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탄도 미사일]][[분류:극초음속 미사일]][[분류:자위대/미사일]] [[파일:Captu7re.png]] [[파일:F1C6C062-6BA3-4361-BFE3-87F82ABD380B.jpg]] 島嶼防衛用高速滑空弾 [목차] == 개요 == 2018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2025~28년까지 실전배치 예정인 [[일본]]의 지대지 미사일. 사실상 [[SRBM]]으로 분류할 수 있다. 블록 1의 경우는 고정 목표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블록 2에는 대함 능력이 추가될 예정이다. 블록 1의 통상 활공탄두는 일반적인 탄도탄과 모양이 유사하고 블록 2의 글라이더 탄두의 경우에는 [[중국]]의 [[DF-17]]과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2019년도 개정 방위대강에 의하면 운용을 위해 [[육상자위대]]에 2개의 고속 활공탄 대대가 신설될 예정이다.[[https://news.yahoo.co.jp/byline/obiekt/20181218-00108103/|#]] 운용 장비의 개발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는데 부대 창설이 결정된 건 자위대 역사상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https://www.mod.go.jp/atla/research/ats2019/img/ats2019_summary.pdf|11페이지, 高速滑空弾は防衛計画の大綱(30大綱)別表においても2個高速滑空弾大隊部隊の編成が示されているが、研究開発する装備が部隊を編成した初めての事業であることから、実施に当たっては必然と偶然のいずれにも目を向け、困難を乗り越えてプロジェクトを成功に導く所存である。]]] 2023년부터 블록 1의 양산이 시작될 예정이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20822/k10013782131000.html|#]] == 상세 == [[아베 신조]] 정권이 적 기지 공격 능력을 제창한 이후 본격적으로 개발 중인 지대지 미사일로서 주로 [[오키나와]] 열도 등지의 섬을 침공하는 [[중국군]]의 상륙 세력에 대한 신속 대응을 상정하고 있다. 즉각 발사가 가능하고, 빠르게 도달할 수 있으며, 탐지 및 요격을 지극히 어렵게 만드는 것이 이 미사일의 목표다. 운용 구상도를 보면 미사일의 형상은 상당히 컴팩트 한 사이즈의 로켓에 글라이더 방식의 탄두를 탑재한 형태로 트럭에서 발사, 기존 탄도탄보다 낮은 고도에서부터 탄두를 분리해 중고고도 요격체를 회피하고, 표적까지 극초음속으로 활강하며, 종말 단계에서 급격한 기동으로 저고도 요격체를 회피한 후 목표 상공에서 수직으로 급강하해 공중 폭발하여 자탄으로 넓은 지역을 타격하는 방식이다. [[파일:Capt1ure.png|width=600]] 기존의 전통적인 탄도탄들과는 달리 훨씬 낮은 고도에서 탄두가 분리되어 빠른 속도로 활공하며 종말 단계에서 급격한 기동을 구사하기 때문에 요격이 보다 어렵다. 로켓은 경량, 고내열성의 CFRP([[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격막 및 케이싱 기술[* [[https://www.jwing.net/news/13545|이 기술은 미국과 공동개발 중이다.]]]을 적용한 2단 연소 로켓으로 소형, 경량화를 달성하면서도 연소 시간과 추력을 최적화하여 사정거리를 향상시키며, 탄두인 글라이더에는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탐사선)|하야부사]]의 지구 귀환 캡슐[* 내열 능력 섭씨 3000도 이상]에 적용된 것과 비슷한 내열코팅을 하는 한편, 스텔스 처리를 하여 RCS를 낮추고 공기가 희박한 곳에서도 기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가스 분사식 자세 제어 시스템(ACS)을 적용할 예정이다. 중간 유도는 자국산 측위 위성 시스템인 [[QZSS]]와 INS를 이용한다.[[https://www.mod.go.jp/j/approach/hyouka/seisaku/results/29/pdf/jizen_13_honbun.pdf|#]] [[파일:캡1처.png|width=600]] 이후 후속 정보에 따르면 조기 전력화를 위해 블록화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조기장비형인 블록 1은 1단 로켓에 통상 활공 탄두를 탑재하고 2025년 경 배치될 예정이며, 성능 향상형인 블록 2는 2단 로켓에 극초음속 글라이더 탄두를 탑재, 2028년에 배치된다.[[https://www.mod.go.jp/atla/soubiseisaku/vision/rd_vision_full.pdf|#]] 블록 2에 함선 등 이동 목표 대처 능력도 부여하는 것이 공식화되었다. 첨두 부분에 수상 수색 시커를 탑재하는 한편, 항공모함의 갑판을 관통해 내부에서 폭발하는 대함·대지 겸용 탄두를 적용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5&aid=0002978503|#]][[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1196412|#]][* [[https://www.mod.go.jp/atla/research/ats2019/img/ats2019_summary.pdf|11페이지,また、さらなる能力向上として滑空弾に適したシーカ機能を付与することで、移動目標対処能力を付加することも検討中である。]]] 첫 발사 시험은 [[미 해군]]의 미사일 시험장에서 이루어질 예정으로 일본 [[방위장비청]]은 2020년 4월 경에 [[해군부|미국 해군성]]과 발사 시험 준비작업 계약을 체결했다.[[http://www.jwing.net/news/26610|#]] 2022년 12월 1일 요미우리 신문의 기사에 따르면 육상자위대 외에도 [[해상자위대]]의 수상함이나 잠수함에서 발사할수 있는 함대지 탄도탄, [[SLBM]] 방식의 개발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https://www.yomiuri.co.jp/politics/20221130-OYT1T50278/|#]] [[파일:Fk5HQ1JakAEJLTZ.jpg|width=600]] 2023년 방위예산안에서는 '''사정거리 3,000km 이상'''이라고 알려진 블록 2B 개발 계획이 확인되었다. 블록 2A보다 훨씬 대형화된 부스터를 장착하며, [[러시아]]와 [[중국]] 본토 타격을 위해 2030년 초까지 [[홋카이도]] 및 [[규슈]]에 실전배치 될 예정이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116/116515016/1|#]] 더불어 고속활공탄 블록 2B의 대형 부스터는 역시 일본이 개발하고 있는 [[스크램제트]] 극초음속 유도 미사일의 부스터와 공통화된다.[* [[https://www.mod.go.jp/j/approach/hyouka/seisaku/2022/pdf/jizen_10_honbun.pdf|1段目の大型ロケットモータを極超音速誘導弾のブースターと共通化し、当該事業における設計活動の大幅な低減を図る。]]] == 기타 == 도서 방위용 고속 활공탄이 공격용 탄도미사일이라면 순항미사일 분야에서는 [[JASSM]], [[JSM]],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 등을 도입하기로 결정됐고 역시 '''도서 방위용''' 명칭이 붙은 사정 2000km급 [[도서방위용 대함미사일]]을 개발하여 배치할 예정이다. == 같이 보기 == * [[도서방위용 대함미사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