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화면 캡처 2023-01-31 171431.png|width=100%]]}}} || ||<-3> '''{{{#393084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No.4}}}''' || ||<-3> '''{{{#fff000 {{{+1 도스톤베크 투르수노프}}} [br] Достонбек Турсунов | Dostonbek Tursunov}}}''' || ||<-2> {{{#393084 '''K리그 등록명'''}}} ||'''도스톤벡''' || ||<-2><|2> {{{#393084 '''출생'''}}} ||[[1995년]] [[6월 13일]] ([age(1995-06-13)]세) || ||[[우즈베키스탄]] 올티아리크 || ||<-2> {{{#393084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우즈베키스탄)] || ||<-2> {{{#393084 '''신체'''}}} ||[[키(신체)|키]] 185cm[* 착화신장 187~188cm], [[체중]] 80kg || ||<-2> {{{#393084 '''포지션'''}}} ||[[센터백]] || ||<|1> {{{#000000,#e5e5e5 '''소속'''}}} || {{{#393084 '''선수'''}}} ||[[FK 코칸트 1912]] (2016) [br] [[PFK 메탈루르그 베카바드]] (2017) [br] [[FC 네프치 페르가나]] (2017~2018) [br] [[레노파 야마구치]] (2019) [br] [[부산 아이파크]] (2020)[br] [[충칭 량장 징지]] (2021~2022) [br]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2~ ) || ||<-2> {{{#393084 '''국가대표'''}}}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일:UFA emblem.png|width=25]]]] 4경기 1골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2018~ )^^ || ||<-2> {{{#393084 '''SNS'''}}} ||[[https://www.instagram.com/tursunov__doston/|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축구선수. 2018년 AFC U-23 챔피언십에 우즈벡 대표로 참가했으며 [[2019 AFC 아시안컵]] 대표 명단에도 들었던 센터백이다. 대한민국 U-23 대표팀과의 경기에서 골도 넣어 국내 팬들에게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2019년 [[J2리그]] [[레노파 야마구치]]에 입단하며 처음 동아시아 리그에 데뷔한 뒤, 2020시즌 부산으로 이적하였다 == 소개 == 키가 187이며 몸무게는 79kg로 수비수로서 좋은 신체조건을 가지고있다. 또한 어깨가 유달리 넓다. === [[부산 아이파크]] === 개막전 포항과의 경기에 첫 출장했지만 조금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첫번째 실점 장면에서 일류첸코에게 몸싸움을 밀리면서 실점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리고 두번째 실점 장면에선 터치 실수를 하며 PK를 내주는 등 혹독한 데뷔전을 치렀다. 3라운드 울산전에서 괜찮은 수비력으로 부산 골문을 든든하게 지켰지만 경기 도중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4라운드 수원전에서는 든든하게 수비해내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쳤다. 5라운드 상주전에서도 수비를 잘해내며 무실점 경기를 할 '''뻔'''했으나 부산 골키퍼 김정호가 치명적인 실수를 하며 1실점을 했다. 다만 도스톤벡의 수비 자체는 좋은 평을 받았다. 6라운드 광주전에서는 팀 전체적으로 수비수들이 동반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고 도스톤벡도 아무것도 못하고 3실점했다. 7라운드 대구전에서는 교체출전하여 몇 분간 그라운드를 밟았다 8라운드 인천전에서 좋은 수비를 선보이며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치는 데 수훈을 세웠다. 9라운드 성남전에서는 수비수인데도 불구하고 공격에 적극 가담하는 등 활발하게 경기를 펼쳤으나 팀은 수비수 박준강의 자책골이 나오며 호물로의 동점골로 무승부를 챙기는데 그쳤다. 16라운드 성남전에서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으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본인의 K리그 1 데뷔골이다. 그리고 도스톤벡은 2021년 계약만료로 팀을 떠나게 되었다. === K리그 이후 === 2021년 4월 [[중국 슈퍼 리그]] 소속의 [[충칭 량장 징지]]와 계약하였다. 2022년 팀이 해체하면서 자유계약 상태가 됐다. 2022년 [[우즈베키스탄 슈퍼리그]]의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 입단했다, 등번호는 77번.[* 파흐타코르에 입단한후 첫 해에 우즈베키스탄 리그우승을 했다.] == 플레이스타일 == 도스톤벡은 빠른 발을 바탕으로 제공권과 득점에도 관여하며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차세대 우즈베키스탄 수비의 미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여담 == [[분류:1995년 출생]][[분류:2016년 데뷔]][[분류:페르가나 주 출신 인물]][[분류:우즈베키스탄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축구)]][[분류:K리그/역대 아시아 쿼터]][[분류:FK 코칸트 1912/은퇴, 이적]][[분류:PFK 메탈루르그 베카바드/은퇴, 이적]][[분류:레노파 야마구치/은퇴, 이적]][[분류:FK 네프치 페르가나/은퇴, 이적]][[분류:부산 아이파크/은퇴, 이적]][[분류:충칭 량장 징지/은퇴, 이적]][[분류: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현역]][[분류:우즈베키스탄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참가 선수]][[분류:우즈베키스탄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5 FIFA U-20 월드컵 뉴질랜드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센터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