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27호 ||<|2> ← || '''28호''' ||<|2> → || 29호 || || [[목서흠#s-4|충정공 목서흠 묘역]] || '''도봉서원과 각석군''' || [[이후원#s-5|완남부원군 이후원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8호}}}''' || ||<-2> {{{#fff {{{+1 '''도봉서원과 각석군'''}}}[br]{{{-1 道峰書院과 刻石群}}}}}}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도봉산길 90,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90 (도봉동)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 '''{{{#fff 수량 / 면적}}}''' || 각석 11基, 토지20,557.4㎡ || || '''{{{#fff 지정연도}}}''' || [[2009년]] [[10월 22일]]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국유, 시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봉서원.jpg|width=100%]]}}} || || {{{#fff '''도봉서원[*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44885&ccbaKdcd=23&ccbaAsno=0028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서원]]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에 있는 유일한 서원이다. == 내용 == 1573년([[선조(조선)|선조]] 6년)에 [[조광조]]를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지어졌다. 당시 이곳은 양주목 관할이었고, 양주목사 남언경이 지역 유림들의 뜻을 모아 세운 것이다. 율곡 이이에 따르면, 서원 자리는 옛날에 영국사(寧國寺)란 절이 있었던 곳으로 풍광이 아름다워 조광조가 생전에 자주 찾았던 곳이라 한다. 창건 직후 [[선조(조선)|선조]]는 친히 '도봉(道峰)'이라는 편액을 써서 내려주었고 이곳은 사액서원이 되었다. [[임진왜란]] 때 [[사당]]과 [[강당]]이 불타는 등 피해를 입기도 했다. [[숙종(조선)|숙종]] 때에는 [[송시열]]의 위패도 같이 모셨다. 그러나 [[경종(조선)|경종]] 때 [[소론]]이 집권하면서 퇴출시켰다가 [[영조]] 말에 다시 모셨다. 이때 영조가 선조처럼 편액을 써서 내려주었다. [[고종(대한제국)|고종]] 시기인 1871년(고종 8년)에 [[서원 철폐|서원철폐령]]으로 인해 문을 닫았다. 1903년([[광무]] 7년)에 지역 유림들이 제단을 세웠고 이후 매년 [[봄]]과 [[가을]]마다 제사를 지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제사는 다시 중단되었고 제단은 소실되고 말았다. 1971년에 양주향교의 남궁복이 발의하여 발족된 도봉서원재건위원회는 1년 뒤인 1972년에 서원을 복원했다. 이후 별 탈 없이 오늘에 이른다. 지금도 유림들이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며, 향사일은 매년 음력 3월 10일과 9월 10일이다. 현재는 정비사업으로 인해 위 사진에 있는 서원의 건물은 헐어 없어졌고 터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2011년 정비사업이 시작되었다는데 정말 진행되고 있는지는 의문인듯하다.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408223358a010a011.jpg|width=100%]]}}} || || {{{#fff '''금강령(왼쪽)과 금강저(오른쪽)[*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408/22/htm_201408223358a010a011.jpg|사진 출처 - 《중앙일보》.]]]'''}}} || 2012년, 문화재청과 서울문화유산연구원 발굴조사단은 도봉서원 터에서 [[고려시대]]의 금강령과 [[금강저]]를 비롯한 여러 유물들을 발견했다. 발굴된 유물들의 제작 시기는 12세기 이전으로 보이는데, 특히 금강령과 금강저는 그 제작 수준이 매우 뛰어나 [[대한민국의 국보|국보]]나 [[대한민국의 보물|보물]]로 지정받을 만하단 평가를 받았다. 서원 터에서 고려시대 불교 유물이 나온 까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 그 자리에 영국사란 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위 사진에 나온 금강저와 금강령을 비롯한 출토품 10점은 2021년 8월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이란 명칭으로 [[대한민국의 보물|보물]]로 지정받았으며, 현재는 한성백제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금강저, version=102, paragraph=2)] [[분류:서울특별시의 기념물]][[분류:도봉구]][[분류:서원]]