]의 일종인 Magnaporthe gresea로 인해 주로 나타난다. == 증상 == 모도열병, 잎도열병, 이삭목도열병과 가지도열병, 마디도열병 등등 생기는 부위에 따라 증상이 있다. 걸리면 잎이나 줄기가 마치 타는 듯이 갈색의 병반이 나타나고 이윽고 말라 죽는다. == 역사 == 도열병에 대한 최초기록은 조선의 경우, 1429년 [[농사직설]]에서 처음으로 도열병으로 추정되는 벼 병해에 대한 기록이 있으나, 근세 기록인 1928년도 한국권업모범장 연구보고 15호의 "조선병해작물목록"에 의하면 1914-1915년도에 도열병 이병물을 채집하였으며, 1918년도에 수원부근, 1926년도에 경북과 전북, 황해도에서 도열병이 대발생하였고, 1928년 전국 18%의 감수율을 가져왔으므로, 이때부터 도열병균의 생리생태, 발병환경, 방제법 개선, 저항성품종 육성 등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국의 [[통일벼]]는 1976, 1977년 풍년의 일등공신이었으나 1978년에는 도열병이 크게 돌아 피해가 있었던 사례가 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네이버 도열병 항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44768&cid=61232&categoryId=61232|참조]]. [[분류:진균성 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